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Wearing the Danryung of the Tongshinsa

통신사(通信使) 기록을 통한 단령(團領) 착용 실태에 관한 연구

  • Shin, Hey-S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Ewha Womans University) ;
  • Park, Sun-Hee (The Chang Pudeok Memorial Gallery,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 신혜성 (이화여자대학교 의류직물학과) ;
  • 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담인복식미술관)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paper was built by following next steps. First, based on the records of the Tongshinsa, the official diplomatic mission Joseon dispatched to Japan, the actual conditions of wearing a Danryung, a official robe, in the 18th century were researched. Then the difference of wearing state between the missions - in 1719, 1748 and 1764- was found and the reason why was analyzed. In result two distinctions were found: 1) A black Danryung was worn in 1719 at the banquets and while receiving an official letter of reply, but a red Danryung, Gongbok or Sibok on the later trips. 2) In 1764 travel records there was some confusion of the names Gongbok and Sibok, which denote the same item of robes, according to the writer. The reason why those changes and confusion were caused is analyzed as follows: 1) After the Japanese Invasion(1592) and the Manchu Invasion of Joseon(1636), a black Danryung replaced the Gongbok for a while. But after the mid-18th century, when the Gongbok was revived, that was reappeared in the official ceremonies. 2) In the mid-18th century, both Gongbok and Sibok system had been revised. But because both color system was similar, those revision became a cause of confusion between Gongbok and Sibok. For a while all ministers wore red Gongbok and Sibok, but after those revision the color of official's robe was changed by officials' rank: the higher ranking officials' Gongbok and Sibok are red, the lower ranking officials' are bluish green.

Keywords

References

  1. 쇼군(しょうぐん) 일본의 역대 무신정권(武臣政權)인 막부(幕府)의 수장(首長)을 가리키는 칭호.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 (2002).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제15권, p. 639
  2. 두산동아 백과사전연구소 (2002). 두산세계대백과사전 제15권, pp. 259-260
  3. 정신문화연구원편찬부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23권. pp. 236-239
  4. 김미자 (1982) 우리나라 공복(公服)에 관한 연구, 복식 . 6. pp. 173-189
  5.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복식. 55(6), pp. 38-50
  6. 전혜숙.류재운 (2006). 조선 태종대 관복제정에 관한 연구복식. 복식. 56(7), pp. 69-78
  7. 궁민봉 (1983). 조선 통신사 복식의 일연구, 복식. 7,pp. 83-102
  8. 이자연 (2003). 1711년 조선통신사 복식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1 (4). pp. 541-550
  9. 민족문화추진회 (1977a). 海游錄. 국역 해행총재 I. II
  10. 민족문화추진회 (1977b). 奉使日本時聞見錄. 국역 해행총재 X
  11. 임기중 편 (2001) 隨隆日錄. 연행록전집 59. 동국대학교출판부
  12. 민족문화추진회 (1977c). 海隆日記. 국역 해행총재 VII
  13. 남옥 (1764). 日觀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14. 원중거 (1764). 乘槎錄 고려대 육당문고 소장본
  15. 민족문화추진회 (1977). 해행총재(속) X. p. 119
  1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국역편집위원회 (1998). 국역 通文館志 I. 卷六. 彼地宴享 (중략) 使以下具公服 (후략)
  17. 임기중 펀 (2001). 隨隆日錄. 연행록전집. pp. 298-299. (二月) 十一日島主設宴午後三使具公服紅團領帽帶乘肩與
  18. 민족문화추진회 (1977c). 海隆日記. 국역 해행총재 VII. 海桂日記 (癸未十一月) 初六日己未
  19. 민족문화추진회 (1977c). 海隆日記. 국역 해행총재 VII. (三月) 初五日丙辰
  20. 원중거 (1764). 乘槎錄 고려대 육당문고 소장본. 乘樣錄 甲申 3/5(에도 별연)
  21. 원중거 (1764). 乘槎錄 고려대 육당문고 소장본. 癸末 11/6 (대마도 하선연) -島主請坐三房皆赴宴 上副房紅團領 二房靑團領 軍官羽立 員役各從其品具團領
  22. 민족문화추진회 (1977a).海游錄. 국역 해행총재 I. II. 海游錄 九月十一日 庚辰
  23. 임기중 편 (2001) 隨隆日錄. 연행록전집, p. 389, (五月) 初二日
  24. 민족문화추진회 (l977c) 海隆日記. 국역 해행총재 VII. 海(사)日記 (正月) 二十八日
  25. 남옥 (1764). 日觀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日觀記 三(秋), (甲申正月) 二十八日
  26. 민족문화추진회 (1977a). 海游錄. 국역 해행총재 I. II. 海游錄 九月二十七日 丙申
  27. 민족문화추진회 (l977b). 奉使日本時聞見錄. 국역 해행총재 X. 奉使日本時聞見錄 (五月)二十一日 甲辰
  28. 임기중 편 (2001). 隨隆日錄. 연행록전집. 隨槎日錄 (五月) 二十一日 到江戶
  29. 민족문화추진회 (1977c). 海隆日記. 국역 해행총재 VII. 海(사)日記 四 甲申年 二月 十六日 戊戌 陰雨 午後入江戶館所于實相寺 飯後三使看紅團領員役時服
  30. 남옥 (1764). 日觀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본. 日觀記 甲申二月 十六日 戊戌
  31. 원중거 (1764). 乘槎錄 고려대 육당문고 소장본. 乘槎錄 甲申二月十六日 戊戌(에도 입성) -二十五里入江戶晩發三使相時服員役從之
  32. 민족문화추진회 (1977c). 海隆日記. 국역 해행총재 VII. 海槎日記 二月 初七日 戊午
  33. 원중거 (1764). 乘槎錄 고려대 육당문고 소장본. 乘槎錄 三月 初七日 三使相團領皆時服而三書記不與
  34. 宣祖實錄 24집 219면, 34년 3월 18일 丙辰, 禮曹啓曰 兵曹啓辭 朝賀色議定事 傳敎矣. 朝賀時, 當用公服, 此時百官, 草草冠服, 亦僅惜備, 幞頭袍笏, 十無一二. 若待 盡備之後, 始行朝家大禮,事體未安. 姑以時服入參, 似寫無防
  35. 中宗實錄. 15집 483면. 13년 9월 27일 甲子, 時服鴉靑
  36. 中宗實錄. 15집 543면, 14년 6월 9일 辛未. 黑色 非我國所産 而不可常着, 常參.朝參.拜辭時 必以時服見者, 以體見也
  37. 仁祖實錄. 35집 37면, 16년 10월 9일 戊戌
  38. 顯宗改修實錄. 38집 51면, 12년 2월 17일 己亥
  39. 국립중앙박물관 (1986). 조선시대 통신사, 三和出版社, p. 50
  40. 英祖實錄. 43집 144면, 20년 8월 5일 己酉
  41. 김미자 (1982) 우리나라 공복(公服)에 관한 연구, 복식 . 6, pp. 185-186
  42.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복식. 55(6), p. 40
  43. 임재영, 홍나영,이은주(1997). 왕세자출궁도의 복식 연구. 복식, 31, pp. 47-58
  44. 고려대학교박물관학예부 (2001) 조선시대기록화의 세계. 서울: 고려대학교박물관, p. 38
  45. 英祖實錄. 43집 144면, 20년 8월 5일 己酉
  46. 大典會通. 卷之三 18-19 禮典 儀章 服
  47.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국사편판위원회 (2005). 조선 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 과천. 국사편판위원회, p. 379
  48.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시복(時服)과 상복(常服)제도 변천. 복식. 55(6), pp. 43-45
  49. 宣祖實錄 24집, 34년 6月 8일 甲戌
  50. 光海君日記 태백산본, 2년 5월 19일 癸亥
  51. 光海君日記 태백산본, 2년 9월 8일 庚戌
  52. 光海君日記 31집 658면 3년 10월 23일 己丑
  53. 英祖實錄 90집, 33년 12월 16일 甲戌
  54. 英祖實錄 60집, 20년 8월 5일 己酉
  55. 英祖實錄 90집, 33년 12월 16일 甲戌
  5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국역편집위원회 (1998) 국역. 通文館志. 卷六 交隣 下, 通信使行. (중략) 使一員 文官堂上結銜史曹參議 副使一員文官堂下正三品結銜典輪 從事官一員文官五六品結銜弘文校理 (후략)
  57. 세종대왕기념사업회 고전국역편집위원회 (1998), 국역. 通文館志 卷六 交隣 下, 傳命儀
  58. 조선통신사문화사업 회.국사편판위원회 (2005). 조선 시대통신사행렬. 부산: 조선통신사문화사업회 . 과천 . 국사편판위원회, p.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