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Localization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as a Regional Festival

지역축제의 지방화: 춘천마임축제 사례

  • Kim, Chang-Hwa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ung-Kun (Dept. of Geography, Graduate School of Humanities, Kyushu University) ;
  • Jung, Sung-Hoo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창환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신영근 (일본 규슈대학교 인문과학부 지리학과) ;
  • 정성훈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localization processes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hereafter, CMF). Its history and processes can be periodized as three stages: the formative stage ($1989{\sim}1993$), the developing stage ($1994{\sim}1997$) and the settling-down & diffusing stage ($1998{\sim}2004$). Throughout this successful processes, CMF has contributed to settle down the structure of a virtuous circle i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o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 since the mid 1990s. This results from (1) a successful mix among vision providers, practioner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 (2) a interplay of the ability of spatial production by the mime culture and the capacity of cultural production by spatial occupiers.

이 연구는 춘천마임축제를 사례로 지역축제의 지방화과정을 고찰하였다. 춘천마임축제의 역사와 지방화 과정은 1기 축제발생기($1989{\sim}1993$), 제2기 축제성장기($1994{\sim}1997$), 제3기 축제정착 및 확산기($1998{\sim}2004$)로 요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방화 과정을 통해 춘천마임축제는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면에서도 많은 기여를 하면서 지역축제의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켰다. 춘천마임축제의 성공적인 지방화 과정은 '축제의 비전제시자 정부-참여자'간 성공적인 결합과, 문화적 요소의 새로운 공간창출능력(문화의 공간생산능력)과 새로운 공간에서 기존 문화를 흡수 재창출하는 지역의 문화혁신역량(공간점유자들의 의한 문화생산역량) 간 상호작용의 결과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