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석기

Search Result 1,769,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f Stone Industries of Korea (한국선사시대 석기문화에 대한 연구: 석기문화와의 진화)

  • 배기동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1 no.1
    • /
    • pp.1-24
    • /
    • 1997
  • 한반도의 석기문화는 전기구석기부터 시작되는데 동아시아지역에 퍼져 살던 고인류 집단의 일파가 한반도로 확산하여 온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의 석기문화는 아슐리안주먹도 끼를 공반한 정형화되지 않은 구석기공작이었다, 중기구석기는 르발르와기법의 유무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으며 전기적인특성이 그대로 지속되는 시기이다. 그러나 약 3만년전의 후기구 석기시대가 되면 석인석기공작이 나타나고 석기도 대단히 정교해 지는데 이 석기 공작은 동 아시아로 확산되어 오던 현생인류의 도구이었다. 바이칼호부근에서 기원한 세석인문화는 한 반도의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이 석기공작은 중석기를 거쳐 신석기에 이를 때 까지 눌러 떼 기기법과 함께 존속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마제기법이 나타나게 되고 어로용도구들이 새로 이 추가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간단한 가공으로 만든 농경구들이 추가되기 시작하는데 중후 기에 가서는 마제농경수확구가 증가하게 된다, 청동기시대에는 금속기의 영향을 받은 마제 석검등의 대단히 정교한 석기들이 훌현하고 또한 석기의 기능에 의례적인 기능이 추가되면 서 양식이 분화하기 시작한다, 그러면서 생산구들도 효율성이 높게 발달해 나가게 된다.

  • PDF

Archaeological Reaserach of the Isimila Site, Tanzania and A Comparative Archaeology of Acheulean Industries in East Africa and East Asia. (탄자니아 이시밀라 아슐리안 유적발굴 조사 연구)

  • Bae Ki-dong
    • KOMUNHWA
    • /
    • no.63
    • /
    • pp.5-42
    • /
    • 2004
  • Several new results were come from the third excavation of the Isimila site in Tanzania which is well known for typical Acheulean industry from the late Middle Pleistocene deposit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2003 by the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

  • PDF

A Study of Technological Context Between Sub-wedge Shaped Core and Blade Tool Culture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측면몸돌과 돌날석기문화와의 기술적 맥락에 대한 연구)

  • Lee Heon-jong
    • KOMUNHWA
    • /
    • no.63
    • /
    • pp.65-82
    • /
    • 2004
  • The most typical period of Upper Paleolithic age in Korea is related with a blade tool culture and a microblade culture. Recently, we can figure out that there were a typical blade tool culture of Korea by being discovered to Goreari site and Jingnel site

  • PDF

Improvement of Analysis Speed in Korean Morphological-Analyzer Using Ameliorated Dictionary (사전 성능개선을 통한 한국어 형태소분석기의 분석속도 향상)

  • Kim, Young-Kwan;Park, Min-Sik;Choe, Jin-Suk;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79-483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사전 구조와 탐색알고리즘을 개선하여 형태소분석기의 분석 속도를 향상시켰다. 형태소분석기의 분석시간은 사전탐색과 제약검사의 비중이 크다. 따라서 형태소분석기의 처리속도는 사전 탐색 기법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형태소분석기에서 사용되는 사전의 탐색속도 향상과 한 문서에 나타나는 동일한 어절에 대해서 cache를 사용하여 형태소분석기의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였다. 또한 기존의 형태소분석기에서 속도 증가를 위해 사용하는 어절-형태소분석결과 사전을 활용하여 더 발전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어절-형태소분석결과 사전을 사용할 때, 분석 속도향상을 위한 새로운 가속기법인 '하이브리드(HyBrid)'방법을 사용하여 어절-형태소분석결과 사전의 적중률을 높였다.

  • PDF

Interdisciplinary Study on Bronze Age Artifacts in Midwestern Korea: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 for Stone Artifacts of the Sinsongri Site in Seosan (한반도 중서부 청동기시대 유물의 융합과학적 연구: 서산 신송리유적 석기의 재질특성과 산지추정)

  • Lee, Chan Hee;Kim, Ran Hee;Eo, Eon Il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30 no.2
    • /
    • pp.205-217
    • /
    • 2014
  • The stone artifacts in Bronze age from the Sinsongri sites in Seosan, Korea were studied on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presumptions. The use and rock names of the artifacts are a stone before processing, two semifinished stone arrowheads and a grinding stone plate by slates. In addition, there is semifinished stone arrowhead by andesitic rocks. The slate could be observed easily around the site, and the andesitic rock could be confirmed typical occurrences of the all kinds of rocks around the Kanwoldo and Hwangdori, Anmyun area above 10km from the site. As a result of analysis which is comparing between stone artifacts and same kinds of raw material rocks, the stone artifacts made by slates have similar litho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tone artifacts made by andesitic rocks are found a some different part of characteristics to the same kind of raw material rocks. Comparing of major, rare ear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elements about stones artifacts made by slates and by the same kinds of raw material rocks have same geochemical patterns. However stone artifacts made by andesites and the raw material rocks are confirmed some differences of geochemistry. Therefore the slate stone artifacts in Sinsongri site suggest that these are domestic-type which are made of the rocks around the site, and it was understood that the andesitic stone artifacts are foreign-type which need to get more geological survey and study about different volcanic artifacts of the site around the area.

Quantitative Analysis and Archaeogeological Interpretation of Stone Implements from the Unjeonri Bronze Age Relic Site (천안 운전리 청동기 유적지에서 출토된 석기의 정량분석과 고고지질학적 해석)

  • Lee, Chan Hee;Oh, Kuy Jin;Lee, Hyo Min;Lee, Myeong Seong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12 no.1 s.15
    • /
    • pp.31-47
    • /
    • 2003
  • The stone implements from the Unjeonri relic sites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petrology, geochemistry and archaeogeological interpretations. Magnetic susceptibility (MS) of the stone implements were mainly lest than 0.5 $(10^{-3}\;SI\;unit)$, however, stone axe of syenitic rock (2.37), stone axe of schist (0.19) and stone knife of slate (0.11) showed different from the some measured rocks of an outcrop. Geochemical evolution trend of both a stone implement and the surface rock were identical when it a normalization to use the behavior, enrichment, compatibility and incompatibility of the elements. But, some rocks of a axe (schist), a knife (slate), a arrowhead (shale) could not confirm typical occurrence and the distribution area within the Unjeonri site and a radius 10 km. In the Unjeonri site, the stone implements suggest that coexisting two types as domestic- and foreign-type lithic artifacts.

  • PDF

프랑스 후기구석기시대의 돌감 찾기와 쓰기: 빠또 바위그늘유적 2문화층의 예

  • 공수진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2 no.1
    • /
    • pp.9-16
    • /
    • 1998
  • 이글은 프랑스 남서부 지방에 있는 빠또 바위그늘유적의 제 2문화층(22,000 B.P.)에 서 나온 석기를 만드는데 쓰였던 돌감과 그 사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빠또 유적의 석기는 대부분 부싯돌로 만들었는데 이들은 원산지에 따라서 유적지 가까운 곳에서 쉽게 구할수 있 는것과 멀리서 가져온거 두 종류로 크게 나눌수 있다. 돌감의 사용은 석기에 따라서 크게 달라서 잔손질된 연모를 만드는데 외래암질 특히 베르쥬락지방에서 찾을 수 있는 부싯돌이 많이 쓰였다 또한 잔손질된 연모사이에서도 석기 유형에 따라서 돌감이 다르게 쓰여서 일상 생활에서 오랜동안 자주쓰일 연모를 만들 때 먼곳에서 가져온 좋은 질의 돌감을 우선적으로 썼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돌감 구하기와 밀감의 쓰임새가 빠또 2문화층에 살았 던 사람들의 석기제작 과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고 할수 있겠다.

L'OUTILLAGE ARCHAIQUE DANS LE PERIGORDIEN SUPERIEUR (후기 뻬리고디엥 문화의 고형석기)

  • Young-Wha Chung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7 no.1
    • /
    • pp.103-111
    • /
    • 1993
  • Apres le Perigordien ancien, les proportions de l'outillage archaique du Prerigordien decroissent progressivement au fur et a mesure que les industries perigordiennes se developpent. Dans le Perigordien superieur ( couche Ⅵ du Flageolet I ) les outils archaiques sont beaucoup moins frequents que dans le Perigordien ancien, mais ils perdurent encore en proportion notable et leur indice atteint 31,23. Par la suite, dans le Perigordien superieur evolue la frequence de l'outillage archaique est naturellement la plus faible pour le Perigordien et 1'indice moyen d'outils archaiques y descend a 17,99.

  • PDF

Operating Principle of Residual Gas Analyzer (잔류가스분석기 (RGA)의 작동원리)

  • Park, C.J.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7 no.4
    • /
    • pp.262-269
    • /
    • 2008
  • The residual gas analyzer (RGA) is employed for the process control of a vacuum system by measuring residual gases in it. This review paper introduces operating principles of the RGA and problems that can be encountered during use, together with their possible solu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