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공간구문론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Methodology for Designing the Spatial Query Model using an Object-oriented paradigm (공간 질의모델 설계의 방법론: 객체지향 패러다임의 이용+)

  • 고명철;오현석;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135-140
    • /
    • 1998
  • GIS에서 공간분석은 최종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돕는 중요한 수단을 제공한다. 다라서,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질의 모델은 질의 자체의 구문구성이나 질의를 이용하는 최종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에 있어서 사용자관점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질의 모델의 구문구조에 있어서 기존의 설계방법은 속성 데이터 베이스 검색을 위한 속성연산을 위주로 하여 공간연산을 위한 연산자들을 기존의 구문구조에 추가하는 형태의 접근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속성검색을 위해 정의된 구문구조를 확장하여 공간연산을 처리한 방식은 공간연산이 가지는 특성을 고려했을 때 질의의 구문구조가 비일관적이고 부자연스럽다는 문제점들이 많은 연구들에서 제기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가 공간분석을 위한 방법론이라는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연산을 자연스럽게 처리할 수 있는 질의모델의 구문구조 설계에 대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 PDF

Examination for Methodology of Design of Emergency Lightings by Using Space Syntax Theory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지하공간 비상유도등의 효율적인 위치선정 방법론 검토)

  • Won, Seul-Ki;Kim, Young-Uk;Choi, An-Seop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0 no.10
    • /
    • pp.1-9
    • /
    • 2006
  • The emergency lighting plan for underground space should be done with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terms of utilizing the Depthmap program from the Space Syntax theory, it is possible to analyze space quantitativel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are major induces of this theory and we can use them as emergency lighting design parameters. For this study, human behaviors and survivor's evacuation routes in fire emergencies a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ology of emergency lighting plan in underground space.

Moving and Differentiating the Center Area of Busan Using Space Syntax Theory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부산의 중심지 이동과 분화)

  • Sung-Yeol KIM;Ji-Hyu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4
    • /
    • pp.200-217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spatial network of Busan in a time-series manner to examine the planning role of centeral area change and spatial management.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ASA(Angular Segment Analysis) technique of the space syntax theory, and the analysis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from 1937 to 2022, when the Busan urban planning was established. As the result, the center area formed in Nampo-dong and Gwangbok-dong were differentiated and moved to Seomyeon, and then the process of redifferentiated into Yeonsan was confirmed in Seomyeon. It is also room for the center area to move to the western region in the future, and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enter area formed by the policy-set and amenity element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ystem of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the intelligibility analysis of space syntax theory, and found that the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existing studies and th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pace syntax theory we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role of the plan for space management.

A Study on the Space Renewal Guidelines of Rural Disaster Villages Using Space Syntax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마을 재난대비 공간정비 방안)

  • Lim, Chang-Su;Yu, Yeong-Ji;Lee, Seung-Chul;Oh, Yun-Kyung;Kim, Eun-J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122-125
    • /
    • 2016
  • 최근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풍수해 증가 추세와 금년 잦은 지진발생으로 인해 재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재난대비는 도시지역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 농촌마을의 재난대비책을 마련하는 것 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공간구조분석을 통하여 농촌지역 특성을 도출하였고, 농촌지역 특성에 따른 자연재해현황을 조사하여 공간구문론 분석을 통한 농촌마을 재난대비 공간정비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PDF

Location Decision Method of the Landscape Control Point using GIS and Space Syntax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방법)

  • Choi, Chul-Hyun;Jung, Sung-Kwan;Lee, Woo-Sung;Seo, Ch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74-78
    • /
    • 2010
  • 최근 국토해양부의 주도로 기존 도시를 중심으로 한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는 시점에서 개발로 인한 경관의 변화와 평가가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경관평가에 있어서 선행되어져야 할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것이 바로 조망점의 선정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도 조망점의 선정방식은 정확한 지표나 근거 없이 평가자의 주관적이고 인위적인 방식에 의해 선정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조망점 선정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Vine-Based Stochastic Loading Technique in Pedestrian Networks Considering Space Syntax Theory (Space Syntax Theory를 반영한 덩굴망기반 확률적 보행네트워크 배정기법)

  • Kim, Jong Hyung;Lee, Mee Young;Nam, Doo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6
    • /
    • pp.71-79
    • /
    • 2016
  • Evaluation of the walkability of the urban pedestrian network requires construction of a pedestrian network model that reflects Space Syntax Theory. Space Syntax Theory deduces an integration value through which materials for evaluation of the pedestrian network's connectivity can be produced; and can aid in illustrating the ease of walkability through the model's calculation of pedestrian indices such as movability, comfort, and safety. But the representation of space syntax theory in the pedestrian network requires that turn delay be added by means of a network-type construction method. While tree-based Dial Algorithm proposed for the logit-based probability walkability distribution model may be effective for link-based pedestrian volume distribution, it requires further network expansion to reflect turn delays. In this research, Vine-based Dial Algorithm is executed in order to obtain a measure reflecting the integration value for Space Syntax Theory. The Vine-based Dial Algorithm of two adjacent links, which forms the minimum unit of the Vine network, has the advantage of encompassing turn delay, and thus eliminates the need for network expansion. Usage of the model to evaluation of complicated pedestrian spheres such as urban roads is left to further research. Especially the progression of the proposed method is deduced through case study.

An Investigation of the Spatial Transition in Naju City via Space Syntax Framework (나주시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공간구문론적 고찰)

  • Byeong-Sam OH;Nae-Young CHOE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6 no.1
    • /
    • pp.114-131
    • /
    • 2023
  • The study empirically delves into the longitudinal transition of the urban core of Naju City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ASA (Angular Segment Analysis) technique of Space Syntax has been adopted to investigate the cadastral maps on the GIS platform for the five chosen years since 1920. In particular, the global integration map as well as box plot statistics have been used to capture the time-series consequenc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ld downtown is no more a monocentric city core and the center of the City has far moved eastward near the new Gwangju-Jeonam Innovation City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between 2000 and 2020.

An Analysis of the street structure and the Morphological Change using Space Syntax in Kangnam, Seoul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가로체계와 공간변화 분석 - 서울 강남구를 사례로)

  • Kim, Hye-Young;Joo, Yong-Jin;Jun, Chul-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69-70
    • /
    • 2010
  • 우리나라의 경우 시계열적인 토지 이용의 변화특성에 대한 경향 및 유형의 분석과 예측에 관련한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강남구의 구축한 시계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로체계와 토지이용 자료를 사용하여 강남구 공간구조의 시계열 공간구조변화의 패턴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지이용 변화과정을 함께 비교분석한다. 강남구는 70년대 초부터 개발로 인해 많이 변화해온 지역이다. 이를 고려하여 60,70,80,90년의 시계열별 공간구문론을 도입하여 축선도(Axial map)를 통해 정량적 분석을 한다. 향후 도로의 접근성 측면에서의 토지이용변화 예측모델 방법론과 연계가 이루어진다면 공간변화를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Integration of Space Syntax Theory and Logit Model for Walkability Evaluation in Urban Pedestrian Networks (도시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한 공간구문론과 Logit 모형의 통합방안)

  • Kim, Jong Hyung;Lee, Mee 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5
    • /
    • pp.62-70
    • /
    • 2016
  • Ensuring walkability in a city where pedestrians and vehicles coexist is an issue of critical importance.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 transit and walkability improvements complicates the evaluation of walkability, which thus necessitates the formation of a quantitative standard by which a methodological measurement of walkability can be achieved inside the pedestrian network. Therefore, a model is determined whereby quantitative indices such as, but not limited to, experiences of accessibility, mobility, and convenience within the network are estimated. This research proposes the integration of space syntax theory and the logit path choice model in the evaluation of walkability. Space syntax theory assesses adequacy of the constructed pedestrian network through calculation of the link integration value, while the logit model estimates its safety, mobility, and accessibility using probability. The advantage of the integrated model hence lies in its ability to sufficiently reflect such evaluation measures as the integration value, mobility convenience, accessibility potential, and safety experienced by the demand in a quantitative manner through probability computation. In this research, the Dial Algorithm is used to arrive at a solution to the logit model. This process requires that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pedestrian network and the perceptive distance of space syntax theory be made equivalent. In this, the research makes use of network expansion to reflect wait times. The evaluation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integrated model is reviewed and using the results of this sample network,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asse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