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literatherapy effects of Sijo - Focused on the 16th-17th century Gangho Sijo -

시조의 문학 치료적 기능에 관한 고찰 -16.17세기 강호시조를 대상으로-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therapy effects of Korea's oldest form of literature, Sijo, and its role in the future of literatherapy. Since literature is the expression of human emotions, and therapy is related to medicine, the two seem to have little in common, but they share the function of resolving conflicts. The effectiveness of literatherapy has only recently become a matter of discussion. However, literatherapy is greatly involved with the utility value of literature, and should be taken seriously.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literatherapy function of the 16th-17th century Gangho-Sijo. Gangho-Sijo was created by literary men from the Sarim-school, who were removed from their posts in the government due to a massacre(Sawha) and rianly(Dangjaing), and spent most of their time away from politics. Their Sijo were mostly about life in retreat, and their mental state at that time. In relation to literatherapy, the mentality and attitudes of these scholars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is anxiety and depression, the second tranquility and harmony. and the third serenity. At the final stage, the scholars are liberated from worldly desires. Each of these phases hold the effect of literatherapy. The first stage can relate to 'theory of purgation', ISO-Prinsip, which is based on 'like cures like' which means to treat something with its own kind Fight fire with fire. The second step involves 'theory of purification', and by balancing his emotions, the scholar can achieve mental stability. In the final stage, literatherapy is acquired when the scholar expresses his emotions in a clarification(theory of clarification). At this phase, literatherapy finally has an effect, while the phase itself functions as literatherapy as well. The study of literatherapy is still at its early stages, thus has many limitations. However, literatherapy has bright prospects, and it is my hope that this report will be used as a reference for its further research.

시조는 우리나라 문학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는 장르이다 이 논문은 그러한 시조를 대상으로 거기에 나타난 문학 치료적 기능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문학과 치료는, 전자는 인간의 정서의 표현물이고 후자는 의학에 관한 것으로 그 타협점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갈등을 완화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러한 문학치료의 효과에 대한 논의는 비교적 최근에 일어난 것이지만 이는 기본적으로 문학이 지니고 있는 효용적 가치와 일치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시조 가운데 16 17세기의 강호시조를 대상으로, 거기에 나타난 문학치료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16 17세기의 강호시조는 사림파 문인들에 의하여 창작된 시조 작품들이다. 이 시기의 사림파 문인들은 사화와 당쟁으로 말미암아 관직에서 물러나 자주 강호에 머물러야 했다. 따라서 강호시조에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못하고 은거하는 삶 속에서 일어나는 화자의 심경을 노래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작품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와 심리를 문학 치료와의 관계에서 셋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불안과 우울의 정서, 둘째 안정과 조화의 추구, 셋째 무심과 평온의 구가가 그것이다. 또한 이상의 세 단계는 각각의 문학치료 효과를 거두게 된다. 첫 단계는 정화이론에 근거한 것으로써 일명 등류요법이다. 이는 이열치열과 같은 원리에 근거한 것으로, 일명 이열치열의 원리이다. 다음 단계는 조정이론에 근거한다. 감정을 적당하게 조절하고 통제함으로써 심리적 안정감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마지막 단계는 명징이론에 근거한 것으로 감정을 명료하게 나타냄으로써 문학치료를 얻게 되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문학치료의 효과가 어느 정도 나타나는 단계이면서도 동시에 그 자체로 문학치료로 기능하게 된다. 문학치료의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이다. 그런 만큼 아직은 많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보다는 미래에 대한 전망이 밝은 영역이기도 하다. 본 연구가 향후 문학 치료의 연구에 한 몫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