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자료

Search Result 11,544,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Studies of educational use scheme of non-book materials (비도서 자료의 교육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정옥연;남태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35-43
    • /
    • 2003
  • 교육매체로서 비도서자료는 종래의 책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다양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정확한 사고력을 키우며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적응력을 길러준다. 따라서 교육매체로서 비도서 자료의 확보와 그의 충분한 활용은 교육의 질적 문제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관심사가 되어 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비도서 자료의 정보 자료로서의 가치와 교육매체로서의 가치를 규명하며 경인 지역 중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비도서 자료의 활용실태를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파악한 후 향후 학교 교육에서 비도서 자료의 교육적 가치를 제고하고 학교도서관에서 비도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 운영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Analyzing Mathematics Programs for Gifted Students and Developing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중등학교 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교수-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 한인기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175-202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nalyze various mathematics programs and related studies for gifted students of secondary school, to extract meaningful suggestions, and to develop some mathematics materials to realize our suggestions. We analyzed mathematics curriculum drafts for gifted students(by KEDI), mathematics program for the gifted students of Russia, and mathematics programs of some specialist of gifted education. We were able to extract some important aspects for developing teaching & teaming materials. Especially in this study we took notice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and suggested a model of systematiz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 PDF

초등 수학 영재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 개발 : 5${\sim}$6학년을 중심으로

  • Kim, Hae-Gyu;Sin, Mun-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311-330
    • /
    • 2003
  • 2000년 1월 28일에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 ${\cdot}$ 공포되었고, 2002년 4월 18일에 영재교육진흥법시행령이 공포됨에 따라 본격적으로 공교육 차원의 영재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그에 따라 영재교육의 목적을 이룰 수 있는 적절하고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시급한 쟁점으로 부각되었고, 비로소 2002년 6월 15개 시${\cdot}$도 교육청이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해 영재학급과 영재교육원에 투입할 학년별 50차시 분의 초등학교 4${\sim}$6학년 영재 심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하지만 영재교육의 내실을 기하고 활성화를 위해서는 좀 더 다양한 교수-학습자료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많은 시도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급용으로 개발된 심화 교수-학습 자료에 제시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영재학급에 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5${\sim}$6학년 수학 영재교육을 위한 학습자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 Basic Study for Standardization on the Classiffication Schemes of Educational Resources based on Analysis of De Facto Standard (사실표준 분석에 기초한 교육자료 분류체계 표준화를 위한 기초 연구)

  • Park, Tae-Boon;Yoo, In-Hwan;Koo, Duk-Hoi;Kho, Dae-Gon;Seo, Young-Suk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91-99
    • /
    • 2004
  • 정보사회의 도래로 교육분야에서도 정보공유를 위한 많은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교육자료의 양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정보생산자들이 일정한 표준 없이 나름대로의 기준에 따라 정보를 유통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정확하게 찾아내기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자원 중에서도 교육자료를 서비스하고 있는 16개 시 도 교육청 및 산하 기관들의 홈페이지 분류체계를 분석하고, 자료의 실제 이용자 및 공급자에 대한 요구자료를 최대한 수렴하여 사실표준에 기초한 교육자료 분류체계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수학영재학생들에 대한 보충 ${\cdot}$심화 학습자료로서의 행렬

  • Lee, Gang-Seop;Park, Yong-Beo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95-102
    • /
    • 2004
  • 수학영재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학습자료, 특히 보충 ${\cdot}$ 심화 학습자료의 개발이 시급하다. 이 논문에서는 교육과정에 나타난 행렬의 위치를 파악하여,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이 되는, 행렬을 소재로 한몇 가지 예를 영재교육용 보충 ${\cdot}$ 심화 학습자료로 제시하였다.

  • PDF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Big Data Research (교육 빅데이터 관련 연구 동향)

  • Lee, Eun-young;Park, Do-oung;Choi, In-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75-176
    • /
    • 2014
  • 본고에서는 교육 빅데이터의 개념, 가치, 처리 기술 및 분석 방법 등을 탐색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교수 학습 활동의 투입, 과정, 산출을 통해 생산되는 국가, 지역, 학교, 교사, 학생 수준의 자료'로 정의할 수 있는 교육 빅데이터는 Hadoop으로 대표되는 분산 컴퓨팅 기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대규모 교육 자료에서 의미있고 유용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는 분석 방법에는 교육 데이터 마이닝, 학습 분석학과 시각 자료 분석학이 있다. 교육 데이터 마이닝은 학생과 교사, 학교의 다양한 수준에서 자료를 폭넓게 분석하는 측면이 강한 반면에 학습 분석학은 학생 수준에서의 자료 분석에 더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으며, 시각 자료 분석학은 자료에 대한 분석 자체보다는 분석 결과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에 초점이 주어져 있다.

  • PDF

${\cdot}$ 도 교육청 영재 심화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에 관한 연구

  • Lee, Sang-Won;Bang, Seung-Ji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8 no.3 s.20
    • /
    • pp.171-197
    • /
    • 2004
  • 1999년 교육개발원에서는 초 ${\cdot}$ 중학교 영재 교육과정 시안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였는데 이 보고서에 초 ${\cdot}$ 중학교 수학과 영재 교육과정 시안이 제시되어 있다. 이 영재 교육과정 시안으로써 그 내용에 상응하는 수학 교수 ·학습 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 교수 ${\cdot}$ 학습 자료개발 및 영재교사 연수가 본격적으로 확대,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며 또한 2002년${\sim}$2003년 2년간 한국교육개발원에서는 영재학생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왔다. 이런 취지를 바탕으로 지금 우리에게 영재 교육의 시급한 문제는 초 ${\cdot}$ 중등에 필요한 다양한 영재 교육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마련한 교재개발 지침에 따라 2005학년도 교수 학습 자료를 중학교중심으로 영재 교육 프로그램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irtual Education System on the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의 가상교육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노진순;이용배;맹성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b
    • /
    • pp.595-597
    • /
    • 2001
  • World-Wide Web으로 인하여 인터넷 상의 다양하고 고품질의 자료들을 교육 자료에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좀 더 정제되고, 교육과정에 맞는 흐름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의 흐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웹 상에서 분산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디지털 문서들을 교육 목적에 맞게 새로운 순서, 즉 문맥화된 순서를 가진 자료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문서간의 부드러운 내용 전개를 위해서 부가적인 설명이나 기존 문서에 빠져 있는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에서 개발된 가상교육 시스템은 교사가 교육용 지식문서를 작성하여 면대면(face to face) 교육에서는 직접 학생들을 교육할 수 있는 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웹을 통해서는 학생 스스로가 부족한 부분을 원하는 시간에 학습할 수 있는 능동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상교육 시스템에 가상문서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인터넷 상의 수많은 리소스들을 인용하는 것에 대한 부하를 막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교사가 교육과정에 맞게 쉽게 재구성해 줄 수 있도록 가상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 PDF

Systematic Assessment Standards of Multimedia Educational Data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개발 산출물의 단계별 심사 기준)

  • 구덕회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2 no.10
    • /
    • pp.1285-1290
    • /
    • 2001
  • These days, good-quality multimedia educational data are exceedingly needed for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order to produce high quality multimedia educational data, it is important to design a series of development process and conduct a coherent examin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ocess of developing multimedia educational data and provides systematic assessment standards with respect to each step in which an evaluation is required. The step-by-step assessment standards may serve as a guideline in managing and monitoring the entire developmental process of multimedia educational data.

  • PDF

Development of Finite State Automata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을 위한 유한상태 오토마타 교육자료 개발)

  • Go, Hyungchul;Kim, Ch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0 no.4
    • /
    • pp.401-408
    • /
    • 2016
  • CS Unplugged education is emphasized as the component of the basic principles of Elementary SW education. This document produced by two other Timbell presents the contents in a variety of topics about computer science. One of the main components is the finite Automata, and this requires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for teaching our situation. So We'll present the finite Automata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classes. Learning model that we have presented is a process of self-directed and activity-based learning. For verification of this experiment was the validation of the expert group and was concluded that adequa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agnostic te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