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hod of the performance of Sijo in the twenty first century

21세기(世紀) 시조문학(時調文學)의 연행양식(演行樣式)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Sijo is the essence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most ideal poetic form through which we can express our images gracefully in three lines. Hence it deserves special emphasis either in creative writing and appreciating it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this paper observes how Sijo is taught in the school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educating Sijo. There may be three kinds of Sijo performance, namely, recitation, reading, and singing. In this paper. it is claimed that the performance of Sijo in the twenty first century should be recitation. Sijo education may be effective when it focuses on a way of recitation in which, with natural and long breath, a piece of Sijo is recited at length. Nevertheless, it is not practiced as the way of recitation because of following two reasons. Firstly. the analysis on rhythm, which is on the base of its recitation, is extremely difficult. Secondly, the theoretical ways, which is obsolete and lacks vividness, are ineffective in education. By these reasons. 1 studied how to give a recitation following my preceding studies on rhythm and rhythmical reading of Sijo.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a reading metho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s. In fact, we Korean can discipline our mind and body through reciting Sijo to the rhythm which is transcendental to Korean and at the same time, Sijo education helps to enhance our pride as koreans in the process of studying Sijo.

시조는 간단한 3행(行) 4보격(步格)의 형식에 단순한 심상(心像)을 단아하게 표출(表出)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시형(詩形)이자 한국 시가문학의 정수(精髓)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문화의 정체성(正體性)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시조가 현행 초 중등학교에서 어떻게 교수 학습되는지를 연행양상(演行樣相)을 통하여 살펴보고, 그 연장선상에서 21세기 시조문학이 나아가야할 연행양식(演行樣式)의 지평(地平)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리하여 시가(詩歌)의 양식으로 존재한 시조의 연행양식을 통시적으로 음영(吟詠) 가창(歌唱) 낭독(朗讀)의 세 양식으로 삼분화(三分化) 하고 궁극적으로 21세기 시조문학의 연행양식은 음영의 양식이 되어야 함을 밝혔다. 그러나 현행 초 중등학교의 시조문학 교육의 현황은 시조 텍스트를 읽기단원에 수록하여 단지 언어사용 기능의 신장을 위한 도구적(道具的) 기능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사물에서 촉발되는 정서를 현장에서 바로 시조창작으로 연결 짓는 시조의 연행양식에 대한 몰이해로 간주된다. 그리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음영양식으로서의 양통법(朗誦法)을 구체화하였다. 기실 시조(時調)를 한국인에게 선험적(先驗的)으로 체득(體得)되어진 생래적(生來的)인 리듬에 맞추어 낭송(朗誦)하면 공명(共鳴)에 의해 뇌를 울려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복호흡(腹呼吸)을 통하여 신체를 단련시킬 수 있다. 동시에 주옥(珠玉) 같은 정제된 시어(詩語)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민족어(民族語)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문화민족(文化民族)으로서의 자긍심(自矜心)을 고취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상이 남겨준 문화유산인 시조(時調)를 21세기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역동적(力動的)으로 계승 발전했을 때 세계문화(世界文化)의 보편성(普遍性) 속에서 한국문화(韓國文化)의 독립성(獨自性)을 꽃 피울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