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Granitic Flagstone from the Trifurcated Path at Jongmyo Royal Shrine, Seoul, Korea

종묘 어도박석 화강암의 재질특성 연구

  • Hong, Sei-Sun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rources) ;
  • Yun, Hyun-Soo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rources) ;
  • Lee, Jin-Young (Quaternary Geology and Environment Research Tea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rources) ;
  • Lee, Byeong-Tae (Geothermal Resource Group,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rources) ;
  • Lee, Hyo-Min (Department of Geoenvironment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Song, Chi-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윤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 이병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열자원연구실) ;
  • 이효민 (공주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 송치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For the characteristics of rock material and standardization, flagstones of the trifurcated path in Jongmyo Royal Shrine, registered as World Cultural Heritage, were studied on the basis of petrographic, petrochemical and magnetic properties. The flagstones are composed mainly of pale gray fine to medium grained hornblende biotite granite, pale gray fine to medium grained biotite granite, pale pink medium to coarse grained biotite granite, pink medium to coarse grained biotite granite and minor pegmatite and schist. Flagstone represents the average size of $65cm{\times}4cm$ (standard deviation $12cm{\times}7cm$) and suitable (34.7%), common (41.4%) and unsuitable (23%) in roughness. It is interpreted that pale pink and pink granite, pegmatite, schist and other flagstones with unsuitable state are not original rock materials and were exchanged during restoration, in the past. The number of these non-original rock materials is about 560 flagstones. We suggests that the standard flagstone of the trifurcated path is pale gray fine to medium grained biotite granite (${\pm}$hornblende in trace), 70wt.% in $SiO_2$, content, and ${\pm}0.1{\times}10^{-3}\;SI$ in magnetic susceptibility.

서울특별시 종로구 훈정동에 위치한 종묘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종묘의 어도에 깔려 있는 약 2,361개의 박석에 대해 규격과 재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박석에서는 암종, 암색, 입도, 광물조성, 화학조성, 대자율, 박석의 크기, 표면상태, 파손상태 등이 조사를 실시하여 박석의 특성을 해석하고, 박석의 규격조건을 설정하였다 박석은 4종의 화강암류, 즉, 담회색 세중립질 각섬석흑운모화강암, 담회색 세중립질 흑운모화강암, 담홍색 중립질 내지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 홍색 중립질 내지 중조립질 흑운모화강암과 페그마타이트, 편암류로 구성된다. 이들 중 화강암이 99.8%이다. 박석의 평균크기는 $65{\times}46cm$(표준편차 $12{\times}7cm$)이며, 박석의 표면상태는 양호 34.7%, 보통 41.4%, 보통 이하 23.8%이다. 종묘 삼도박석에서 2조각 이상으로 깨져 있는 박석은 약 720장 30.5%이다. 담홍색과 홍색을 띄는 흑운모화강암, 화강암 이외의 암석과 표면상태가 보통이하인 박석은 원래의 박석부재는 아니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후세에 보수 과정에서 교체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박석의 수는 약 560여장이다. 박석의 주요 부재로 사용할 수 있는 화강암의 규격은 담회색 흑운모화강암(미량의 각섬석 허용)으로 입도는 세중립질$(0.5{\sim}3mm)$이며,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미사장석, 퍼다이트, 흑운모 등으로 된 IUGS 분류상의 화강암 영역에 속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iO_2$ 성분은 70wt.% 이상, 대자율은 $0.1{\tims}10^{-3}\;SI$ 내외(최대 $2{\times}10^{-3}\;SI$ 내외 허용)의 암석이 가장 적절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도성재, 김광호, 1999, 고지자기학. 대우학술총서 439. 327p
  2. 장재훈, 2002, 한국의 화강암 침식지형, 성선여자대학교 출판부 544p
  3. Clark, D. A., 1999, Magnetic petrology of igneous intrusions: implications for exploration and magnetic interpretation: Exploration Geophysics, v.30, p.5-26 https://doi.org/10.1071/EG999005
  4. Ishihara, S., 1977, The magnetite-series and ilmenite-series granitic rocks. Mining Geol., 75th Anniversary volume, 458-484
  5. Streickeisen, A., 1976, To each pluton rocks its proper name. Earth Sci. Rev., 12, p.1-33 https://doi.org/10.1016/0012-8252(76)90052-0
  6. Tarling, D.H., Hrouda, F., 1993, The magnetic anisotropy of rocks. Chapman & Hall. 21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