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aji Temple Site, Korea  

Jwa, Yong-Joo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im, Kun-Ki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o, Seok-Bae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im, Jong-Su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v.15, no.3, 2006 , pp. 128-13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west stone pagoda of Gameunssji temple site (National Treasure No. 112) has been damaged mainly by fracture, exfoliation and granular disintegration. In this study, the source area of the rocks using the west stone pagoda was examined in terms of petrological featur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gamma}-ray$ spectrometer. The stones include abundant crystal fragments of biotite, quartz and feldspars in the fine-grained matrix; they are petrographically discriminated to vitric-crystal tuff or crystal tuff. Measured magnetic susceptibility values are of from 10 to 20 $({\times}10^{-3}\;SI\;unit)$. From the ${\gamma}-ray$ spectrometer measurement K, eU, and eTh contents of the stones are about 3%, 0 to 8ppm, and 9 to 18 ppm, respectively. These features are used as indicators to presume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Comparing the petrograph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stones of the west stone pagoda and the country rocks near the Gameunsaji temple site, it is suggested that the most similar country rock to the stones could be dacitic volcanic rocks of the Beomgokri group in the Waeup basin. The Beomgokri group is lithostratigraphically divided into Waeupri tuff, Yongdongri tuff and Beomgokri volcanic rocks. Among the three rocks, the crystal tuff of the Beomgokri volcanic rocks seems likely to have been the source rock of the stones of the west stone pagoda.
Keywords
Gameunsaji; stone pagoda; source area; magnetic susceptibility; ${\gamma}-ray$ spectrometer; crystal tuff;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양희제, 2004, 익산 미륵사지석탑의 석재에 대한 보존과학적 특성과 기원암석의 성인적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4p
2 이상헌, 1996, 감은사지삼층석탑(동탑)과 나원리오층석탑의 암석과 풍화현상의 특정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0, 155-173
3 이준동, 황병훈, 1999, 경주 남산-토함산 일원의 화강암류에 관한 암석학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 80-95
4 조기만, 좌용주, 2005,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익산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및 암석학적 접근. 암석학회지, 14, 24-37   과학기술학회마을
5 손문, 1998, 한반도 동남부 제3기 마이오세 분지의 형성과 발달: 구조지질학 및 고자기학적 고찰.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33p
6 이미정, 이종익, 이민성, 1995, 경주지역의 A-형 알칼리 화강암에 대한 광물학 및 주성분원소 지구화학. 지질학회지, 31, 583-607
7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김만갑, 2004, 감은사지 서탑의 풍화훼손도 진단 및 석재의 산지추정, 자원환경지질, 37, 567-583
8 박양대와 윤형대, 1968, 한국지질도(1 :50000), 울산도폭 (Sheet-7020-1) 및 설명서. 국립지질조사소, 20p
9 Ward, S.H., 1981, Gamma-ray spec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In Skinner, B. J. (ed.), Econ. Geol. Ward, S.H., 1981, Gamma-ray spec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In Skinner, B. J. (ed.), Econ. Geol. Seventy-Fifth Anniversary Volume, 1905-1980
10 Yun, H., Vi, S., and Byun, H., 1997, Tertiary system of Korea. Paleont. Soc. Korea Special Publication, 3, 1-30
11 이준동, 김종선, 우상진, 황병훈, 김인수, 김진섭, 백인성, 2000, 경주.감포 일대 화강암체의 암석학적 연구. 암석학회지, 9. 70-93
12 황병훈, 2004, 경상분지 남부지역의 화강암질암에 대한 암석학, 동위원소 및 성인. 부산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306p
13 양희제, 이찬희, 최석원, 이명성, 2006, 익산 미륵사지석탑 구성부재의 암석학적 특정과 석재의 원산지 해석. 지질학회지, 42, 293-306
14 조기만, 2004, 화강암과 석조문화재에 관한 지형. 지질학적 연구: 경주, 익산 지역을 사례로.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4
15 윤선, 1988, 한국 어일분지의 제371 층서. 한국과학재단 연구 보고서, 25
16 최위찬, 황재하, 윤욱, 김동학, 1988, 한국지질도(1:25000) 어일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42p
17 손문, 정혜윤, 김인수, 2002, 한반도 동남부 연일구조선 남부 일원의 지질과 지질구조. 지질학회지, 38, 175-197
18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2003, 불국사 다보탑의 암석학적 특정과 보존과학적 진단. 지질학회지, 39, 319-335
19 좌용주, 이상원, 김진섭, 손동운, 2000,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에 대하여, 지질학회지, 36, 335-340
20 고정선, 2001, 경상분지내 남산 A-형 화강암과 경주 I-형 화강암류에 대한 광물학적, 지화학적 및 Sr-Nd 동위원소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