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Optimal Combination of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of UTM-K for Application of Korea Peninsula

한반도 전역에 적용할 최적의 UTM-K 투영 중앙자오선 및 축척계수 결정에 관한 연구

  • 이희범 (육군3사관학교 건설공학과) ;
  • 허준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김우선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이정빈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In this paper, a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combination of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of UTM-K to apply for the whole area of Korean peninsula. For this research, various combinations of central meridian and stale factor are set up and the cumulated level or distortion for each combination has been comput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using the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defined in the present UTM-K, the level of distortion shows about $47.0837{\times}10^{-2}$.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distortion which is about $21.0495{\times}10^{-2}$ can be obtained when the $127^{\circ}26'$ for the central meridian and 0.99991 for scale factor are used for computation. Consequently, we can conclude that later result is the optimum combination of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for the Korean peninsula.

한국형 UTM 좌표계는 현행 좌표계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GIS를 기반으로 하는 첨단 산업에도 다양하게 적용 될 수 있도록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전역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UTM-K 투영 중앙자오선과 축척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조합을 설정한 후 각각의 경우에 발생하는 지도의 누적 투영 왜곡량을 비교함으로써 결론을 도출하였다. 남한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 도입된 현행 UTM-K에서 정의한 기준을 한반도 전역에 적용해 본 결과, 지도 투영으로 인한 누적 투영 왜곡량은 $47.0837{\times}10^{-2}$로 나타났다. 반면에 투영 중앙 자오선을 $127^{\circ}26'$, 축척계수를 0.99991로 설정했을 경우 누적 투영 왜곡량이 $21.0495{\times}10^{-2}$으로 최소값을 보였다. 따라서 한반도 전역에 적용할 최적의 UTM-K 투영 자오선은 $127^{\circ}26'$, 축척계수는 0.99991라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05), 기본지리정 묘화기반 표준연구
  2. 송영선, 허준, 손홍규, 김우선 (2006), UTM-K 도입에 따른 지도 투영왜곡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4호, pp. 313-318
  3. 이영진, 조규전, 김원익 (1996), 한국측지좌표계의 재정립에 대한 연구, 한국측지학회지, 제14권,제2호, pp. 141-150
  4. 이영진, 차득기, 김상연 (1999), GRS80타원체로의 지도변환과 좌표변화량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17권, 제3호 pp. 265-272
  5. 이용장, 강준묵 (1998), UTM투영에 의한 Bessel과 WGS84 타 원제간의 2차원 측지좌표변환 연구, 한국측지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49-158
  6. 조규전 (1996), TM투영에서의 좌표변환에 관한 연구, 한국측지학회지, 제14권, 제2호 pp. 119-126
  7. 전재흥, 조규전 (1998), 지도투영과 투영왜곡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327-335
  8. 최윤수, 박홍기, 이호남 (2006), 남북한 측량제도 및 지리정보 통합방안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4권, 제2호 pp. 193-200
  9. Blachut, T. J., C. Adam, H. S. Jouko (1979), Urban Surveying and Mapping, Springer-Verag Heidelberg Berlin Inc
  10. Bomford, A. G. (1962), Transverse Mercator Arc-to-Chord and Finite Distance Scale Factor Formulae, Empire Survey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