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점오염원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tudy on the selected by management streams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dam-reservoir (댐-호소의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 하천 선정에 관한 연구)

  • Yonghun Choi;Gwanjae Lee;Sangjoon Bak;Yeonji Jeong;Kyoungjae L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5-265
    • /
    • 2023
  • 유역모형을 통해 우심하천을 제시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배출부하량 자료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오염원별/오염물질별 수질 관리가 요구되는 하천을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우심하천을 선정하였다. 적용 유역은 한강 수계에서 가장 복합한 댐 유역인 충주댐 유역으로 결정하였다. 충주댐 유역의 소유역별 배출부하량을 활용해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하천 관점의 배출부하량 (Stream Total Loads, STL로 명명)은 임의의 하천으로 유입되는 모든 소유역의 배출부하량 합계를 면적 합계로 나누어 산정하는 방법이며, 임의의 하천 지점에서 상류의 모든 소유역이 포함된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를 의미한다. 따라서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유역 전체의 단위면적당 배출부하로 표현되며, 유역 전체의 STL보다 높은 소유역이 연결된 하천을 댐 호소 관점에서 볼 때 관리가 필요한 하천이라 할 수 있다. 댐 유역 말단의 STL은 점오염원-BOD 0.617 kg/km2/day, 점오염원-TP 0.038 kg/km2/day, 비점오염원-BOD 2.909 kg/km2/day, 비점오염원-TP 0.237 kg/km2/day로 산정되었다. 점오염원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창리천, 장평천, 지장천하류 등 15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창리천, 주천강상류 등 20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비점오염에 대한 BOD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제천천하류 등 13개 소유역, TP 관리하천은 주천강시점, 장평천, 주천강상류 등 16개 소유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배출부하에 대한 비점오염원의 배출부하비는 BOD 82.5%, TP 86.2%로 점오염원보다 높았다. 따라서 우선 관리 대상 하천은 TP 비점오염원, BOD 비점오염원, TP 점오염원, BOD 점오염원 순으로 계획될 필요가 있다. 향후 유역 모델링을 수행하고, STL 산정 결과와 비교하여 우심 하천 선정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 PDF

Odor Modeling of acetaldehyd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구미국가산업단지의 아세트알데히드 악취모델링)

  • Lee, Eun Ju;Akhtar, Muhammad Saeed;Lim, Kwang-He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1
    • /
    • pp.22-35
    • /
    • 2016
  • In this study CALPUFF modeling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correlation between regions of frequent civil odor complaints near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odor-emission facilities of synthetic fiber manufacturers in the same area as main acetaldehyde-emission point sources. As a result of the CALPUFF modeling,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acetaldehyd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as reduced from O ($10^{-5}g/m^3$) to O ($10^{-6}g/m^3$) upon improving emission facilities of T company so that the maximum concentrations of acetaldehyde frequently appeared in complex 3. In addition, the predicted range of the maximum acetaldehyde concentration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as also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at prior to improving emission facilities of T company. These maximum concentrations of acetaldehyde obtained to estimate the expected contribution of total acetaldehyde point source by CALPUFF modeling showed the similar values to those measured in 'HAPs investigation in the region of Gumi-Daegu' and were consistent to the trend of civil odor complaints. Therefore, the expected contribution of total acetaldehyde point source was validat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T company upon improving its emission facilities was predicted to be lowered by more than factor of two, compared to that prior to improving its emission facilities. To the contrary,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W company upon improving emission facilities of T company was predicted to be increased by more than factor of two, compared to that prior to improving emission facilities of T company. This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aldehyde point sources of W company was relatively increased upon improving emission facilities of T company.

Pollutant Source Database and Water Quality Managemen Ecosystem Model for Juam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응용한 주암 상수원수계의 오염원 DB 구축과 수질관리 생태계모형)

  • 양홍모;권유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09-219
    • /
    • 1999
  • 주암호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약 1,180,000톤/일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상수원이다. 상수원수계의 생활하수, 축산폐수, 숙박업소, 식당 등 점오염원과 주거지, 농경지, 산림지역에서 우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부하량으로 이들 상수원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어 3급수로 전락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 상수원의 수질관리에 있어 중요한 인자의 파악과 인자들간 상호작용의 이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수계수질관리 부분생태계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지리정보체계를 응용하여 수계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 오염부하량 산출방법, 점원 및 비점오염원의 공간분석, 상수원 보호구역으로부터 완충구역분석, 위성자료 분석을통한 상수원 수계 토지이용분석과 비점오염원 부하량산출 응용 방법등을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주암호수계의 BOD 부하량은 주거지. 생활하수, 축산폐수, 경작지, 식당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총질소 부하량은 경작지, 산림, 생활하수, 추간폐수가 높으며 그리고 총인 부하량은 생활하수, 축산폐수, 경작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오염원인 생활하수, 축산폐수, 식당 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인 경작지도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Simulation of sediment and nutrients loadings from Chungju Dam upstream watershed (충주댐 상류유역의 유사 및 영양물질 모의 발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87-99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비점오염물질의 거동을 해석할 수 있는 분포형 모델링 기법으로서 SWAT 모형을 선정하고, 충주댐 유역에 대해 모형 입력자료 및 물리적 매개변수 자료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각 하도구간별 오염원에 따른 오염부하량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산림지로 구성된 대부분의 상류부 소유역에서 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이 매우 작게 나타났으며, 총 오염부하량도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다. 다만, 상류유역 중에서 유역면적이 상대적으로 넓고 유역내 밭의 비율이 높은 송천 유역의 경우는 오염부하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제천시를 포함하고 있는 도시지역인 8번 유역에서는 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이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유역 전체로는 총질소의 경우 14%, 총인의 경우 23% 정도가 점원에 의한 오염부하량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각 하도구간별로 오염원에 따른 오염부하량을 비교함으로써 대상유역에서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량의 영향을 검토할 수 있었다.

  • PDF

Water Quality Assessment in Hwangryong River Basin using GIS (GIS를 이용한 황룡강 유역의 수질오염평가)

  • 김철;김석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1999.12a
    • /
    • pp.39-43
    • /
    • 1999
  • 유역의 수질오염 평가는 GIS의 이용으로 더욱 발달되었는데 이 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이용 할 수 있는 자료 즉, 소유역 구분도 및 하천망도, DEM, 강우자료, 유량측정지점 및 측정자료, 오염부하량 원단위자료, 수질측정자료, 토지이용자료, 점오염원(축산농가, 인구, 산업체)자료 등을 사용하여 유역에 대한 연간 평균 오염부하량과 오염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성과 광주 일부분을 유역으로 하는 황룡강 유역에 대해 GIS를 이용하여 수질오염을 평가하였다. 점오염원의 오염부하량은 수계 내에서 발생하는 점오염원의 위치를 기준으로 원단위를 적용하여 오염부하량을 구하였다 비점오염원 농도는 연평균 오염부하량을 총연간 누적유량으로 나눔으로써 계산하였다. 유역의 연평균 오염부하량에 대한 공간분포 그리드를 만들기 위해 각각의 그리드 셀에 대해 오염농도와 유출량을 곱한 값을 하류방향으로 누적하여 계산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대상 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수질 농도의 예측치를 계산하였며, 이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 분석함으로서 개발된 모형을 검증하였다. 대상유역의 자료를 사용하여 황룡강 유역에 대한 개략적인 수질오염을 평가한 결과 BOD 유달율은 약 20%정도로 나타났다.

  • PDF

Odor Modeling of trimethyl amin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구미국가산업단지의 트리메틸아민 악취모델링)

  • Lee, Eun Ju;Khan, Mousumee;Lim, Kwang-He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4 no.2
    • /
    • pp.187-199
    • /
    • 2016
  • In this study CALPUFF modeling was performed to predict a contribution of a separate single point pollutant source as well as of total point pollutant sources of major synthetic fiber manufacturers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o atmospheric trimethylamine concentration of the same area. In addition, a contribution of the separate single point pollution source to the atmospheric trimethylamine concentration of the same area was estimated relatively to the total point pollutant sources. As a result of the CALPUFF modeling, the maximum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trimethylamine in Gumi national industrial complex was appeared upon improving T company emission facility frequently in complex 3 in winter (January) and spring (April) while frequently in complex 1 in summer (July) and autumn (October). Besides, the predicted range of the maximum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trimethylamine in complex 1 was improved upon improving its emission facility. However, even though in complex 3 the upper bound of the predicted maximum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trimethylamine was increased upon improving T company emission facility, the predicted value of their second upper bound below the upper bound was very similar to the upper bound of measured atmospheric trimethylamine concentrations in Gumi prior to improving its emission facility. Thus, the effect of improving T company emission facility was estimated huge in complex 1 while it was trivial in complex 3. These maximum concentrations of trimethylamine predicted to estimate the expected contribution of total point pollutant sources by CALPUFF modeling showed the similar values to those measured in the region of Gumi. Therefore, the expected contribution of total point pollutant sources to atmospheric trimethylamine concentration in the area of Gumi was validated.

서대구/염색공단에서 발생되는 VOCs오염원별 악취 기여도 평가

  • Lee, Cheol-Gyu;Do, Sang-Hyeon;Choe, S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88-91
    • /
    • 2008
  • 연구대상지역인 서대구/염색공단의 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VOC량은 염색공단이 14,834 kg/yr로 전체 배출량의 8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대구공단의 점오염원에 비해 7 배이상을 배출하였다. 면오염원의 경우 코일 코팅공정, 건축 및 건물 공정의 도장시설과 금속세정공정이 속한 유기용제사용이 서대구공단과 염색공단에서 VOC 배출량의 약 97%를 차지하고 있다. 서대구/염색공단의 악취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면오염원의 발생량기여도가 높은 유기용제사용의 억제와 서대구공단지역의 발생량 감소가 필요하다고 판단이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