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asonal Physical Examination of Professional Soccer Team

프로 축구팀의 시즌 전 체력검사

  • Lee, Kyung-Tai (Departments of Orthopedic Surgery, Eulji Hospital, Eulj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Byung-Ok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eoul Health College)
  • 이경태 (을지의과대학 을지병원 정형외과학교실) ;
  • 최병옥 (서울 보건대 물리치료학교실)
  • Published : 2006.10.31

Abstract

Purpose: In the professional soccer team, we performed pre-seasonal physical examin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to establish a standardization data in relation to their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physical examination to the professional soccer team, consisted 34 player's average age 24.9 years. The examination performed were questionnaire on history, musculoskeletal examination, muscle power test, physiologic test, functional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er position and injury pattern,. Knee injuries are most frequent on history. Physical examination outcome was that forward were prone to flexor hallucis longus tendinitis, midfielder for chronic ankle instability, defender for achilles tendinitis. Isokinetic test was done at dominant side, Peak torque to body weight ratio was 55.1%. Physiologic test checked body fat percentage was midfielder was superior as 19.8 (SD 2.9). Functional test out-come was that back strength 125 N. sergeant jump 59.6 cm, reaction time 208.5 sec, flexibility 19.2 m/s, side step 39.9 cm. Conclusion: Pre-seasonal physical examination gave us the standardization data and preventive measurement could be advocated from this results.

목적: 국내 프로 축구팀에서 시즌 전 체력검사를 시행하여 포지션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고 표준화하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34명으로 구성된 한 개의 축구팀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 24.9세였다. 설문지를 통한과거 병력 조사, 이학적 검사를 통한 근 골격계 검사, 등속성 근력기기를 이용한 근력 검사, 생리적 검사,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고 포지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과거력 상 슬관절 손상이 23예 중 11 예(47%)로 가장 빈번했고, 이학적 검사 결과 총 40예 중 족관절 손상이 14예 (46%)로 슬관절 손상 11예 (24%)보다 많은 손상이 있었다. 위치 별로 공격수는 장무지 굴곡 건염, 미드필드는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 수비수는 아킬레스 건염이 많았고 근력 검사상 우세 $60^{\circ}$ 신전/굴곡 체중당 최대 염력비 평균이 55.1%였다. 생리학적 검사상 미드필드 체 지방율이 17.8% (표준편차 2.9)로 높게 측정되었고 기능적 검사 결과 배근력 125.5N (표준편차 28.3), 서전트 점프 59.6cm, 반응시간 208 5초, 유연성 19.2 m/s, 사이드 스텝 39.9 cm였다. 결론: 시즌 전 체력검사를 통하여 선수들의 체력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재 손상에 대한 예방적 수단을 강구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