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rategies of Busan Port Related to the Opening of Yangsan Port

양산항 개장에 따른 부산항의 대응전략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With its foreign trade rapidly expanding and with economic growth continuing at a substantial rate, China has become the largest container traffic generating country in the world. And with trend of container ships becoming larger and faster, the environment surrounding ports in North-East Asia are rapidly changing. The Yangsan, offshore port for Shanghai, being developed on the islands of Da Yangsan and Xiao Yangsan, some 30km offshore, and connected to the mainland by the six-lane highway Donghai bridge, opened phase one in late 2005 and phase two in 2006 respectively and will have 29 berths by 2012 and be able to handle 15 million TEU. The Port of Shanghai which passed Busan in terms of container volume further consolidated its position as the world's No. 3 port with an annual volume of 21.7 million TEU in 2006 and is likely to have emerged as the biggest container port in the world. The Port of Busan, the world's fifth largest container port, wants to survive as regional hub port. In this circumstance, the strategies of the Port of Busan should be established.

빠른 경제성장과 교역량의 증가에 힘입어 중국은 이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컨테이너 물동량을 처리한 국가가 되었다. 그리고 컨테이너선의 대형화와 신속화 추세에 발맞추어 동북아 주요항만이 직면하는 환경도 상당히 빠르게 변하고 있다. 상해항은 육지로부터 약 30km 떨어진 대양산과 소양산을 개발하여 2005년 말에 제1기 터미널을 그리고 2006년에 제2기 터미널을 개장하였다. 그리고 2012년까지 전체 29선석을 조성하여 1,500만 TEU를 처리할 예정으로 있다. 컨테이너 처리물량에서 부산항을 추월한 상해항은 2,006년도 연간 물동량을 약 2,170만 TEU를 처리하여 세계 제3위의 지위를 확고히 했으며, 향후 세계 제1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으로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제5위의 컨테이너 처리항만이고, 동북아 중심항만이 되고자 하는 부산항에 양산항의 개장 및 향후 개발 계획에 따른 주변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전략을 제시해 본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