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Size of Economic Investment for Child Care in Korea

한국아동보육사업의 경제적 규모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연구

  • 이승희 (나사렛대학교 교양교직학부) ;
  • 백일우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
  •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04.10.31
  • Accepted : 2004.12.29
  • Published : 2005.02.28

Abstract

This study performed intensive indicators based on a model of economics of education. Trends of childcare in Korea were obtained by producing values developed with statistical data. Results showed that such simple initial indicator values as numbers of children, institutions and teachers have improved. However, intensive indicator values that take demographic and economic conditions into consideration have not reached the same rate of progress as the initial indicator values. In other words, qualitative growth remains at an unsatisfactory level in comparison to quantitative growth and to qualitative growth in members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s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Thus, financial investment by the government should be expanded in order to reach the desired level of high quality in daycare for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교육행정학 연구 v.19 no.2 유치원 교육재정 분석 및 표준교육비 산출연구 강경석
  2. 교육지표의 체계화 연구 강무섭(외)
  3. 유아교육기관 운영관리 강문희(외)
  4. 초.중등학교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수탁연구 CR 2000-55 공은배;서혜애;백성준;김병주;권재현
  5. 교육재정.경제연구 v.6 no.2 지방교육재정의 합리적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곽영우;최준렬
  6. 교육재정.경제연구 v.6 no.1 교육의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 함수관계 곽영우
  7. 21세기 한국교육의 발전지표 교육개혁위원회
  8. 세계 속의 한국교육 OECD, Eudcation at a Glance '97의 지표산풀방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CR-60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9. OECD 교육지표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10. 교육통계연보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11. 교육통계편람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12. 교육통계연보 교육인적자원부
  13. OECD 주요국가 교육통계 교육인적자원부
  14. 교육재정.경제연구 v.4 no.2 인적자본과 교육, 가족의 형성 및 경제성장 : 인적자본과 교육, 가족의 형성 및 경제성장 : 인적자본의 본질과 효과에 대한 소고 김경근
  15. 유아교육연구 v.19 no.2 OECD 주요국가간의 유아교육제도 비교 분석 김명순;박은혜;신동주;정미라
  16. 지표개발을 통한 한국 평생교육사업 규모 고찰 김지하
  17. 유아교육지표개발 나정;장명림
  18. 유치원 공교육화를 위한 단계적 발전방안 연구. 수탁연구 CR 96-19 나정;천세영;장명림;이영미
  19. 교육경제학 백일우
  20. 교육행정학연구 v.17 no.4 유아교육산업의 경제적 규모 분석을 위한 지표 개발 백일우;이승희
  21. 교육재정.경제연구 v.10 no.2 지표개발을 통한 유아교육산업의 발전도평가 백일우;이승희
  22. 보육사업지침 보건복지부
  23.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24. 아동보건복지과 내부자료 보건복지부
  25.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6. 보건복지통계연보, 행정간행물 등록번호 40000-65020-26-9708 보건복지부
  27. 2000년도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8. 2002년도 보육사업안내 보건복지부
  29. 보육상세통계 보건복지부
  30. 2000년도 보육사업안내 서울특별시
  31. 서울특별시 보육시설의 표준보육 단가 산출 및 재정재원제도에 관한 제언 서울특별시
  32.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33. 한국통계연감 통계청
  34. 한국주요경제지표 통계청
  35. APEC 국가의 주요통게지표 통계청
  36. 간추린 교육통계 한국교육개발원
  37. OECD 교육지표. 해외정보자료 IEI 2000-1 한국교육개발원
  38. OECD 교육지표 통계자료 SM 2001-6 한국교육개발원
  39. OECD 주요국가 교육통계 한국교육개발원
  40. 여성통계연보 한국교육개발원
  41. 민가보육시설의 공공성 강화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42. 영유아 보육서비스 확대를 위한 재정구조 및 제도 개선 방향 한국여성개발원
  43. 유아교육 백서 한국유아교육학회
  44.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v.14 no.1 National Quality Indicators: A World View AIkin, M.C.
  45. Human Capital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with Special Reference to Education Becker, G.S.
  46.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14 no.September The Empirical Status of Human Capital Theory: A Slightly Jaundiced Survey Blaug, M.
  47. The Economics of Education Cohn, E.;Geske, T.G.
  48. Social Indicators: Problem of Methodology and Selection;Social Indicators : Problem of Definition and Selection Franchette, S.;UNESCO
  49. Indicators of Ed1tcational Systems Johnstone, J.N.
  50.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OECD
  51. Statistical Yearbook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