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ical Treatment for Type 11 Distal Clavicle Fracture using Mersilene tape and K-wire

Mersilene tape와 K-강선을 이용한 제 II형 원위부 쇄골 골절의 수술적 치료

  • Byun, Jae-Yo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Mary's Hospital) ;
  • Kim, Bo-Hyun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Mary's Hospital) ;
  • Kang, Shin-Taek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Mary's Hospital) ;
  • Whang, Chan-Ha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Mary's Hospital) ;
  • Hong, Chang-Wha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Mary's Hospital) ;
  • Lee, Bum-Sung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t. Mary's Hospital)
  • 변재용 (청주 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김보현 (청주 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강신택 (청주 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황찬하 (청주 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홍창화 (청주 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이범성 (청주 성모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Purpose: Surgical reconstruction is usually indicated fo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due to high rate of nonunion and delayed union. We report the clinical outcome of a surgical technique for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using Mersilen tape and K-wi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99 through 2003, this technique has been used on 11 patients with type II distal clavicle fracture. The procedure consist of fracture reduction with a Mersilene tape, repair of torn coracoclavicular ligament, and K-wire fixation of the fracture fragment. All patients with at least 12 months of complete postoperative follow-up were included for functional and radiographic evaluation. We used simple X-ray and UCLA scoring system and constant scoring system for evaluation at last follow up in OPD. Results: Solid union of the fracture could be achieved at 11 weeks after operation in all patients. All patients could return to the same level of preinjury activity. Good and excellent results were obtained in all patients according to UCLA system. Conclusion: This technique was simple procedure and allowed for stable fixation with early mobilization and early return to work and sports.

목적: 제 II형 원위부 쇄골 골절은 불유합과 지연 유합의 비율이 높아 수술적 치료의 대상이 된다. 저자들은 제 II형 원위부 쇄골 골절에 대해 Mersilene tape과 K-강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시행한 제 II형 원위부 쇄골 골절 환자 11예를 대상으로 Mersliene tape을 이용한 골절의 정복과 오구 쇄골 인대 봉합 그리고, 골절 부위에 K-강선을 이용한 고정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최소 12개월 이상의 추시관찰을 하였으며 최종 추시 상 기능적, 방사선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최종 추시 상 전후면 사진에서 골유합 유무로, 기능적 평가는 UCLA scoring system과 Constant scoring system을 사용하였다. 결과: 전례의 환자에서 수술 후 11 $(10\sim13)$주에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다. 11예에서 UCLA scoring system상 평균 33 $(31\sim35)$점, Constant soring system에서 평균 96 $(91\sim100)$점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결론: 이 술기는 비교적 간단하며, 견고한 고정을 할 수 있고, 조기 재활을 통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술식이라 생각되며 이의 임상적 적용을 추천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