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도

Search Result 9,624,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Geomorphological Mapping for Construction GIS Database of Geomorphic Elements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지형 요소의 지도화)

  • 이민부;김남신;한균형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81-92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형요소의 GIS Database 구축을 위한 전산화된 지형분류도 제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형요소 전산화는 지형요소의 분류, 지형요소의 코드화, 범례화, 심볼의 제작, 마지막으로 지도화의 과정을 통하여 완성된다. 지형분류는 지형요소의 공간적 분포와 형태, 지형형성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환경체계와 지형형성기구의 역할을 고려하며, 동적인 지형형성과정과 이 과정을 통해 물질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형분류도는 1: 25,000 축적에 표현 가능한 지형요소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지형요소들의 지도화 되었을 때는 시.공간적인 관계를 통해 지형환경체계가 인식되도록 하였다. 지형요소들은 GIS에서 Layer단위로 입력되어야 하기 때문에 Data Feature의 성격을 점.선.면으로 분류하여 지형요소의 형상을 범례로 만들었다. 지형요소 범례는 지형의 형태, 물질 그리고 성인을 고려하여 지형요소를 상징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PDF

Simulation of landscape evolution using LEGS: With a focus on rainfall and tectonic uplift conditions (LEGS를 이용한 지형발달 모의: 강우 - 융기 조건을 중심으로)

  • Kim, Wo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36-736
    • /
    • 2012
  • 유수의 침식과 퇴적작용은 지형의 변화를 일으키며, 이런 지형변화는 하천 흐름, 지하수 흐름 등의 변화를 가져오며 이는 다시 지형변화의 원인이 된다. 이런 일련의 과정이 되풀이되는 것을 지형발달이라 하며, 이는 수문 현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지형발달의 주요 인자에는 강우와 지반 융기 등이 있으며 각 주요 인자들은 복합적으로 지형발달에 영향을 준다. 하지만 지형발달 탐구 시 실제 지형을 대상으로 탐구하기에는 한계가 분명히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해 수식을 계산하여 수치적으로 지형발달을 모의하는 모형을 이용하여, 지형발달에 영향을 주는 강우와 지반 융기를 중점적으로 탐구하였다. 지형발달모형을 이용하면 더욱 다양한 관점에서 지형발달과정의 역동성을 파악하는 새로운 시도들이 가능하다. 특히 특정 환경 조건에서의 논리적인 지형의 반응을 통한 해석이 가능해져, 환경 변화로 어떠한 지형변화 또는 지표물질 수지 변화가 있을지를 예측할 수 있다(변종민, 2011). 또한, 지형발달 일련의 과정들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시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지형발달모형은 강우와 융기 조건에 따른 지형발달을 모의하기에 적합하다. 본 연구는 LEGS을 이용하여 강우와 융기 조건에 따른 지형발달 모의를 진행하였다. LEGS는 지표수의 흐름을 탐색하는 방법으로 GD8을 이용한 물리 기반의 수치적 지형발달모형이다(Paik, 2012).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변동과 융기 조건의 변화가 지형발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유역의 표고차이 등과 같은 정량적인 지표의 변화에 주목하여 각종 분석을 하고, 물리적 원인을 고찰하였다.

  • PDF

A Geomorphology on the Ulleungdo (울릉도 지형지)

  • Kwon, Dong-Hi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4
    • /
    • pp.39-57
    • /
    • 2012
  • The volcanic edifice of Ulleungdo is largely divided into a shield volcano underwater and a tholoide above seawater.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volcano above seawater are basically alkali volcanic rocks that are further divided into five geological strata: agglomerates and tuffs trachyte and phonolite trachytic pumice trachyandesite, and sedimentary layer. The topography of Ulleungdo consists of volcanic landform on the whole, and such volcanic landform is weathered and eroded into various weathering landform, stream landform, coastal landform, structural landform, etc. Major volcanic topography includes caldera basin, central cone, and columnar joint, whereas weathering topography features, tafoni, gnamma, tor, weathered cave, talus, etc. In major coastal topography are sea cliff, wave-cut platform, sea stack, sea arch, sea cave, shingle beach, coastal terrace, etc. For stream topography, its development is minimal except for waterfalls.

A Study of Regional Geomorphology i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Central Korea (추가령 구조곡의 지역지형 연구)

  • Lee, Min-Boo;Lee, Gwang-Ryu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4
    • /
    • pp.473-49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s for Korean geomorphological research. Though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has been thought important for the tectonic settings and orographic processes in Korea,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discussions still are sustaining for finding out evidences of the settings. The Chugaryeong valley region has many geomorphic themes such as tectonic structure, volcanics, river, mountain, terrace, lake and sediment layers. The research of the valley focuses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previous references mainly including geomorphic naming, geomorphology and geology, and history of the study for estimating the origin of tectonic valley, formation of the lave plateau, change of river structure by dissection, restoration of the landform before lava eruption, and the processes and age dating of the various landforms. Conclusively,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may be recognized as the linear region of the tectonic and volcanic landforms with other various applied geomorphic settings.

  • PDF

Landform Classification using Geomorphons (지형패턴(Geomorphons)을 이용한 새로운 지형분류방법)

  • KIM, Dong-Eun;SEONG, Yeong Bae;SOHN, Hak Gi;CHOI, Kwang Hee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4
    • /
    • pp.139-155
    • /
    • 2012
  • Most of previous landform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DEM compares the values between the center of the cell and the surrounding cells, which in turn, greatly depends on analysis scale. To overcome the problem of scale-dependency, a new classification scheme is developed, which is called "Geomorphons". Unlike the traditional approaches using DEM, Geomorphons is the way which compares the level with other cells against the criteria cell. As a pilot study, we classify the landforms of Pyeongchang-Gun in Korea. Then, we compare the result with the other methods such as Topographic Position Index. Through the systematic analysis, we obta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Geomorphons can reduce the time for the classification of landforms because of using unsupervised classification. Second, Geomorphons is little dependent on change in the scale, which can provide a pilot tool for reconnaissance study for covering large area.

Performance Analysis of Batch Process Terrain Relative Navigation Using Area based Terrain Roughness Index for Lunar Lander (영역기반 지형 험준도 지수를 이용한 달착륙선의 일괄처리방식 지형상대항법 성능분석)

  • Ku, Pyung-Mo;Park, Young-Bum;Park, Chan-G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7
    • /
    • pp.629-639
    • /
    • 2016
  • Batch process TRN(Terrain Relative Navigation) using an altimeter is a technique to correct position by correlating a series of periodically measured terrain height profile and terrain height candidate profile of the DEM(Digital Elevation Map). However,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performance of TRN is degraded when measured terrain height profile and terrain height candidate profiles of the DEM are similar at hill or repetitive terrain. In this paper, area based terrain slope roughness index[11] is applied and area based terrain curvature roughness index which can detect similarity of terrain in ROI(Region Of Interest) is proposed to overcome this problem. Applying terrain roughness indexes to terrain relative navigation system of lunar lander, it is shown that TRN using area based terrain roughness results in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trajectory based method through simulation.

Microtopography Effects on Rainfall and Sediment Runoff in Arid and Semiarid Region (건조 및 반건조 지대의 미세지형이 강우 및 유사 유출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im, Soyoung;Jeong, Minyeob;Kim, D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4-174
    • /
    • 2021
  • 지표면에서 소규모의 요철로 이루어진 미세지형 (Micro Topography)은 자연 지형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지표면에서의 흐름해석 시 이러한 미세지형에 의한 효과를 정확히 고려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지형격자를 사용하여야 하나, 대부분의 지표유출모델은 미세지형이 존재하지 않는 저해상도의 거친 표면으로 간주함으로써 바닥 마찰 효과를 증가시켜 미세지형에 의한 영향을 대략적으로만 반영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강우-유출 및 유사-유출 해석을 목적으로 고해상도의 지형격자를 사용하여 미세지형을 포함한 건조 및 반건조 지대에서의 흐름을 수치적으로 모의하였다. 미세지형의 형태는 마루와 골 사이가 직선으로 이루어진 파동의 형태로 이상화 하였으며, 파동의 진폭과 파장을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미세지형을 고려하였다. 수치모형은 흐름의 움직임에 대한 Saint-Venant 방정식과 침식 및 유사이송에 대한 Hairsine-Rose 방정식을 함께 계산하는 통합모형인 tRIBS-FEaST를 사용하였다. 수치 모의 결과에서 나타난 미세지형의 핵심 영향은 최대 유량 및 유사량 도달시간의 지연, 유사 입자 크기별 유사-유출량 증감, 그리고 하천 유출(stream flow)의 생성이었다. 또한, 미세지형의 형태에 따라 미세지형과 강우-유출 및 유사-유출 사이에 비례 혹은 반비례 관계가 성립함을 보였다. 수치 모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미세지형이 강우-유출과 유사-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기존 Manning 거칠기 계수를 통한 해석 방법의 적부를 판단하였다.

  • PDF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for runoff characteristics with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basin (한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유출의 상관분석)

  • Lee, Ji Haeng;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36
    • /
    • 2017
  • 일반적으로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인자들은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등 여러가지가 있다. Horton (1945)은 수계의 발달 형태에 기초한 하천의 차수를 이용하여 분기비, 길이비, 면적비, 하천 밀도 등 지형학적인 매개변수로 제시하였다. 유역 지형학적 매개변수는 Horton이 제시한 유역내 하도망의 지형학적인 구성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출에 지배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강 유역 19개 하천의 27개 지점을 대상으로 유출 특성과 지형학적 특성의 상관 분석을 위하여 유역과 하천의 지형학적 특성을 Arc-Map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하천차수법칙에 의한 지형학적인 매개변수로 분기비, 길이비, 함몰도, 면적비를 산정하였고,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는 유역면적, 유로연장, 유로경사, 형상계수, 단일형상계수, 세장률, 수계밀도, 수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수계의 연간 유출률은 실측 유출량과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각각의 지형학적 특성인자에 대한 상관 매트릭스를 분석하고 그 상관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형학적 매개변수와 지형학적 요소와 연간 유출률과의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다.

  • PDF

The Application of Digital Terrain Model with respect to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Terrain Roughness (지형변화의 양적측정에 의한 수치지형모델의 적용)

  • Yeu, Bock-Mo;Kwon, Hy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5 no.1
    • /
    • pp.43-48
    • /
    • 1987
  • The terrain is classified by the parameters-gradient, curuature, bump frequency and the ratio of the surface area to the corresponding planar area- that indicate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terrain roughness, and the terrain is fitted to the polynomial function. According to the terrain roughness, the flat terrain, the gently undulating terrain, the rough terrain are classified The flat terrain, the gently undulating terrain and the rough terrain are fitted to the plane function, the 3th or 5th polynomial function and the 5th polynomial function, respectively.

  • PDF

Geomorphic Conception and Function of the Divide (분수계의 지형적 개념과 기능)

  • 이민부;한주엽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4
    • /
    • pp.503-518
    • /
    • 2000
  • 분수계는 지형적 실체이며, 지역의 지형 연구 분야에서 자연적 경계로서 설정된다. 분수계는 수계, 산계, 유역등의 지형 요소들과 연관된다. 분수계의 지형 형성과 기능은 경사의 법칙, 구조의 법칙, 그리고 계층의 법칙으로 설명될 수 있다. 분수계는 구조적 형성과정과 기후적 삭박과정을 통하여 변화한다. 지형분수계는 능선분수계, 하천 분수계, 폐쇄 분수계, 세탈 분수계, 문턱 분수계, 세포형 분수계 등으로 유형화 될 수 있다. 지하수 분수계는 대개 지형의 기복을 반영하지만, 지역의 지질구조, 암서, 파쇄대 등으로 인하여 지형 분수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분수계의 법칙의 예외로서 설명되는 분수계의 일반적 단면은 선형이 아닌 대상 혹은 지대로서 나타난다. 분수계를 물의 흐름을 분리하는 곳으로 볼 때, 지형분수계는 지표면의 고도에 의해서 결정되며, 지하수 분수계는 지형, 지질 구조, 선구 조적 지형 요소들의 배열, 지층의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