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Development of Learning Place for Geologic Field Survey around the Duta Mountain, Chungbuk, Korea

  • 이창진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 정상원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
  • Lee, Chang-Xi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eong, Sang-W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5.02.0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로 하여금 실제 야외지질조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시대를 달리하는 다양한 암석과 지질구조를 가지고 있고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편리한 음성분지의 남동부 두타산 일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음성분지의 야외지질 실습코스에는 13개의 관찰지점이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 각 관찰 지점별로 학생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야외학습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지형도나 수치 지형도를 이용하여 스스로 노선지질도를 작성하도록 하였으며 큰 구조나 서로 다른 암상과의 관계를 광역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항공사진을 첨가하였다. 또한 각 관찰 지점마다 노두 및 편광 현미경 사진을 제시하여 야외학습에서 경험할 수 있는 환경으로 설계하여 실제로 야외에서 겪게 되는 갈등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구현된 야외지질조사자료는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 수강자를 대상으로 학생들의 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정의적 측면에서 학생들이 야외학습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특히 지구과학에 관한 구체적인 개념 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educational data in order for students to perform geologic field survey effectively by themselves. A area around the Duta Mountain is selected.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eastern part of Eumsung sedimentary basin because various rock types and geologic structures are well shown in this area and also it is convenient to reach there. Thirteen stops for observation are chosen m a route f3r exercising field geologic investigation. Data for field research are given and described in detail from each stop for observation. To do this, students make their own route map using general or digital geographic map and aerial photo is added to know relationship between large-scale structure and different rock types regionally. Moreover, it is designed to minimize conflict factors that may be experienced from the real field survey by showing outcrop photographs and polarizing photomicrographs of rut samples related to each stop and geologic structures. The attitude of students is investigated with the data of field geologic survey for students of an Earth Science clas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i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ducational data for geologic field survey brought positive changes that greatly help students perform field survey in definitive side, especially formation of absolute concepts on earth sci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정상원, 1987, 증평음성지역의 백악기 퇴적분지 북부지역의 지질구조. (미발간) 이학석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64p
  2. 정상원, 김정환, 최영섭, 1999, 음성분지 북부지역 내 백악기 퇴적층의 연필구조. 한국지구과학회지, 20, 497-54
  3. 정창희, 박용안, 김항묵, 1976, 음성지질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32 p
  4. 송무영, 이창진, 이제용, 1990, 음성-증평 및 공주 부근의 중생대 퇴적 분지에 대한 지구조 종합연구 (I. 음성증평 부근). 한국지구과학회지, 11, 1-12
  5. 송무영, 이창진, 이제용, 이동익, 1991, 음성-증평 및 공주 부근의 중생대 퇴적 분지에 대한 지구조 종합연구 (II. 공주분지). 한국지구과학회지, 12, 1-13
  6. 최영섭, 1996, 음성분지 지구조운동 연구. (미발간) 이학박사 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58 p
  7. Christie-Blick, N, and Biddle, K. T., 1985, Deformation and basin formation along strike-slip fault. In Christie-Blick, N, and Biddle, K. T., (eds), Strike-s;ip deforamtion, basin formation, and sedimentation: SEPM, Special Publication 37, 1-34
  8. Kim, J. S. Shon. H, Ryang, W. H. and Chough, S. K., 1998, Electical resistivity and MT imaging in the northern-middle part of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Geoscience Journal, 2, 206-216 https://doi.org/10.1007/BF02910165
  9. Ryang, W. H, Chough, S. K. Kim, J. S. and Shon, H., 1999, Three-dimensional configuration of a full apart basin from high-resolution magnetotelluric profiling: Eumsung Basin (Cretaceous), Korea, Sedimentary Geology, 129, 101-109 https://doi.org/10.1016/S0037-0738(99)00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