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ntaneous Resolution Rate and Predictive Factors of Resolution in Children with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

소아에서 일차성 방광요관역류의 자연소실율 및 관련 인자

  • Kang, Eun-Young (Department of Pediatrics,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im, Min-Sun (Department of Pediatrics,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won, Keun-Sa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Park, Eun-Hye (Department of Pediatrics,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Dae-Yeol (Department of Pediatrics, Research Institute of Clinic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강은영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임상의학연구소) ;
  • 김민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임상의학연구소) ;
  • 권근상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은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임상의학연구소) ;
  • 이대열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임상의학연구소)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Purpose : To analyz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pontaneous resolution rate and predictive factors of resolution in children with primary vesicoureteral reflux(VUR). Methods : Between October 1991 and July 2003, 149 children diagnosed with primary VUR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of the patients were maintained on low-dose antibiotic prophylaxis and underwent radionuclide cystograms at 1 year intervals over 3 years after the initial diagnosis of VUR by voiding cystourethrogram was made. Results : The median time to resolution of VUR was 24 months and the total 3 year-cumulative resolution rate of VUR was 61.7%.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resolution of VUR according to univariate analysis-; age<1 year, male gender, mild grade of reflux, unilateral reflux, congenital hydronephrosis as clinical presentation at time of diagnosis of VUR, absence of focal defects in the renal scan at diagnosis, absence of recurrent UTI, renal scars and small kidney during follow-up. After adjustment by Cox regression model, five variables remain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VUR resolution; age<1 yew, relative risk 1.77(P<0.05), VUR grade I+II 2.98(P<0.05), absence of renal scars 2.23(P<0.05), and absence of small kidney 5.20(P<0.01) during follow-up. Conclusion : In this study, spontaneous resolution rate of VUR, even high grade reflux, is high in infants during medical management, and it was related to age, reflux grade at diagnosis, absence of renal scars and small kidney during follow-up. Therefore early surgical intervention should be avoided and reserved for the selected groups.

목적 : 소아의 일차성 방광요관역류는 요로감염과 이로 인한 신손상의 위험성이 높지만 방광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 소실되거나 호전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성 방광요관역류의 임상적 특성과 자연소실율 및 그와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1년 10월부터 2003년 7월까지 본원 소아과에서 일차성 방광요관 역류로 진단되어 예방적 저용량 항생제 치료를 받았던 총 149명 소아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대상 환아들은 12-18개월마다 동위원소 방광요도 조영술을 실시하여 역류가 소실되지 않은 경우 3년 이상 추적 검사하였다. 결과 : 대상 환아 149명 중 남아는 73.2%로 여아보다 많았고, 1세 미만은 69.1%로 이 중 남아가 86.4%로 대부분이었다. 역류의 진단 당시 평균 연령은 $16.1{\pm}21.1$개월이었고, 임상 양상으로는 요로 감염이 91.3%로 가장 많았다. 역류의 자연 소실 median time은 24개월이었고, 총 3년 누적소실율은 61.7%였다. 역류의 자연 소실과 관련된 인자들 중 남아, 1세 미만 영아, 낮은 역류의 등급, 일측성 역류, 산전 초음파상 수신증이 있어 역류가 진단된 경우, 형제간에 역류의 가족력이 없었던 경우, 진단당시 신 스캔상 신피질 결손이 없었던 경우, 추적 검사상 요로감염 재발 및 신손상이 없었던 경우의 자연 소실율이 더 높았다.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역류의 자연소실과 독립적으로 관련된 유의한 인자들로는 1세 미만 영아 relative risk 1.77(P<0.05), 낮은 역류 등급(I+II) 2.98(P<0.05), 추적 중 신반흔 형성이 없는 군2.23(P<0.05), 신위축이 없는 군 5.20(P<0.01)이었다. 결론 : 본 연구결과 소아의 일차성 방광 요관 역류는 높은 자연 소실율을 보였으며, 특히 영아기에 진단된 경우 IV 등급 이상의 높은 등급에서도 자연 소실율이 높아 조기의 수술적 치료는 피하고 약물요법을 지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역류의 자연 소실은 진단 당시 연령, 역류의 등급과 추적 검사상 신반흔 및 신위축의 유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