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밀한 모래지반의 기초하부에 설치된 마이크로파일 보강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inforcement Effect of Installed Micropile under Footing on Dense Sand

  • 이태형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지하시설실.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 임종철 (부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06.02.09
  • 심사 : 2006.04.30
  • 발행 : 2006.05.31

초록

직경 100~300mm 정도의 보링공에 강봉 또는 강관을 삽입하여 그라우팅 재료로 주입 압력을 가하는 소구경 현장 타설 말뚝의 일종인 마이크로파일 공법은 기계의 소형화, 저진동, 저소음 등의 장점으로 도심지의 협소한 공간에서의 적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마이크로파일은 지지력 증가, 지반 변위억제를 통한 구조물 안정성 확보 등에 주로 적용되어져 왔고, 향후 공법의 유효성과 잠재성으로 다양한 방면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이크로파일과 지반과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 기초의 하부지반(구조물 지지개념) 보강을 실시하였으며, 모형실험 결과 및 지반 변형 분석을 통해서 보강 효과(지지력 증가효과 및 침하억제 효과)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설계 및 시공에서의 효율성과 적용성을 높이고자 한다.

The micropile, which is a kind of the in-situ manufactured pile with small diameter of 100~300mm,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a steel bar or pipe and injecting grout into a borehole. The application fields of micropile are being gradually expanded in a limited space of down-town area, because the micropile has various advantages with low vibration and noise in method and compact size in machine, etc. Mostly, the micropile has been applied to secure the saf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increment of bearing capacity and the restraint of displacement. The micropile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due to its effectiveness and potentiality in the future. The model test, focu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micropile and soil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micropile is installed under footing(concept of "structure supporting"). With the test results and soil deformation analysis, the reinforcement effect(relating to bearing capacity and settlement) was analysed in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anner,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is hoped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an efficiency and application in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micropi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원철, 서덕동 (2002) 마이크로파일 (MicroPile ). 대림기술정보, 가을호, pp. 115-125
  2. 민윤식(1990) 마이크로 파일의 施工및 載倚試驗에 關한 硏f究- Y-驛舍基礎를 中心으로 -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3. 부산교통공단(1999) 터널굴착 보강대책 검토 보고서. 부경대학교 산업과학기술연구소
  4. 부산광역시 (2003) 광안대로건설 공사건설지. 행정자료, 행 534부 52 ,부산광역시
  5. 박이근(2003) 얕은 토사터널 굴착시의 주변지반거동 특성과 마이크로 파일의 침하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6. (사)한국지반공학회 (2003)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 pp. 179-225, 298-305
  7. 이원택(1991) 얕은 기초에 있어서 그물식 뿌리말뚝의 지반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8. 임종철, 박성재, 주인곤, 박용부, 김영인 (1992) 평면변형률 상태에 있는 모형지반의 변형해석법, 한국지반공학회지 , 한국지반공학회, pp. 29-30
  9. 이은수, 이승호 공역 (1993) 보강토 공법 이론과 적용. 구미서관, pp. 9-23
  10. 塚田幸廣 ,三浦均也, 坪川將才, 西村石敏(1999)砂地盤のマイクロパイル基礎の模型實驗. 土と基礎,Vol.47,No.1,pp.35-38
  11. 日本土質工學會(1991),土質試驗の方法と解設,pp.106-115
  12. Miura, K. (1981) Stress-strain-dilatancy relationship of isotropically consolidated sand. B. thesis, Hokkaido Univ.(in Japanese)
  13. Bassett, R.H. and Last, N.C. (1978) Reinforcing Earth below Footings and Embankments. Proc., ASCE. Symp.. Earth reinforcement, Pittsburgh, pp. 202-231
  14. Bowles, J.E. (1996)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fifth edition-.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p. 220
  15. Jewell, R.A. and Worth, C.P. (1987) Direct shear tests on reinforced sand. Geotechnique, Vol. 37, No. 1, pp. 53-68 https://doi.org/10.1680/geot.1987.37.1.53
  16. Lizzi, F. and Carnevale, G (1979) Les Reseaux de Pieux Racines Pour la consolidation des sols, Ascepts Theoretique et Essais sur Mondile. Proc. Int. Coni, soil Reinforcement, Paris, Vol. 2, pp. 317-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