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s of Elementary Students’ Spatial Abilities with their Conceptions of Celestial Mo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과의 관계

  • Kim, Sang-Dal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Seob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Gyu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Busan National University)
  • 김상달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용섭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상균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5.08.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bilities of 6th grade student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apability, concept of celestial mot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which can help find a better teaching strategy for students in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celestial mo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evel of accomplishment of these three skills, male students show higher level of accomplishment than female student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are found.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spatial capability and concept of the movement of heavenly bodies, the former has a stronger influence on the students' cognition of celestial motion. Minor elements of spatial capability that influence the conception of celestial motion are device analogy, calculation of wood cut, and revolving light. Third, spatial capability is very influential on the level of accomplishment in science process skills. Among the minor elements of spatial capability that is influential to science process skills, calculation of wood cut is the highest, especially when various elements are interactively related to each 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및 과학탐구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학생들에게 천체운동개념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한 교수$\cdot$학습 전략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과학탐구능력 성취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과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공간능력은 학생들의 천체운동 개념 이해에 영향력을 갖고 있었다. 천체운동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 하위 요소는 도형유추, 도막세기, 회전등이었다. 셋째, 공간능력은 과학탐구능력의 성취도에 매우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었으며, 특히 과학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능력 하위요소는 도막세기가 가장 높았고, 단일요소보다는 여러 요소들이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할 때 그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1998,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9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4,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5-2.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53 p
  3. 교육인적자원부, 2004,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6-2.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124 p
  4. 권재술, 김범기, 1994, 초.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 (3), 251-264
  5. 권오남, 박경미, 임형, 허라금, 1996, 공간능력에서 성별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35 (2), 125-141
  6. 강심원, 우종옥, 1995, 인지양식에 따른 인지수준과 과학탐구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 (4), 404-416
  7. 정남식, 2003, 소집단 역할놀이와 토의를 통한 고등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변화.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 p
  8. 김기정, 1997, 지구와 달의 운동에 대한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3 p
  9. 김주리, 1998, 초등학생의 공간능력과 천체운동개념 성취도의 관련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7 p
  10. 김효남, 1990,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개념에 대한 실태조사 및 교정을 위한 방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 (2), 11-24
  11. 김희수, 1993, 고등학교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수준과 과학탐구능력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4 (4), 424-431
  12. 임청환, 정진우, 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 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 (2), 247-256
  13. 이연우, 1999, 중학생 과학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지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1 (2) 188-196
  14. Ausubel, D. D., Novak, J. D., & Hanesian, H, 1978, Educationl Psychology, 2nd ed. Holt, Rinehart & Winston. 245 p
  15. Piaget. J. & West. I. H, 1986, The child's Conception of space. W. W. Norton, 19 p
  16.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 (5), 889¬-917 https://doi.org/10.1037/0033-2909.86.5.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