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ou Si Cong's Work

주사총(周思聰)의 작품세계

  • Published : 2005.06.01

Abstract

Zou Si Cong is a very significant female artist from the period when China was forming its modern arts and culture. Zou Si Cong, who was influenced by China's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was born in 1939 and died in 1996. Her actual work period was after China's 'Cultural Revolution' and lasted only 13 years, from 1978 to 1990. Her passion for art never stopped, even when she was suffering from severe arthritis with its torturing pain. There were big changes that occurred in her work; 'Early Work', 'Realistic Work', 'Mine Worker Painting', 'Yi Tribe' Painting', 'Lotus Paintings'. 'Mine Worker Painting', which represented a new figure by abandoning traditional techniques, dividing picture space, and changing and distorting forms, was the one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f all on a lot of people and strongly influenced modern Chinese figurative painting. The characteristics of Zou Si Cong's work are in its 'Traditionalism', 'Realism, and 'Historical' aspects. Zou Si Cong developed her uniqueness, along with Western expressions, based on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techniques. Realism, through realistic rendering, appeared in her figurative paintings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Period. 'Yi Tribe' paintings lively illustrated their lives. She creatively reinterpreted history in the composition of Mine Workers, which is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 of Chinese barbarity.

주사총은 중국의 현대 미술문화를 형성하는 시기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여성 화가이다. 그는 1939년에 태어나 1996년에 사망하였는데 중국 정치 사회의 격변기를 지나면서 그 영향을 받았다. 그의 실제적인 작품 활동 기간은 중국 '문화대혁명'이 끝나고 1978년부터 약 1990년까지 약 13년밖에 되지 않는 짧은 기간이다. 특히 1985년 이후 류마티스 관절염에 의해 그림을 그릴 수 없을 정도로 사지가 뒤틀리는 고통 속에서도 틈틈이 그림을 그리는 창작렬을 보였다. 주사총의 작품의 변환을 보면 크게 '리얼리즘의 표현시기', '<광공도>의 표현시기', '이족(彛族)의 표현시기', '연화(蓮花)의 표현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의 작품 가운데 <광공도>는 많은 사람들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중국의 현대인물화에 있어서 전환적인 영향을 끼쳤는데 중국의 전통적인 인물화 표현에서 벗어나 화면을 분할하고, 인물을 변형하거나 왜곡시켜 새로운 인물화를 보여 주었다. 주사총 작품세계의 특성은 '전통성', '리얼리즘', '역사성'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주사총은 중국 전통 회화표현을 바탕으로 서양의 표현과 자신의 개성적 표현을 더했으며, '문화대혁명기' 때는 인물의 실사표현을 통한 리얼리즘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이족'을 나타낸 작품들에서는 그들 삶의 모습들을 생생하게 그려내었다. 일제 만행의 역사적인 기록을 바탕으로 <광공도>가 이루어진 것에서는 '역사'를 재해석하여 화면을 구성하는 창의성을 볼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