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le divi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qualification system

자격제도 관리.운영에 있어서 국가와 민간의 역할에 관한 연구

  • Park Jong-Su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 Kim Hyun-Soo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 Published : 2004.06.01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system has a suitable role divi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and to design plans for building it. To do so, a direction for role divi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was investigated in the management,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system. In addition, limitations in the operation of government-centered qualification system were pointed out by analyzing the present status o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technique qualification system and plans for role divis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were proposed i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qualification system.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to this study as its methodology: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relevant literatures, surveys targeting companies(internal qualification managers) and associations by industrial classification(owners' groups) as respondents, holding expert consultations for setting a direction in dividing rol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interviews with companies and associations by industrial classification for gathering their opinions, forming and operating a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specialists in qualification system.

이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제도 관리 운영체제에 대한 국가와 민간의 적절한 역할분담 체계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기술자격제도 관리의 국가와 민간의 역할분담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국가기술자격제도의 관리 운영 현황을 분석하여 국가중심의 자격제도 운영의 한계를 살펴보았으며, 자격제도 관리 운영에 대한 국가 및 민간의 역할 분담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관련자료의 수집 및 분석, 기업체(사내자격관리자), 업종별 협회(사업주 단체)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국가와 민간의 역할 분담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전문가 협의회 개최, 기업체 및 업종별 협회에 대한 의견수렴을 위한 면담조사 등이 실시되었으며, 자격제도 전문가를 중심으로 연구 협력진 구성하여 운영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개혁위원회(1996).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II )
  2. 김태기 외(1996).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자격기본법제정 및 직업능력개발원의 설립에 관한 연구. 교육부
  3. 박종성 외(2003). 국가기술자격제도 내실화방안연구( III )- 국가기술자격제도 관리. 운영체계의국가 및 민간의 역할분담-.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배진환(1997). 국가기술자격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가기술자격제도 개선방안 공청회 자료. 서울: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5. 서용호. 박덕희(1997). 국가기술자격 취득자의 산업사회 기여도 조사. 서울: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6. 신명훈 외(2000). 우리나라 자격제도의 개편 방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7. 이영현 외(2002). 능력중심사회 구현을 위한 자격제도의 방향과 과제. 서울: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이정표 외 (1998). 주요국의 직업교육훈련과 자격제도의 연계분석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자격기본법(법률 제 5314호. 1997. 3. 27)
  10. 자격기본법시행령(대통령령 제 15453호, 1997. 8. 9)
  11. 정태화 외(1998). 자격제도의 종합적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勞. 省(1996). 職業能力開發基本計劃
  13. Spours. K. (1997). GNVQs and the future of broad vocational qualifications. Dearing and Beyond. London : Kogan Page
  14. Wills, J. (1992) Education driven skill standards system in the United States. . Washington, D.C. :The Institute for Educational Leade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