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ing Access Mode Choice Behavior of Local Metropolitan High-Speed Rail Station - A Case Study of Dong-Daegu Station -

고속철도 지방대도시 정차역의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동대구역을 사례로 -

  • 김상황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
  • 김갑수 (영남대학교 토목도시환경공학부)
  • Received : 2006.01.27
  • Accepted : 2006.04.21
  • Published : 2006.07.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ccess mode choice behavior for KTX Passengers. To fulfill the aims of this study, Dong-Daegu Station was selected as a station for a case study. This study takes place in two stages. These are (i)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ation statu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KTX, (ii) empirical model estimation for analyzing access mode choice behavior. This study makes use of the data from travel survey from Daegu metropolitan area. The main part of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the KTX Dong-Daegu st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sample of 1,800 individuals. The survey data includes the information on travel from Dong-Daegu station to Seoul. Fro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ransportation statu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the KTX, it is found that revealed demand of the KTX is lower than that expected.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low demand of the KTX stems from high cost for the KTX itself and inconvenience( including travel time and cost) of access mode. In order to analyze mode choice behavior for accessing Dong-Daegu station, multinomial logit model structure is used. For the model specification, a variety of behavioral assumptions about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access mode choice, were considere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si found that access travel time and access travel cost are significant in choosing access mode. Given the empirical evidence, we see that improvement of access transportation system for Dong-Daegu station is very important for enhancing the use of KTX.

경부고속철도가 2004년 4월에 개통되어 운행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교통체계의 변화와 함께 그에 따른 광역교통 네트워크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하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되어 정착단계인 현시점에서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당초 목표치의 60%정도밖에 되지 않아 경부고속철도의 도입효과에 의구심을 던지는 견해도 만만치 않다. 고속철도 이용수요가 기대치에 못 미치는 이유로 고속철도의 값비싼 운임 등을 들 수 있으나 그에 못지않게 연계교통체계의 중요성을 지적할 수 있다. 문전수송(door-to-door) 서비스를 갖춘 승용차와는 달리 고속철도와 같은 대중교통은 출발지에서 역까지의 혹은 역에서 목적지까지의 연계교통서비스에 따라 그 이용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시대에 부응하여 지방대도시 정차역, 특히 동대구역을 중심으로 연계교통시스템의 현황을 분석하고,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한 고속철도 연계교통수단 선택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속철도 연게교통수단으로 버스, 지하철, 택시, 승용차, 도보 및 기타로 구분하였고, 모형의 추정결과는 모든 변수들의 파라메타 값이 논리적으로 합당한 부호를 나타내었다. 특히 접근통행시간, 접근통행비용 등이 모두 음(-)의 부호를 가지면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접근통행시간과 접근통행비용이 연계교통수단 선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황, 윤대식, 김갑수(2004) 도시 여가활동의 참여형태 및 요인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2권 제3호
  2. 문대섭 등(2000) 고속철도 연계교통체계의 개념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철도학회
  3. 윤대식, 윤성순(2004) 도시모형론, 제3판, 서울:홍문사
  4. 이백진, 박영석, 남궁문(2000) 선호의식을 고려한 대중교통수단 선택행동의 실태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0권 제5호
  5. 이장호, 장수은(2005) 지역간 통행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고속철도 이용증대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한국교통연구원
  6. 정헌영, 김정주(2000) 통근.통학자의 지하철 연계교통수단 선택형태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 18권 제5호
  7. 조남건 등(2003)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국토공간구조의 변화전망 및 대응방안 연구, 연구보고서, 국토연구원
  8. 하태진, 박제진, 이상하(2002) 고속철도 도입에 따른 교통수단선택모형 추정 및 수단전환율의 비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 37권 제 6호
  9. Ben-Akiva, M. and Lerman, S. R. (1985) Discrete Choice Analysis: Theory and Application to Travel Demand. Cambridge: The MIT Press
  10. Bhat, C. R. (1998) Analysis of Travel mode and departure time choice for urban shopping trips, Transportation Research-B, Vol. 32, No.6
  11. Greene, W. H. (1991) LIMDEP User's Manual and Reference Guide. Version 7.0, Bellport: Econometric Software, Inc.
  12. Juan De Dios Ortuzar (1983) Nested Logit Models for Mixed-Mode Travel in Urban Corridors, Transportation Research-A, Vol. 17A, No.4
  13. McFadden, D. (1976) The Theory and Practice of Disaggregate Demand Forecasting for Various Modes of Urban Transpo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Institute of Transportation Studies, Working Paper No. 7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