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구조주의에 의한 수학적 오류의 분류가능성 탐색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es for Classific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on the basis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 김부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Kim, Bu-Mi (Ewha Woma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 발행 : 2005.11.01

초록

수학적 오류를 인지구조의 수행 변화와 관련 있는 정신용량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다양한 과제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를 분류할 수 있는 공통적인 기준도 학습자의 인지체계와 정신용량을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오류를 Demetrious et al.(1987, 1993)의 경험적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인지구조 및 과제상황에 근거하여 설명하고 다양한 내용과 맥락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오류 분류 기준을 제안하고 실제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다. 그 결과, 오류 분류 기준은 6가지 자발적 정신용량과 그 요소능력 및 양식적 특성으로 요약될 수 있다 제안한 경험적 구조주의에 기반한 오류 분류 기준을 일차함수과제를 예측과제, 번역과제, 해석과제, 척도과제로 세분화하여 적용한 결과, 오류의 재분류가 가능하였다.

This article presents new perspectives for classification of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on the basis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Experiential structuralism's mechanism gives us new insights on mathematical errors. The hard core of mechanism is consist of 6 autonomous capacity spher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ing of different reality domains. There are specific forces that are responsible for this organization of mind. There are expressed in terms of a set of five organizational principles. Classification of mathematical errors is ascribed by the theory 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 6 autonomous capacity spheres. Different types of classification require different autonomous capacity spheres. We can classify mathematical errors in the domain of linear function problem solving comparing cogn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of experiential structuralis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