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ariations of Grain Textural Parameters of Beaches by Coast Development at East Coast Korea Peninsula

연안 개발에 의한 동해 해빈 퇴적물의 입자 조직 특성의 변화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i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natural beaches with those of beaches developed with artificial structures in the East Coast of Korea. Naksan-Osan beaches were selected for the examination of natural beaches and Anmok-Yumjun beaches for that of developed beache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foreshores and backshores of the selected beaches, and was based on the field research during the flood period of year 2004 and the dry period of year 2005. In Naksan-Osan beaches, pain size is fuel and sorting is better from northern coast to southern coast. Furthermore, sediment undergoes changes regularly and seasonal variations are small. But in Anmok-Yumjun beaches, grain size is coarser and sorting is worse than in Naksan-Osan beaches, showing irregular tendencie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wo beaches would be effected by longshore currents which change along the type of coast line and have an effect on sediment. Especially, long shore currents interrupt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Anmok-Yumjun beaches may cause sedimental environment changes. In Anmok-Yumjun beaches, harbor expansions will be continued, and thus more change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beaches.

한반도 동해에서 자연 상태의 해빈(낙산-오산 해빈)과 인공구조물이 설치된 해빈(안목-염전 해빈)의 퇴적물을 조사하고 두 해빈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2004년 홍수기와과 2005년 갈수기에 해빈의 후안 및 전안에 대해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낙산-오산 해빈의 후안 및 전안에서는 해빈 남측으로 가면서 평균입도가 세립해지고 분급이 양호해지는 등 퇴적상과 조직변수가 일정하게 변화하였으며 계절간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안목-염전 해빈은 낙산-오산 해빈에 비해 후안 및 전안의 평균입도가 조립하고 분급이 불량하며 양의 왜도 값이 많았고 연근해를 포함하여 조직변수의 전체적인 변화 경향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두 해빈의 특징은 해안을 따라 흐르는 연안류가 해안선의 형태에 따라 변화하고 이로 인해 퇴적물의 특성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특히 안목-염전 해빈은 인공구조물(안목항)이 연안류의 흐름을 막아 자연 상태와는 다른 퇴적환경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목-염전지역은 항만의 공사가 추가로 계획되어 있어 향후 지속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규한, 백종대, 2002, 동해안 중소어항 인근 해안침식 방지대책.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4), 247-256
  2. 김인호, 이정렬, 2004, 동해 안목항 주변 연안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6(2), 108-119
  3. 류상옥, 김주용, 장진호, 조영길, 신상은, 은고요나, 2006, 조간대성 해빈 퇴적물의 이동양상에 관한 연구. I. 한국 남해안의 득량만. 지구과학회지, 27(2), 221-235
  4. 류상옥, 신용식, 2006,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지구과학회지, 27(6), 659-669
  5. 신승호, 이중우, 2000, 외해구조물 건설에 따른 해빈 변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2(2), 96-107
  6. 오재경, 유규철, 1997. 한반도 동남부 해빈 퇴적물의 조직 변수의 특징. 인하대학교 기초 과학연구소 18, 87-94
  7. 오재경, 금병철, 2002, 대조차환경 침식연안의 퇴적학적 특성. 지구과학회지, 23(7), 565-574
  8. 유규철, 오재경, 1998. 동해 연안 표층퇴적물의 이동경로.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1), 50-55
  9. 장진호, 김여상, 조영길, 1999, 해안침식이 우세한 반폐쇄적 조간대의 퇴적작용: 한국 서해안의 함평만.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4(2), 117-126
  10. 정승진, 김규한, 편종근, 2003, 남항진 해안의 장기 해안선 변화조사 및 정확도 평가. 2003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 4976-4981
  11. 최병호, 강경구, 이석우, 1989, 사강하구의 조석 및 토사이동.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1), 31-43
  12.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강릉도폭(1:25,000)
  13.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01, 속초도폭(1:25,000)
  14. 함계윤, 김진홍, 장대정, 2002, 학동 해빈의 침식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14(1), 65-75
  15. Davis, R.A., 1985,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Springer-Verger: New York Berlin Heidelberg Tokyo, 380-444 p
  16.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s. 159 p
  17. Folk, R.L. and Ward, W.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size parameters. J. Sediment. Petrol, 27(1), 3-26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8. Heward, A. P., 1981. A review of wave-dominate clastic shoreline deposits. Earth Sci. Rev., 17, 223-276 https://doi.org/10.1016/0012-8252(81)90022-2
  19. Komar, P.D., 1976. Beach Processes and sedimentation. Prentice Hall, 168-202 p
  20. Shepard, F.P., 1963. Submarine Geology, 2nd ed. Harper and Row, New York:, 557 p

Cited by

  1. Improvement for Impact Assessment of Marine Physical on the Development of Ports and Fishing Harbors in the East Coast vol.19, pp.2, 2013, https://doi.org/10.7837/kosomes.2013.19.2.111
  2. Variations of Sediment Textural Parameters and Topography around Gangneung Harbor after the Completion of Harbor Construction vol.34, pp.2, 2013, https://doi.org/10.5467/JKESS.2013.34.2.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