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지 결핵 환자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s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the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 Kim, Seon Woong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Kim, In Seek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Park, Dong Hi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No, Tae Mook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Joeng, Jae Kwon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Jung, Seung Wook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Kim, Yeon Jae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 Lee, Byung Ki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Fatima Hospital)
  • 발행 : 2004.05.30

초록

목 적 : 기관지 결핵에서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정도와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인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 상 : 2000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호흡기 증상이나 흉부 방사선 사진의 이상 소견으로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받은 환자 가운데 기관지 결핵으로 진단된 63예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의무 기록지를 통한 후향적 분석에서 대상 환자들의 임상적 소견 및 기관지 내시경 소견 등을 조사하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기관지내 점막의 다발성 색소 침착이 있거나 엽 기관지 또는 구역 기관지에 색소 침착과 동반된 섬유화성 협착이 있는 경우로 하였다. 성 적 : 대상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9.5세(21-97)였으며, 남자가 12예, 여자가 51예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은 37예(58.7%)였으며, 60세 이상에서 31예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37예)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26예)에 비하여 평균 연령 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나무 연기에 대한 장기적인 노출력을 가진 예도 유의하게 많았다. 기관지 결핵의 위치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에서 동반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우중엽에 유의하게 많았으며, 기관지 결핵의 형태는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이 동반된 군에서는 부종형(edematous-hyperemic) 및 궤양형(ulcerative)이, 동반되지 않은 군에서는 건락성 괴사형(actively caseating)이 많은 경향이었다. 결 론 : 기관지 결핵은 고령일수록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동반 유무에 따라 기관지 결핵 병변의 위치 및 형태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Bronchial anthracofibrosis is one of the main manifestations of lung disease that is related to woodsmoke inhalation, and it is frequently associated with various pulmonary diseases, such as tubercul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Methods : 63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using bronchoscop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consisted of 12 males and 51 females, having mean age of 59.5 years. The clinical features, radiologic and bronchoscopic findings between the patients with (37) and without (26) bronchial anthracofibrosi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 When the patients were older, bronchial anthracofibrosis was more frequent. The endobronchial tuberculosis, which was located at the right middle lobal bronchus, was more frequent in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than in the patients without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 the morphologic type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patients with bronchial anthracofibrosis had more edematous-hyperemic and ulcerative types, while patients without bronchial anthracofibrosis had more active caseating.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esence of bronchial anthracofibrosis can possibly influence the locations and morphologic type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인원, 유철규, 권오정, 김영환, 한성구, 심영수,등. 기관지 내시경상 기관지점막 색소침착의 임상적 의의. 결핵 및 호흡기 질환 1991;38:280-6
  2. 김재열, 박재석, 강민종, 유철규, 김영환, 한성구,등. 기관지내 Anthracofibrosis와 결핵의 연관성. 대한내과학회지 1996;51:351-7
  3. 이희섭, 맹주희, 장진근, 박배근, 박완, 류대식, 등. 비결핵성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임상 양상. 결핵 및 호흡기 질환 2002;53:510-8
  4. 한상훈, 차건영, 이영목, 김기업, 어수택, 김용훈, 등.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에서 항결핵 약제의 투여에 관한 고찰. 결핵 및 호흡기 질환 2001;51:224-31
  5. Chung MP, Lee KS, Han JG, Kim HG, Rhee CH, Han YC, et al. Bronchial stenosis due to anthracofibrosis. Chest 1998;113:344-350
  6. 노태묵, 김인식, 김선웅, 박동희, 정재권, 주동욱, 등. 기관지 탄분 섬유화증의 원인규명에 대한 임상적 연구. 대한내과학회지 2003;65:665-74
  7. Sandoval J, Salas J, Martinez-Guerra ML, Gomez A, Martinez C, Portales A, et al.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and cor pul-monale associated with chronic domestic woodsmoke inhalation. Chest 1993;103:12-20
  8. Zelikoff JT, Chen LC, Cohen MD, Schle-singer RB. The toxicology of the inhaled woodsmoke. J Toxicol Environ Health 2002;5:269-72
  9. Behera D, Jindal SK. Respiratory symptoms in Indian using domestic cooking fuels. Chest 1991;100:385-8
  10. Dennis RJ, Maldonado D, Norman S, Baena E, Martinez G. Woodsmoke exposure and risk for obstructive airways disease among women. Chest 1996;109:115-9
  11. 박은주, 김미옥, 양석철, 손장원, 윤호주, 신동호, 등. 기관지 결핵의 임상상과 내시경 소견(1990-2001). 대한내과학회지 2003;64:284-92
  12. 이재영, 김정미, 문두섭, 이창화, 이경상, 양석철, 등. 기관지 결핵의 임상상-201예에 대한 후향적 고찰. 결핵 및 호흡기 질환 1996;43:671- 82
  13. Lee JH, Park SS, Lee DH, Shin DH, Yang SC, Yoo BM. Endobronchial tuberculosis clinical and bronchoscopic features in 121 cases. Chest 1992;102:990-4
  14. Smith LS, Schillaci RF, Sarin RF. Endo-bronchial tuberculosis serial fiberoptic bron-choscopy and natural history. Chest 1987;91:644-7
  15. Cohen AG. Atelectasis of the right middle lobe resulting from perforation of tuber-culosis lymph node into bronchi in adult. Ann Intern Med 1951;35:701-6
  16. Chung HS, Lee JH. Bronchoscopic asses-sment of the evolution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Chest 2000;117:385-392
  17. Van den brade PM, Van de Mierop F, Verbeken EK, Demedts M. Cinical spectrum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in elderly patients. Arch Intern Med 1990;150:2105-8
  18. So SY, Lam WK, Sham MK. Bronchorrhea. A presenting feature of active endobronchial tuberculosis. Chest 1983;84:635-6
  19. 이재호, 윤해경, 송재우, 유철규, 정희순, 김영환, 등. 기관지 결핵의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소견 및 기관지경 소견과의 비교. 결핵 및 호흡기질환 1997;44:742-55
  20. 김성광, 김성진, 안동일, 유남수, 조동일, 김재원.기관 및 기관지 결핵에 대한 임상적 고찰. 결핵 및 호흡기 질환 1986;33:95-102
  21. 안철민, 김형중, 황의석, 김성규, 이원영, 김상진. 기관 및 기관지 결핵 61예의 임상적 고찰. 결핵 및 호흡기 질환 1996;38:340-6
  22. 한성욱, 이동후, 박성수, 이정희. 기관지 결핵에 대한 임상적 관찰. 결핵 및 호흡기 질환 1984; 31:57-66
  23. Kim HY, Im JG, Goo JM, Kim JY, Han SK, Lee JK, et al. Bronchial anthracofibrosis (Inflammatory bronchial stenosis with anthra cotic pigmentation): CT findings. AJR 2000;174:523-7
  24. Kim YH, Kim HT, Lee KS, Uh ST, Cung YT, Park CS. Serial fiberoptic bronchoscopic observation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before and early after antituberculosis chemo-therapy. Chest 1993;103:673-7
  25. Albert RK, Petty TL. Endobronchial tuber-culosis progressing to bronchial stenosis. Chest 1976;70:537-9
  26. Garay SM. Pulmonary tuberculosis. Rom WN, Garay SM, editors. Tuberculosis $2^{nd}$ ed. Philadelphia:Lippincott Williams & Wilkins;2004. p.345-94
  27. Churg A. The uptake of mineral particles by pulmonary epithelial cells. Am J Crit Care Med 1996;154:1124-40
  28. Kradin RL, Spirin PW, Mark EJ. Intrapul-monary lymph node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Chest 1985;117:385-92
  29. Hoheisel G, Chan BKM, Chan CHS, Chan KS, Teschler H, Costabel U. Endobronchial tuberculosis: diagnostic features and thera-peutic outcome. Respiratory Medicine 1994;88:593-7
  30. 성윤업, 김상훈, 신종욱, 임성용, 강윤정, 고형기,등. 기관지결핵치료에 있어서 스테로이드 효과. 결핵 및 호흡기질환 1995;42:130-41
  31. Chan HS, Pang JA. Effect of corticosteroids on deterioration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during chemotherapy. Chest 1989;96:1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