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급사슬관리에 의한 동북아 거점항만전략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tness of Korea's Hub-Port Strategy in Northeast Asia by SCM

  • 이인수 (부산지방해양수산청) ;
  • 안기명 (한국해양대학교 해운경영학부) ;
  • 김현덕 (동명정보대학교 유통경영학과)
  • Lee In-Soo (Busan Regional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Office) ;
  • Ahn Ki-Myung (Division of Shipping Management,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Hyun-Duk (Dept. of Distribution Management, TongMyong Univers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 발행 : 2005.10.01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 항만이 동북아 거점항만으로 변신하는데 필요한 항만공급사슬전략을 도출하여 거점항만으로의 발전전략의 적합성을 분석하였다. 경쟁항만의 발전 잠재력을 충분히 고려하고 우리 항만의 시설${\cdot}$서비스수준의 미흡성을 하루속히 보완하는 유연한 항만 공급능력의 확보, 항만리드타임(접안시간, 양하역시간 등)의 최소화와 뭍류서비스를 극대화${\cdot}$다양화할 수 있는 모듈방식의 항만운영의 다양화가 필요함을 검증하였다. 특히, 거점항만 개발전략에서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제공과 실질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항만배후부지 개발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strategic fitness and relevance of the hub port strategy by SCM in Northeast Asia and to find a method to be a hub-port with a competitive edge. The fitness of the hub port development strategy is analys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ssential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minimizing lead time from arrival of ship to inland transport and maximizing logistic services of each stage are important to provide optimal logistic service. And value-added port supply chain strategy is highly co-related with all the parts of port operation system, port transport system, distribution park and port information system. It shows that: various value added logistic service activity is more important than lowing cost; inland multimodal system should be rightly connected; distribution park should be connected to industry park to be a port cluster; and port information system should be develop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종희 외(2000),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지화 전략', 한국 해양수산개발원
  2. 고용기. 여택동(2002), '동북아 물류거점확보를 통한 신국제물류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제17권 3호, pp. 41-64
  3. 권능중. 김성규. 안기명(1999),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항만학회지, 제13권 제2호, pp. 255-254
  4. 김상열.(2001), 'A Study on the Singapore Port's Strategy to the Changing Environments and Implication for Busan Port', 한국항해학회지, 제25권 제4호, pp. 393-406
  5. 이철영. 강기중. 여기태(2000),'로지스틱스의 진화에 대응한 항만의 발전 전략에 관하여, 컨테이너항만의 개발 전략', 한국항만학회지 ,제14권 제1호,pp 1-11
  6. 하동우(2004),'항만에서 국제 무역과 로지스틱스의 중심을 이루기 위한 전략', 제3회 광양항 국제포럼 및 한국무역학회 창립 30주년 기념학술대회, 광양
  7. Beamon, E. M.(1998),'Supply Chain Design and Analysis: Model and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pp. 281-294
  8. Bover, David M. and Frentzel, David G.(1999),'The Value Net: Connecting for Profitable Growth', Supply Chain Management Review, pp. 96-104
  9. Bowersox, D. J and Closs, D. J(1993), 'Logistics Management: the Integrated Supply Chain Process', McGraw Hill, New York
  10. Chopra Sunil and Meindl, Peter(2001),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 Prentice- Hall, INC
  11. Coyle, John J, Bardi, Edward J. and Langley Jr., John C.(2003),'The Management of Business Logistics', A Supply Chain Perspective, 7th Edition
  12. Min. H, Zhou, G(2002),'Supply Chain modeling ; Past, Present and Future', Computer & Industrial Engineering, 43, pp. 231-249 https://doi.org/10.1016/S0360-8352(02)000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