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1-2000년간 한국 광공업 5인 이상 사업체에서의 일자리 창출과 소멸

Job Creation and Job Destruction in Korean Mining and Manufacturing, 1981-2000

  • 투고 : 2004.02.12
  • 심사 : 2004.05.19
  • 발행 : 2004.08.31

초록

이 글은 1981년부터 2000년까지 한국의 "광공업통계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광공업의 사업체 수준에서의 일자리창출률과 소멸률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avis and Haltiwanger(19992)의 방법론에 따라 측정한 결과 동 기간 광공업 5인 이상 지속사업체의 일자리창출률과 소멸률은 각각 9.75, 10.33로서 다른 나라의 일자리변동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창출된 일자리의 지속성이 낮고 일자리변동의 집중성은 높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다. 노동자 재배치 중에서 일자리 재배치가 설명하는 비중을 측정한 결과 미국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비중을 보여서 일자리변동이 노동이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환위기 직전까지 노동이동이 감소하는 추세였던 데 비해 일자리 재배치 수준에는 변함이 없어 외환위기 직전에는 일자리 재배치가 설명하는 비중이 최대 60%까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일자리창출과 소멸의 변화가 호황과 불황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창출률과 소멸률은 각각 경기순행적, 경기역행적으로서 일반적인 양상을 띠고 있었으며, 미국과 달리 일자리 재배치율의 경기역행성은 관측할 수 없었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in Korean mining and manufacturing between 1982 and 2000 using the raw data of Annual Mining and Manufacturing Survey. The rate of job creation and destruction of continuing plants averaged 9.75 and 10.33, respectively, which are higher than those of OECD countries, Chile, and Colombia. The created jobs showed weak persistence and the concentration of job reallocation is high,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Job reallocation accounts for major fraction of worker reallocation and the fraction has increased before 1997. Analysis of time series data of job flow revealed a general pattern of pro-cyclic job creation and counter-cyclic job destruction. However job reallocation in Korea is strongly acyclic whereas the rate is known to be counter-cyclical in the U.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