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olicies and Strategy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Korea

우리나라 기술혁신의 전략과 정책에 관한 연구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rogress of digital revolution leads to technology and industry infusion which make new products and new commodity markets in the existing industries. Under the circumstance of new innovation patterns in industries and globalization of the world, innovation firms adapt different evolution processes for different business situations. Technological innovation enhances the competitiveness of fins in the business world. This paper shows the research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which make constant economy growth in the knowledge based economy. And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polic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the future growth of society. Main focu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survey on technological innovation is reviewed. Second, the program and the supporting system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USA and Europe are investigated. Third,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Korea is analysed. Fourth, strategy and suggestion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21st century knowledge based economy is suggested through the window of cluster and regional economy development.

디지틸혁명이후 기술융합과 산업융합으로 발전하여, 새로운 제품과 상품시장의 부상으로 기존 산업의 혁신패턴 변화와 지식기반경제의 시장 및 글로벌 혁신기업들의 변화가 더욱 다양하게 진화 발전하고 있다. 기술혁신으로 촉발된 사회경제적 효과가 국가의 지속적인 경제성장과 기업의 경쟁력 제고 측면에서 더욱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21C 지식기반경제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하기 위한 기술혁신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미래지향적 기술혁신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기술혁신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미국과 유럽의 기술혁신 프로그램과 지원시스템을 연구분석하였다. 셋째, 우리나라의 기술혁신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 정리하였고, 마지막으로 21C 지식기반경제의 경쟁력 있는 기술혁신 발전 전략과 시사점을 클러스터와 지역경제 활성화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