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방화

Search Result 1,94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Promotion of Trade Policy of Local Governments - Jeollabukdo - (지방자치단체 통상진흥정책의 효율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

  • Kim, Ju-Wa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3 no.1
    • /
    • pp.241-260
    • /
    • 2001
  • 최근 지방자치단체는 세계화 개방화 정보화 기술화라는 메가트렌드와 지방화 분권화 자치화라는 국내외 환경변화에 직면하고 있어 그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개발 및 지역경제발전이 시급하다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 과거 국가적인 차원에서 주도되어 왔던 지역경제개발정책이 이제는 지방자치단체에 의하여 지역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경제정책의 대외적인 측면인 통상정책분야는 최근의 시대적 흐름에 비추어 볼 때 그 개발의 주체가 지방자치단체이어야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영역 중에서도 비중이 가장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통상진흥정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중앙정부차원에서 제공되어지는 통상자료는 수도권 중심의 자료가 대부분이어서 그 자료를 이용할 때는 해당 지방의 중소기업에 맞게 지방자치단체가 보완 수정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세계화와 지방자치시대 이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국내외적인 통상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통상진흥전략을 신축적으로 운용하여야 한다.

  • PDF

건축사 사무소의 문제점과 개선방향(Ⅱ) - 지방화 시대에 즈음한 소형 및 아뜰리에 사무소를 중심으로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8 s.304
    • /
    • pp.76-83
    • /
    • 1994
  • 지난 6월호에서 건축사사무소의 현안문제점과 개선방향이라는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하여 많은 분들의 관심과 호응을 받은 바 있다. 이번 호에서는 현재 지방에서 건축사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는 지방회원을 모시고 지방자치화 시대를 맞이한 건축사사무소의 인력관리 문제를 비롯한 경영합리화방안, 제도개선방안, UR협상타결 이후의 대처방안 등 당면 현안문제점을 스스로 진단해보고 앞으로의 개선방향을 모색해보는 기회를 마련함으로써 국제화ㆍ개방화ㆍ지방화시대를 맞는 우리 건축사사무소의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An application of Histogram Analysis on Ultrasonic Diagnosis of Fatty Liver (초음파 영상 히스토그램 분석의 지방간 진단에의 적용)

  • 정지욱;이수열;김승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217-21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영상에서 간실질의 에코 명도분포를 분석하여 정량화 지방간 진단 파라미터인 규준화 에코 명도값을 추출하여 지방간의 진행 정도와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임상 지방간지수와 본 연구의 규준화 에코 명도 값과의 선형 상관 계수를 구하였다. 신장대조 및 간문맥구조에서 추출한 규준화 에코 명도를 계산하여 비교한 결과, 임상 지방간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고, 지방간 진단의 보조자료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계산된 지방간지수와 상대명도의 선형상관계수는 0.69~0.79이다.

  • PDF

Effect of Gd-EOB-DTPA on Hepatic Fat Quantification using Two-point Dixon Technique (Two-point Dixon기법을 이용한 간의 지방정량화에 Gd-EOB-DTPA가 미치는 영향)

  • Koo, No-Hyun;Choi, Kwan-Woo;Yoo, Beong-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7
    • /
    • pp.215-221
    • /
    • 2017
  •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assess whether Gd-EOB-DTPA with gadolinium-based contrast agent administration affects fat quantification using the two-point Dixon technique. Between April 2016 and September, 60 patients who underwent hepatic fat quantification using the two-point Dixon technique were divided into two group (normal liver donors=30, abnormal hepatic steatosis=30) and we compared the variability of mean fat fraction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Gd-EOB-DTPA. As a results, in both group, fat fraction after injection Gd-EOB-DTP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normal liver donors -33.8%, hepatic steatosis -47.2%) compared to before injection Gd-EOB-DTPA, suggesting that Gd-EOB-DTPA affects fat quatification using two-point Dixon technique. In conclusion, hepatic fat quantification using the two-point Dixon technique could maintain diagnostic value by acquiring images before administration Gd-EOB-DTPA.

Muscle Extraction and Fat Analysis in Abdominal Ultrasnography Images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근육 추출 및 지방 분석)

  • Chae, Byung-Ju;Kim, Kwang-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368-37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복부 근육을 추출하고 추출된 근육 영역에서 지방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밝은 명암도를 가지는 근막 영역과 어두운 명암도를 가지는 근육 영역의 명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서 앤드 인 탐색 스트레칭 방법과 Multiple 연산을 적용한다. 평균 명암도와 명암 대비가 강조된 복부 초음파 영상에서 수직 방향의 명암도가 200이상인 픽셀들은 퍼지 이진화 기법을 적용하여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영상에서 외복사근 상단선을 추출한 후, 퍼지 이진화 기법이 적용된 영상과 합성한다. 합성된 영상에서 최종 근막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각의 복부 근육 영역에 ART2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복부 근육 영역을 양자화한다. 양자화된 복부 근육 내의 영역을 분석하여 최종 지방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복부 근육 추출 및 지방 분석 방법을 실제 복부 초음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추출된 복부 근육 영역에 ART2 알고리즘 기반 양자화 기법을 적용하여 지방을 추출하는 것이 복부비만을 분석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을 영상 의학과 전문의를 통해 확인하였다.

  • PDF

지방구가 제거된 돼지 미성숙 난포란의 유리화 동결에서 Straw법과 EM Grid법의 비교

  • 최인경;석상현;김광식;송해범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3.06a
    • /
    • pp.84-84
    • /
    • 2003
  • 많은 연구에서 돼지의 난포란 혹은 배아가 낮은 온도에 대해 민감한 것은 세포질 내에 함유된 지방구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으며, 이런 세포질내의 지방구를 제거함으로 동결능력이 향상된다고 하였다. 이렇게 지방구가 제거된 돼지의 난포란과 배아를 효과적으로 동결보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동결보존 기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성숙 단계에서 지방이 제거된 돼지 난포란의 유리화 동결에 적합한 방법을 찾기 위하여 straw를 이용한 유리화 동결법과 electron microscopic grid(EM grid)를 사용한 유리화 동결법을 실시하여 효율적인 동결방법을 검토하였다.

  • PDF

지방 자치 단체와의 안전 규제 역할 분담 방안 연구

  • 안상규;육동일
    • Nuclear industry
    • /
    • v.23 no.6 s.244
    • /
    • pp.57-71
    • /
    • 2003
  • 우리나라는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분권화는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요청으로 모든 부문의 주요과제가 되고 있다. 분권화의 핵심은 행정 권한과 역할의 지방 분권화를 의미하며, 지방 분권의 수준은 무엇보다도 행정 기능과 사무 배분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결정된다. 지금까지 원자력 안전 규제 기능은 중앙 정부가 독점하고 있었기 때문에 향후 중앙 집권화된 규제 기능을 어떻게 합리적으로 또 효과적으로 지방 정부에 이양하느냐가 원자력 안전 규제 제도의 최적화에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간 원자력 안전 규제 기능의 합리적$\cdot$효과적 배분을 위한 원칙과 기준, 유형과 모델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적실성 있는 기능 분담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 PDF

그림으로 본 지역별 석유소비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 Korea Petroleum Association Journal
    • /
    • no.7 s.173
    • /
    • pp.48-51
    • /
    • 1995
  • 지난 6월 27일 4대 지방자치선거가 실시됨으로써 우리나라도 이제 본격적인 지방화시대를 맞게 되었다.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각 지역별 유류소비를 그림으로 알아본다.

  • PDF

Results of MRI Evaluation for the Fatty Masses (지방 종괴의 진단에 대한 MRI의 판별 능력)

  • Seo, Jae-Sung;Ahn, Jong-Chul;Kim, Jeong-Rae;Choi, Jun-Hyuk;Cho, Kil-Ho;Shin, Duk-Seop
    • The Journal of the Korean bone and joint tumor society
    • /
    • v.11 no.1
    • /
    • pp.25-31
    • /
    • 2005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know the usefulness of the MRI to distinguish lipoma and well differentiated liposarcoma (WDL). Materials and methods: 47 lipomatous tumors with MRI were reviewed among the 107 lipomatous tumors operated in our department. MRI examinations and their corresponding pathology reports were compared to determine sensitivity, specificity, diagnostic ability, positive predictable value and negative predictable valu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malignancy of the tumor (WDL) with the age and gender of the patients, and location, depth, size and the enhancement of tumors in MRI. Results: Among 28 lipoma in MRI examinations, 26 were proved as lipoma in pathology, and only 6 were WDL from 19 suspicious lesions in MRI, and others were proved as lipoma variants mostly. The varieties of lipoma variants were fibrolipoma, angiolipoma, spindle cell lipoma, lipoblastoma and angiomyolipoma. The sensitivity, specificity, diagnostic ability, positive predictable value and negative predictable value of MRI were 100%, 68 %, 72%, 31% and 100% in WDL, and 90%, 89%, 89%, 93% and 84% in lipoma. Among the variants to distinguish WDL and lipoma, the size of tumor and enhancement in MRI were significant statistically (p<0.05). Conclusion: MRI was highly sensitive in detection of WDL and highly specific in detection of simple lipoma. The size of tumor and enhancement in MRI were significant variants to distinguish WDL and lipoma. When MRI finding is non-specific, it is more likely to represent one of lipoma variants.

  • PDF

The Localization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as a Regional Festival (지역축제의 지방화: 춘천마임축제 사례)

  • Kim, Chang-Hwan;Shin, Young-Kun;Jung, S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2 no.1
    • /
    • pp.31-43
    • /
    • 2006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localization processes of the Chuncheon mime festival (hereafter, CMF). Its history and processes can be periodized as three stages: the formative stage ($1989{\sim}1993$), the developing stage ($1994{\sim}1997$) and the settling-down & diffusing stage ($1998{\sim}2004$). Throughout this successful processes, CMF has contributed to settle down the structure of a virtuous circle i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on the economic and socio-cultural dimension since the mid 1990s. This results from (1) a successful mix among vision providers, practioner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 (2) a interplay of the ability of spatial production by the mime culture and the capacity of cultural production by spatial occupi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