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 학력과 노동시장 불평등

Father's Education and Inequality in Korean Labor Market

  • 조우현 (숭실대 경제국제통상학부)
  • 투고 : 2004.05.18
  • 심사 : 2004.08.09
  • 발행 : 2004.08.31

초록

이 논문에서는 아버지 학력이 개인의 교육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를 (i)직업선택 (ii)노동력상태의 선택으로 설정한 후, 가족 배경(또는 가족의 재산 소득)의 대리변수로서의 아버지 학력이 본인의 학력수준과 본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게 된다. 아버지 학력은 본인의 교육수준에 상당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동시에 아버지 학력은 본인의 직업선택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Blau and Duncan, 방하남 김기헌의 연구 결과와 다르며, 이 분야에 새로운 기여가 된다. 또한 이 논문은 부모의 학력은 본인의 비경제활동인구화에의 경향성을 낳음을 보고한다. 따라서 교육, 직업선택을 통한 부모 재산 소득불평등의 대물림과 비경제활동인구화로 인하여, 부모의 재산 소득의 현재소비로의 유실이라는 불평등 대물림 단절이 동시에 진행되고 있음을 이 논문은 제시하고 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impacts of father's education, a proxy for family wealth and income, on the individual's education, occupational choice and labor force status. I find that father's education influences the level of individual educational investment and occupational choices directly, whose findings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Blau and Duncan(l967) and Phang and Kim(2000). I also find that father's higher level of education induces an individual to withdraw from the labor force, which results in erosion of inequality among family. Therefore I argue that the inheritance of inequality in family wealth tends to persist, while the erosion of inequality proceeds, as well.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숭실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