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 Jwa, Yong-Joo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Kun-Ki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o, Seok-Bae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Su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건기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고석배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김종선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sji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112) has been damaged mainly by fracture, exfoliation and granular dis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was examined in terms of petrological featur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gamma}-ray$ spectrometer. The stones include abundant crystal fragments of biotite, quartz and feldspars in the fine-grained matrix; they are petrographically discriminated to vitric-crystal tuff or crystal tuff. Measured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are of from 10 to 20 $({\times}10^{-3}\;SI\;unit)$. From the ${\gamma}-ray$ spectrometer measurement K, eU, and eTh contents of the stones are about 3%, 0 to 8ppm, and 9 to 18 ppm, respectively. These features are used as indicators to presume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Comparing the petrograph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tones of the west stone pagoda and the country rocks near the Gameunsaji temple site,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similar country rock to the stones could be dacitic volcanic rocks of the Beomgokri group in the Waeup basin. The Beomgokri group is lithostratigraphically divided into Waeupri tuff, Yongdongri tuff and Beomgokri volcanic rocks. Among the three rocks, the crystal tuff of the Beomgokri volcanic rocks seems likely to have been the source rock of the stones of the west stone pagoda.

감은사지삼층석탑(국보 제112호)은 구성부재의 훼손으로 인해 빠른 시간에 보수되어야 하는 위기의 석조문화재이다. 이 연구에서는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을 이루고 있는 부재들에 대한 각각의 암석기재적인 특징, 대자율 및 감마스펙트로미터를 측정하여 석탑에 사용된 부재들의 공급지를 추정하였다. 감은사지서탑의 석재는 기재적으로 세립질의 석기에 흑운모, 석영, 장석 등의 광물편의 함량이 많은 유리결정질 응회암 또는 결정 응회암으로 분류된다. 대자율 측정결과, 이들은 $10{\sim}20({\times}10^{-3}}\;SI\;unit)$ 정도의 값을 가지며, 감마스펙트로미터 측정결과 K는 3%, eU는 $0{\sim}8ppm$ 그리고 eTh는 $9{\sim}18ppm$의 함량을 가진다. 이러한 특징은 주변암석들 중에서 감은사지서탑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지시자가 된다. 감은사지 주변에 분포하는 암석 중에서 기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감은사지서탑의 석재와 가장 유사한 암석은 와읍분지 내 범곡리 층군에 포함된 데이사이트질 화산암류이다. 이 화산암류는 암석층서적으로 다시 와읍리응회암, 용동리응회암 그리고 범곡리화산암류로 구분된다. 세 암석 중에서 감은사지서탑의 석재와 가장 유사한 암석은 범곡리화산암류의 결정 응회암으로 판단되며, 이 석탑의 건축시어 이 결정 응회암이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정선, 2001, 경상분지내 남산 A-형 화강암과 경주 I-형 화강암류에 대한 광물학적, 지화학적 및 Sr-Nd 동위원소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3p
  2. 박양대와 윤형대, 1968, 한국지질도(1 :50000), 울산도폭 (Sheet-7020-1)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0p
  3. 손문, 1998, 한반도 동남부 제3기 마이오세 분지의 형성과 발달: 구조지질학 및 고자기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33p
  4. 손문, 정혜윤, 김인수, 2002, 한반도 동남부 연일구조선 남부 일원의 지질과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38, 175-197
  5. 양희제, 2004, 익산 미륵사지석탑의 석재에 대한 보존과학적 특성과 기원암석의 성인적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4p
  6. 양희제, 이찬희, 최석원, 이명성, 2006, 익산 미륵사지석탑 구성부재의 암석학적 특정과 석재의 원산지 해석. 지질학회지, 42, 293-306
  7. 윤선, 1988, 한국 어일분지의 제371 층서. 한국과학재단 연구 보고서, 25
  8. 이미정, 이종익, 이민성, 1995, 경주지역의 A-형 알칼리 화강암에 대한 광물학 및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1, 583-607
  9. 이상헌, 1996, 감은사지삼층석탑(동탑)과 나원리오층석탑의 암석과 풍화현상의 특정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0, 155-173
  10. 이준동, 김종선, 우상진, 황병훈, 김인수, 김진섭, 백인성, 2000, 경주.감포 일대 화강암체의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9. 70-93
  11. 이준동, 황병훈, 1999,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80-95
  12.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2003, 불국사 다보탑의 암석학적 특정과 보존과학적 진단. 지질학회지, 39, 319-335
  13.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김만갑, 2004, 감은사지 서탑의 풍화훼손도 진단 및 석재의 산지추정, 자원환경지질, 37, 567-583
  14. 조기만, 2004, 화강암과 석조문화재에 관한 지형. 지질학적 연구: 경주, 익산 지역을 사례로.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4
  15. 조기만, 좌용주, 2005,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익산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및 암석학적 접근. 암석학회지, 14, 24-37
  16. 좌용주, 이상원, 김진섭, 손동운, 2000,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에 대하여, 지질학회지, 36, 335-340
  17. 최위찬, 황재하, 윤욱, 김동학, 1988, 한국지질도(1:25000) 어일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2p
  18. 황병훈, 2004, 경상분지 남부지역의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306p
  19. Ward, S.H., 1981, Gamma-ray spec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In Skinner, B. J. (ed.), Econ. Geol. Ward, S.H., 1981, Gamma-ray spec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In Skinner, B. J. (ed.), Econ. Geol. Seventy-Fifth Anniversary Volume, 1905-1980
  20. Yun, H., V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Paleont. Soc. Korea Special Publication, 3,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