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rategy for Providing Optimal VMS Travel Time Information Using Bi-Level Programming

Bi-Level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최적의 VMS 통행시간 정보제공 전략

  • Received : 2005.01.04
  • Accepted : 2005.02.18
  • Published : 2006.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negative effect of VMS travel time information service by sensitivity analysis, which forecasts the change in link traffic volume. As a result, strategies for providing travel information that can change driving patterns for minimizing travel time were found. The framework for analysis is recently expanded with the application of game theory. According to the experiment, the algorithm generated for travel time information service reduces total travel time and yields travel patterns that is very close to the system optimization.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route the travel time service information is provided about could play the important role.

본 연구에서는 교통정보 제공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VMS 통행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민감도 분석을 이용하여 링크 통행시간의 변화에 따른 링크 통행량의 변화를 추정하여 총 통행시간이 최소로 될 수 있도록 도로 이용자의 통행패턴을 유도하기 위한 정보제공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틀은 최근에는 게임이론으로 확장되어 생각되어지고 있다. 실험의 결과에서 제시된 통행시간 정보제공 알고리즘이 총 통행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시스템 최적에 근접한 통행패턴을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보 제공시 어떠한 경로의 통행시간 정보를 제공하는가가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임강원, 임용택 (2003), 교통망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pp. 19-61, 410-424
  2. 임용택(2004) 민감도 분석을 이용한 연속형 교통망설계 모형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22권 제2호, pp. 65-76
  3. 최기주, 장정아(2004) 게임이론에 기반한 VMS 운영모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2-D호
  4. Ben-Akiva, M., A. Depalma, and I. Kaysi (1991) Dynamic Network Models and Driver Information System, Transportation Research 25A, pp. 251-266
  5. Fisk, C. S. (1983) Game Theory & Transportation System Modelling, Transportation Research 18B, pp. 30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