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택지개발에 의한 도시확장이 도시 공간구조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Urban Area Expansion by Developing a Large Scale Residential District on Changes of Urban Spatial Structure - I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

  • 발행 : 2006.10.25

초록

This study was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urban expansion by developing a new large scale residential district on changes of whole urban spatial structure. For the analysis, time seri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by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n expansion of urban area led to lower both of the local and global integration levels, second, the spatial occupation ratio of upper 10% in the whole integration showed that old city center was separated, and moved to the Dunsan District,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an integration of the old city center region maintained a high level in spite of a movement of city center and its local integration still had highest level so that the old city center will take one of the two city center roles together with Dunsan Distric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진균 외(2002), 신도시개발에 의한 도시공간의 구조적 이분화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8권9호
  2. 박인수 외(2004), 대규모 택지개발 주변지역의 도시공간 구조 변화와 토지이용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제1호
  3. 한미연 외(2004), 대전시 중심시가지 형성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04춘계학술 발표대회 논문집
  4. 윤정섭(1982), 도시계획, 문운당
  5. 최영준(2001 ), 대전시 도시공간 구조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목원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임현식 외(2002), 도시공간구조와 지가의 상호 관련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18권 7호
  7. 대전광역시(2005), 2020대전도시기본계획(안)
  8. 김영욱 외(2002), spacesyntax를 활용한 개성공단의 공간적 파급효과, 국토연구원, 국토연 2002-24호
  9. 국토계획손세욱 외(2000), 대전시의 중심지 식별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35권 3호,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0. 김혜천(2002), 대도시 중심지 체계의 인식과 경험적 적용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15집 제3호, 한국도시행정학회
  11. 최봉문(2003), 대전광역시의 두개 도심간 도심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제16집 제3호, 한국도시행정학회
  12. 신행우 외(2003), 도시공간구조의 성장과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3추계학술 발표 대회논문
  13. 유상혁(2000) 도시공간구조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전대 박사학위논문
  14. Hillier & Hanson(l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