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ction of Road Surface Freezing Section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의 노면결빙구간 추출

  • 최병길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 김중식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토목환경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5.12.30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a method for securing road safety by extracting the expected surface freezing section in planning a route using GIS. When planning a road construction in a mountainous area it is possible to confront surface freezing especially in the wintertime. In addition, it is required assessment data of surface freezing rates in the case of turnkey inspections of newly constructed or expanded roads. Consequently, an analysis method that can quantitatively estimate the surface freezing section and sunshine influence on each section of a road is needed. We can extract the expected surface freezing section which amounted to around 29km of the Donghae highway, with such techniques as three-dimensional modeling, sunshine simulation geographical database construction and spatial analysis using the overlay function of the GIS spatial analysis.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thod to assess advance safety which has a direct influence on planning the blueprint that should be approved by a policy maker after efficiently understanding the expected surface freezing section in accordance with hill shade.

본 연구의 목적은 GIS를 이용하여 도로의 노선계획시 예상되는 노면결빙구간을 추출함으로써 도로 안정성 확보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산악지역 도로계획의 경우 겨울철에는 결빙구간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도로의 신설 및 확장공사 턴키심의시 노면결빙율 평가자료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도로의 노선 계획시 기본설계에서부터 도로 각 구간에서의 일조 환경 및 노면결빙우려구간을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고속도로 중 약 29km 구간에 대하여 3차원 모델링, 일조 시뮬레이션, 지오데이터베이스 구축, GIS 중첩 기능에 의한 공간분석을 통해 노면결빙 예상구간을 추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음영에 따른 노면결빙이 우려되는 구간을 예측하고, 노면결빙위험 구간을 효과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정책결정자가 판단을 내리고 기본 설계시 반영하는 사전 안정성 평가 방안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