A Study on the Cognition of Farming Group Organization and Participational Behavior Types Shown in the Fruit Nursery Tree Growing Region : Centered on the Case of Gyeongsan Fruit Nursery Growers Association

과수묘목재배지역의 영농조직에 대한 인식과 참여행태 -경상북도 경산시 경산과수종묘연합회를 사례로-

  • 우종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 of local-level farming group,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with their crisis deepened by the coming of FT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each farming household's understanding of the farming group organization of fruit nursery tree growing region, and their participational behavior type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organization of farming group oriented to enhance its competence must aim to realize its economic benefits rather than to maintain the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 members of organization. Also it has to orient itself not to abstract causes but to more concrete and practical objects. In addition, the farming group must be organized based on the identity of growing farm product, and in respect of the reliability among the members, there must be a proper level of control that makes the internal control and the harmonious interaction among the members to be possible.

본 연구는 FTA 시대를 맞이하여 위기가 심화된 우리나라 농업/농촌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지역단위 영농조직의 형성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과수묘목재배지역의 영농조직에 대한 개별농가의 인식과 조직내 활동에 대한 참여행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농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영농조직은 구성원의 사회적 관계 유지보다는 경제적 이익실현을 우선적 목표로 하여야 하며, 추상적인 명분보다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목표를 지향해야 한다. 또한 영농조직은 재배작물의 동질성을 기초로 조직되어야 하며, 조직의 규모는 구성원간의 신뢰여부를 고려할때 내부적 통제와 구성원 상호간에 원활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적정수준에서 통제될 필요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