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효천유적 출토 청동기시대 석기의 재질특성과 원산지 추정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Stone Artifacts of Bronze Age from the Hyocheon Site in Gwangju, Korea

  • 박성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정일 (전남문화재연구원)
  • Park, Sung-Mi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i-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eong, Il (Jonnam Cultural Properties Research Center)
  • 발행 : 2007.09.20

초록

이 연구는 광주 효천 2지구 유적지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석기를 대상으로 재질분석과 석재의 원산지를 검토한 것이다. 연구대상 석기는 안산암제 굴지구 1점, 납석제 갈돌 1점, 편암제 석겸 1점, 점판암제 반제품 4점이다. 굴지구로 이용된 안산암은 이 유적지 일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암석이다. 그러나 갈돌, 석겸 및 석촉이나 반제품으로 사용된 납석과 편암 및 점판암은 유적지에서 최소한 10km 이상 떨어진 화순군 동면 화순광업소 부근의 노두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분포지역도 비교적 넓다. 이들을 각각의 석기와 동일 근원암석으로 짝을 이루어 분석하였을 때, 석기와 추정산지 암석은 모두 재질 및 광물학적 특징이 거의 동일하였다. 원소의 거동과 부화 및 호정성과 불호정성을 이용하여 표준화하였을 때도, 석기와 추정산지 암석의 지구화학적 진화경향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 굴지구는 무등산으로부터 운반되어 온 유적지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을 원료로 제작한 자급형 석기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한편 갈돌과 석겸 및 석촉이나 반제품 석기의 구성암석은 유적지에서 10km 이상 떨어진 화순광업소 부근에서 재료를 조달하여 제작한 외래형 석기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외래형 석기의 도입과정에 대하여는 당시 인류의 이동과 함께 전래되었을 가능성, 주변 부족간의 거래에 의한 확산, 전쟁을 통한 전리품 또는 노획품, 물자의 이동과 교역 등, 모든 가능성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는 고고학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stone artifacts in Bronze age from the Hyocheon sites in the Gwangju, Korea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s. The use and rock names of the artifacts are a stone shovel by andesite, the stone grinding pestle by pyrophyllite, the stone sickle by schist and four stone semifinished artifacts by slates. Andesitic stone shovel could be observed easily around the Hyocheon relic site. But, rocks of the stone grinding pestle, the stone sickle, the stone arrowhead and the stone semifinished artifacts could be confirmed typical occurrences of the all kinds of rocks around the Hwasun coal mine area above 10km from the site. These are made the coupled samples with each stone artifact to the same kinds of raw material rocks based on analysis of the lithology and geochemistry. As a result a geochemical evolution trends of both a stone artifact and the rock showed very similar patterns based on normalization using the behavior, enrichment, compatibility and incompatibility of the elements. Therefore, the source rock of the stone shovel was convey from Mudeung mountain possible interpreted that the domestic-type artifacts are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the Hyocheon site. On the other hand, the stone grinding pestle, the stone sickle, the stone arrowhead and the stone semifinished artifacts were convey from the Hwasun coal mine area possible foreign-type stone artifacts interpreted that the source rocks. Consequently, in the foreign-type stone artifacts are should archaeologic research which it can examine various possibilities clearly that the possibility to coming the introduction with the mankind migration, diffusion to dealings of tribe, the captured enemy equipment through the war and the trade with the behavior of the materia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