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Wonju Medical Equipment Industry Cluster

원주의료기기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 Lee, Woo-Chun (Planning Dept., Wonju Medical Industry Techno Valley Foundation) ;
  • Yoon, Hyung-Ro (Wonju Medical Industry Techno Valley Foundation)
  • 이우천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기획실) ;
  • 윤형로 ((재)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Wonju Medical Equipment Industry, despite of its short history, poor sales and weak manpower and so on, have shown remarkable outcome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At the end of 2007, totally 79 enterprises (only 4.6% of whole enterprises in Korea) made 10% of the nationwide production and 15% of the nationwide exports with an annual average growth rate of 66.7%, contributing domestic medical equipment industry tremendously. In addition, many leading medical equipment enterprises in various fields already moved or plan to move to Wonju, accelerating Wonju Medical Equipment Cluster. Wonju Medical Equipment Industry Cluster now enters into the growth stage, getting out of the initial business setup stage. Especially, the nomination of Wonju cluster project from the government accelerates networking (e.g. the development of the universal parts, the establishment of the mutual collaboration model among enterprises, and the mutual marketing), making a rapid growth in Wonju Medical Equipment Industry. Wonju Medical Equipment Industry Cluster revealed positive outcomes despite of the weakness in investment size and infra-structure comparing with the other medical industry cluster in the advanced country, while many domestic enterprises pursued their own growth models and thus failed to promot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Wonju Medical Equipment Industry has been developed rapidly. However, there are many challenging problems to support enterprises: small R&D investment and thus weak technology power, difficulties in recruiting R&D engineers, and poor marketing capabilities, financial infrastructure & policies, and network architecture. In order to develop a world-competitive medical equipment industry cluster at Wonju, the complement of infrastructures, the technology innovation, the mutual marketing, and the network expansion to support enterprises are further required. Wonju' s experiences in developing medical equipment industry so far suggest that our own flexible cluster model considering the industry structure and maturity for different regions should be developed, and specific action plans from the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based on their systematic strategies for industry development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build world-competitive industry clusters in Korea.

원주의료기기 산업은 업력, 매출, 인력 등의 열악한 초기조건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괄목할만한 성과를 나타냈다. 2007년 말 기준 기업 수 79개로 전국대비 4.6%가 원주에 입주하고 있으며, 매출액은 국내 총생산의 10%, 국내 총수출의 15%를 차지하고 지난 3년간 평균성장률 66.7%로 국내 의료기기산업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의료기기산업의 각 분야별 대표업체가 이미 원주로 이전하였거나, 이전계획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 원주의료기기 클러스터 형성이 가속화될 것이다. 현재 원주의료기기 클러스터는 초기 창업단계를 벗어나 성장단계로 진입하고 있다. 특히, 중앙정부의 클러스터 사업유치로 공통부품개발, 기업 ${\infty}{\pounds}$ 협력모델 구축, 공동마케팅 추진 등 네트워크 기능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비록 선진국의 의료산업 관련 클러스터와 비교할 때 투자금액이나 인프라 측면에서 크게 미약하지만 지금까지 국내 의료기기 업체들의 독자적 성장모델 추구로 인해 국제경쟁력 확보에 실패하였다는 과거의 문화를 바꾸고 있다는 측면에서는 긍정적 성과를 이루었다고 판단된다. 원주의료기기 산업이 단기간에 급속히 발전했지만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춘 선진 산업클러스터와 비교하면 산업규모나 기업지원 인프라가 아직은 대단히 취약하다. 요약하면, 적은 R&D투자와 그에 따른 기술력 취약, 의료기기 연구개발 인력확보의 어려움, 국내외 마케팅 역량취약, 금융 인프라와 제도적 지원정책의 부족, 혁신주체들 간 네트워킹의 미성숙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원주의료기기 산업을 세계적 경쟁력이 있는 의료기기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부족한 관련 인프라를 보완하고 기술혁신과 공동마케팅, 기업지원 네트워크 확대가 더욱 필요하다. 지금까지 원주에서 추진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판단하면 결론적으로 지역에 따라 차별화되고 산업구조 및 성숙도에 적$\ll$朗(낭)-유연한 형태의 우리만의 클러스터 모델발굴과 체계적인 산업육성전략 수립에 필요한 지자체 및 중앙정부의 구체적인 역할모색이 있어야만 원주의료기기 산업이 세계적인 클러스터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