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arrier Liability System from the View Point of Chinese Civil Aviation Law

중국민용항공법상 항공운송인의 책임제도

  • Kim, Sun-Ihee (Hankuk Aviation University) ;
  • Wu, Chun-Yan (Dept. of Air and Space Law Graduate School of Hankuk Aviation University)
  • 김선이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법학과) ;
  • 오춘연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산업정보대학원 항곡우주법학과)
  • Published : 2004.12.30

Abstract

The Montreal Convention which came into force on November 4, 2003 over the world, has brought a fundamental change to the scope of carrier liability and expanded the sue scope of the carrier. Not only confirms the carrier liability, it also reflects the effects of code-share. In addition to integrate the existing principles that adopted by many conventions, the Montreal Convention has systematized the unity of international air transport into a single convention. It even successfully increased the extremely low compensation amount which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in the Warsaw Convention before. The Warsaw Convention, originally stood for the carriers, began to reflect the standpoint of the passengers. The Chinese Civil Aviation Law came into force on March 1, 1996. One of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law is that, the regulation on public and private law is mixed combined. Therein, the content of carrier liability system is prescribed in Chapter 9, which is explained in detail in this study. Bes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ntreal Convention and China will be expounded too. So far, China ranks the 5th in RPK and the 6thin FrK. However, in spite of the high ranks, China has not yet joined this convention. This can be regarded as a serious problem. China should join it as soon as possible for a further development and deeper cooperation with the air-industry-developed countries. Once the government ratifies the Montreal Convention, it will benefit both the Chinese passengers and the airlines.

2003년 11월 4일부터 전세계적으로 발효된 몬트리올조약은 운송인의 책임의 범위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운송인이 제소될 수 있는 법원의 범위를 확대하였으며 운송인의 책임을 인정함에 있어 코드쉐어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몬트리올조약은 그 동안 수많은 조약들이 채택했던 원칙들을 접대성하여 국제항공운송의 통일성을 단일조약에 체계화하였다. 바르샤바조약체계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낮은 배상한도액을 몬트리올조약에서 상향 조정하였고 항공운송인들의 입장을 보호하기 위한 조약인 바르샤바조약은 이제 몬트리올조약을 통해 승객의 입장을 반영한 조약이 되었다. 중국민용항공법은 1996년 3월 1일부터 발효되었는데 공법적인 규정과 사법적인 규정이 혼재되어 있는 것이 그 특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 중 항공운송인의 책임제도에 관한 내용은 민용항공법 제9장에 규정되어 있는데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고 또 앞에서 서술한 몬트리올협약과 중국의 관계도 적어보려고 한다. 현재 중국은 IATA회원국 중에서 항공여객수송량이 5위 권에 접어들고 있으며 항공화물수송량도 6위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이 조약에 가입을 하지않고 있음은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고 세계의 항공산업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하고 상호 협력하기 위해 조속히 중국도 이 조약에 가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중국정부가 몬트리올조약을 비준한다면 중국의 승객들은 그로 인한 이익을 향유하게 될 뿐만 아니라 승객들과 항공사 모두의 이익이 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