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형 UTM 좌표계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Analysis of Map Projection Distortion for UTM-K (UTM-K 도입에 따른 지도 투영왜곡 분석)

  • Song, Yeong-Sun;Heo, Joon;Sohn, Hong-Gyoo;Kim, Woo-S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4
    • /
    • pp.313-318
    • /
    • 2006
  • Recently, the single plane coordinate system which has one origin is required to create and manage continuous geographic framework data of entire Korean peninsula. For this, UTM-K (Univercial Transverse Mercator-K) was established in 2005. In this paper, the level of distortion was analyzed with respect to the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of UTM-K. The latitude and longitude values of the center point of 1/25000 scale digital maps were used for calculating the scale factor which was created by projection and the scale factor was used for index that presents the degree of distortion. As a result, accumulated distortion of scale factor by UTM-K map projection showed about $23.744{\times}10^{-2}$.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distortion which was about $5.1435{\times}10^{-2}$ occurred when central meridian is $127^{\circ}\;42'$ and scale factor of central meridian was 0.99994 respectively.

A Study on the Optimal Combination of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of UTM-K for Application of Korea Peninsula (한반도 전역에 적용할 최적의 UTM-K 투영 중앙자오선 및 축척계수 결정에 관한 연구)

  • Lee, Hee-Bum;Heo, Joon;Kim, Woo-Sun;Lee, J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5 no.1
    • /
    • pp.39-45
    • /
    • 2007
  • In this paper, a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combination of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of UTM-K to apply for the whole area of Korean peninsula. For this research, various combinations of central meridian and stale factor are set up and the cumulated level or distortion for each combination has been computed and compared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using the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defined in the present UTM-K, the level of distortion shows about $47.0837{\times}10^{-2}$.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distortion which is about $21.0495{\times}10^{-2}$ can be obtained when the $127^{\circ}26'$ for the central meridian and 0.99991 for scale factor are used for computation. Consequently, we can conclude that later result is the optimum combination of central meridian and scale factor for the Korean peninsula.

북한 예성강 유역의 수문분석을 위한 GIS/RS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정승권;전무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04-808
    • /
    • 2004
  • 최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남북한 교류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가고 있는 지금 어느때보다 북한에 내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동안 북한과 관련된 인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인문${\cdot}$사회과학분야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자연과학 및 공학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실정이다(배덕효, 1999). 특히 수자원 관련분야는 최근 몇몇 학자들이 원격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한 바 있으나 그 결과는 매우 미비할 실정이다. 북한은 유역탐사 및 샘플채취 등을 위한 접근자체가 어렵기 때문에 자료의 수집 및 보정에 있어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문헌을 통해서만 소개된 북한지역의 유역특성에 따른 수자원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인공위성자료와 지형자료를 이용한 원격탐사(RS:Remote Sensing) 및 지리정보시스템(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법을 이용하여 유역의 유출특성을 파악하였다. 대상유역으로 선정한 북한 예성강 유역은 수자원이 풍부하고 유역경사가 비교적 완만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용수이용에 있어서도 양수장을 이용하여 관개배수를 시행하는 북한지역의 일반적인 사례와는 달리 신곡저수지, 예의 저수지 등 대규모 저수지를 통한 관개를 시행하고 있어 남한유역과 유사한 점이 많기 때문에 적용에 있어 큰 무리가 없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지형자료 구축을 위한 인공위성 자료는 USGS(US Geological Survey) DEM(Digital Elevation Model)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ro) 지구좌표계의 DEM 자료로 변환하였다. 또한 유역의 고도차를 이용한 흐름특성 분석을 위해 수치고도자료를 이용하여 유역흐름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TOPAZ(Topographic PArameteri-Zat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TOPAZ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된 각 격자별 분포형 수문 매개변수는 적합한 관계식을 통해 분포형 유출량을 모의하는데 적용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