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연결망

Search Result 3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사회적 연결망 자료의 분석

  • 한준;박찬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01-205
    • /
    • 2000
  • 사회적 연결망 분석은 사회학에서 양적 분석방법과 질적 분석방법이 함께 안고 있는 문제, 즉 사회적 실체를 관계에 우선하여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관계가 부차적이고 파생적으로 인식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제안되었다. 연결망 분석은 개인 혹은 집단과 조직간의 관계에 대한 형식적 접근을 통해 그 전반적 혹은 부분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구조의 발현적 속성에 초점을 맞춘다. 조직간의 연결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직의 성과가 조직 자체의 속성 뿐 아니라 조직간의 관계의 속성에 의존함이 밝혀졌다.

  • PDF

Eco-centered Network Analysis of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en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연결망 특성에 대한 연구 -자아중심적 연결망 분석을 통하여-)

  • Rho, Yeon-Hee;Lee, Sang-Gyun;Park, Hyun-Sun;Rhee, Chaie-W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4 no.2
    • /
    • pp.159-183
    • /
    • 2012
  •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s for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en,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social supports provided by their social network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upport-giving and support-receiving networks. Ego-centered network analysis is used for collecting network data on fifty-three migrant wives selected by a snowball sampling method.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receiving and giving networks of female immigrants have similarities rather than differences, which implied that they play roles not only as support receivers, but also as support givers in their social networks. Also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networks' characteristics, such as density and effective size of ego network, and types of support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ess cohesive and less redundant ties female immigrants had, the more diverse and more informational and emotional supports they obtained from their social networks. Due to the sampling method and size,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for the whole popul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Korea. However, it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of female immigrants' social networks.

  • PDF

중국의 사회 연결망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Bang, Hwa-Ryong;Gwon, Su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8.10b
    • /
    • pp.218-234
    • /
    • 2008
  • 중국은 2008년 현재 메신저 이용자 수와 블로그 등의 웹 2.0 이용자 수에 있어서 세계 1위이다. 그리고 중국의 2007년 850억 달러의 인터넷 디지털 시장은 2015년에 264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와 같이 인터넷 시장의 규모와 성장 가능성으로 인해 중국 인터넷 비즈니스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인터넷 동향 중에서 가장 큰 주목을 끌고 있는 웹 2.0 기반의 사회 연결망 서비스 분야에서 다음 세 가지의 연구 질문을 설정하고 그 답을 찾아보았다. 첫째, 중국 사회 연결망 서비스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중국의 대표적인 사회 연결망 서비스 업체로 Tencent QQ와 Sina Poco를 살펴보았고, 중국 사회 연결망 서비스 이용자의 가입 이유, 갱신 이유, 주요 내용, 유상 서비스에 대한 태도 등을 살펴보았으며, 중국 인터넷 사용자의 집단별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중국 사회 연결망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동기부여이론, TAM 이론. 관련 선행연구 등을 검토하여 중국 사회 연결망 서비스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서 사용자 참여, 사회적 영향, 네트워크 효과, 유용성, 시스템 품질 등을 도출하였고 PLS를 이용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사회 연결망 서비스 이용에 유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네트워크 효과, 사용자 참여, 시스템 품질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과 한국은 어떠한 점에서 차이가 있는가? 가장 두드러진 차이는 사회적 영향에 있어서 한국은 유의 적인데 비해 중국이 유의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한국과 중국 사이에 국가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고, 중국이 인터넷 성장기에 있는데 비해 한국은 인터넷 성숙기에 있는 등의 기술적, 사회적, 경제적 발달 과정상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 PDF

Social Network and Social Services Accessibility of Migrant Workers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사회연결망)

  • Lee, Soo-Sang;Jang, Im-S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2 no.4
    • /
    • pp.243-268
    • /
    • 2008
  • This study considers the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efficacy of social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First, it examines migrant workers needs and how they choose to fulfill these. Second, this study grasps about how they can connect the social services and what constructive peculiarities social networks they have by using SNA(Social Network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migrant workers rely more on informal support groups such as family, friends, co-workers, etc. rather than formal support networks, e.g. those provided by the state. This tendency is demonstrated especially, Libraries as formal supporting organization have no connection related with other organizations. It shows that they have role limited as a supporter of giv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a public.

A Framework Based on A Semantic Graph for Visualization of Influence On A Social Network (시멘틱 그래프 기반의 사회연결망 영향력 시각화를 위한 연구)

  • Jang, Seok-Hyun;Lee, Kyung-Won;Jang, Sun-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432-438
    • /
    • 2007
  • 이 연구는 정보 간의 관계에서 도출되는 특징을 적합하게 보여줄 수 있는 시각화를 위한 선행연구이다. 정보의 관계에 주목하는 이유는 관계 구조를 통해 정보의 성격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보의 관계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다. 정보를 구성하는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는 다양한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연결망의 관계 분석 지표를 통해 관계의 성격과 특징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연결망에서 관계의 성격을 도출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다뤄지는 영향력을 연구범위로 설정하고, 연결망 내의 관계의 요인과 영향력의 지표를 분류하고 연결한다. 이를 통해 사회연결망에서 영향력을 나타내는 관계의 요소를 중심으로 관계의 시각화 과정에 있어 적합한 시각화 프로세스를 온톨로지 개념을 사용하는 시멘틱 그래프에 적용해 보았다. 영향력의 각 관계 요소는 공통적인 개념과 성격, 측정 요소를 통하여 노드와 링크의 네트워크 형태의 그래프로 형성되었다. 영향력 시멘틱 그래프는 사회연결망의 영향력 요소를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시멘틱 그래프의 적용 범위를 연결망 시각화 전반을 확장하여,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각화 프로세스의 설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An Analysis of Information Diffusion in the Blog World (블로그 월드에서 정보 파급 분석)

  • Kwon, Yong-Suk;Kim, Sang-Wook;Park, Su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223-226
    • /
    • 2008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온라인상에서도 사회연결망이 나타나고 있다. 블로그 월드는 대표적인 온라인 사회연결망이다. 블로그 월드의 구성원인 블로거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정보를 얻기 위하여 다른 블로거와 명시적 관계를 맺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관계를 통해 온라인 사회연결망인 블로그연결망을 구성한다. 사회 연결망 이론에서는 사회 연결망에서 정보의 파급이 구성원간의 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러나 블로그 연결망과 실제 블로그 월드에서 발생한 정보 파급 이력을 비교 관찰해 보면, 사회연결망 이론과 달리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원 사이에서 정보 파급이 일어난다. 또한, 정보의 파급이 폭발적으로 일어나는 현상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두 현상이 서로 연관이 있음을 밝히고,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을 규명하는 분석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구성원 간에 정보 파급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후보원인들을 모두 도출한다. 다음으로, 폭발적인 정보 파급 현상을 보이는 정보의 집단을 데이터 마이닝의 클러스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도출한다. 도출된 정보의 집단과 후보 원인간의 상관관계를 데이터 마이닝의 특성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구한다. 블로그 월드는 구성원과 그 사이의 관계, 정보 파급 이력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실제 블로그 월드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로그 월드에서 정보의 폭발적 파급을 유발하는 원인들을 규명하고 그 원인들이 가지는 특징을 설명하였다.

Social Network of Sports for All's Instructor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사회체육지도자의 사회연결망과 직업성취)

  • Kim, Kyong-Si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393-403
    • /
    • 2012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cial network of sports for all's instructor and occup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sampled 240 instructors of sports facilities of Seoul utiliz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in 2011. But this study finally used 203 samples in data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instruments tested by expert meetings and reliability analysis. Chronbach's ${\alpha}$ is over .674. Data analysis 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Conclu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gender, number of employment influence on employment throughout individual network. Second, social network influences on occupational achievement. Namely, individual network influences on wage satisfaction, social network influences fitness of academic career.

A social network monitoring procedure based on community statistics (커뮤니티 통계량에 기반한 사회 연결망 모니터링 절차)

  • Joo Weon Lee;Jaeheon L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6 no.5
    • /
    • pp.399-413
    • /
    • 2023
  • Recently, monitoring and detecting anomalies in social networks have become an interesting research topic.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etection of abnormal changes in a network modeled by the DCSBM (degree corrected stochastic block model), which reflects the propensity of bot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To this end, we propose three methods for anomaly detection in the DCSBM networks: One method for monitoring the entire network, and two methods for dividing and monitoring the network in consideration of communities. To compare these anomaly detection methods, we design and perform simula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method for monitoring networks divided by communities has good performance.

Correlation Between Social Network Centrality and College Students'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사회 연결망 중심도와 학습자 성과 간의 상관관계)

  • Jo, II-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0 no.2
    • /
    • pp.77-87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 centrality variables on students' performance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Using data from 36-student course on Learning Theories and Their Implica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Practices, the researcher empirically tested how social network centrality variables - such as friendship network centrality, advice network centrality, and adversary network centrality - a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measures. Results indicate, as hypothesized, the friendship and advice centrality positively correlate with, whereas the adversary centrality being negatively correlate with application performance measures and test scores. The size and quality of posted online discussions are positively and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advice network centrality.

  • PDF

A Framework for Visualizing Social Network Influence (사회연결망 영향력 시각화를 위한 프레임워크)

  • Jang, Sun-Hee;Jang, Seok-Hy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1
    • /
    • pp.139-146
    • /
    • 2009
  • This paper deals with visualization that can appropriately show the characteristics deduced from relationships between pieces of information. The visualization of influence, which is used as an important index in de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s in social network analysis, was selected as research topic, and first, the elements that show relationships within the network and the index that show influence were classified and organized. Second, the links between relational elements that show influence in social network were examined, and an influence visualization network was created. Third, an influence visualization framework was proposed which explains the interaction between social network analysis and visualization process. The influence visualization network and framework being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sed not only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elements that influence social network but also to make it possible to have a rational and efficient approach to network visualization. Hopefully, they will become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to information desig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