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상(圓周狀)슬라이스의 오-븐건조법에 의한 함수율의 원반(圓盤)내 방사방향분포 추이 평가 (II) - 주요 국산 침엽수재를 중심으로 -

Determination of Trend of a Radial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 within a Log Cross Section by Oven-Drying of Circumferential Slices(II) - For some of domestic softwoods -

  • 이남호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
  • 최준호 (대붕실업(주)) ;
  • 황의도 (전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 진영문 (원광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Lee, Nam-H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Li, Chengyuan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Choi, Jun-Ho (Daeboong Corp.) ;
  • Hwang, Ui-Do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Jin, Young-Moon (College of Life Science and Natural Resources, Wonkwang University)
  • 투고 : 2003.07.14
  • 심사 : 2003.08.15
  • 발행 : 2004.03.25

초록

본 연구는 주요 국산 침엽수재 원반에서 채취한 두께 3 mm의 원주상(圓周狀)슬라이스를 오-븐에서 급속 건조하면서 각 원반내 함수율의 방사방향 분포추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소나무의 경우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변재부는 매우 급속한 건조속도로 함수율이 감소한 반면, 심재부는 건조속도가 느려 오히려 생재함수율이 높은 변재부가 심재부보다 먼저 섬유포화점에 도달하였으나, 이러한 분포상태가 장시간 지속되지는 않았다. 낙엽송의 경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이 심재부보다 약 3배 가량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이러한 수분경사 패턴은 평균함수율 약 20%일때 까지 지속되었다. 은행나무의 경우 변재영역 내에서는 매우 고른 생재함수율 분포를 보였으며, 건조가 진행되면서도 어느 정도의 진폭은 존재하였지만 비교적 균일한 함수율 분포를 보였다. 삼나무의 경우 심재부는 생재함수율이 매우 낮아 건조 초기부터 수축이 개시되지만 높은 함수율을 나타내고 있는 변재부에 의해 수축이 억제되므로써 심재영역 또는 이행재 영역에 인장응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편백나무 변재의 생재함수율은 심재보다 훨씬 낮아 침엽수재의 일반적인 함수율 분포와는 정반대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함수율 분포패턴은 평균함수율 약 21%까지도 지속되었다. 측백나무의 경우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이 심재부보다 약 2배 정도 더 높은 분포를 보였으나, 건조가 진행되면서 이러한 분포는 빠른 속도로 약화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 radial distribution of moisture contents (MCs) within a log cross section (LC) during oven-drying of 3 mm-thick circumferential slices cut from several domestic softwoods LCs.For Korean red pine, drying rate of sapwood slices during oven-drying represented much higher values than that of heartwood slices, and so sapwood with higher green MC early reached below fiber saturation point (FSP) rather than heartwood did. However, this distribution of moistures did not last for long duration. For Japanese larch, green MC of sapwood was approximately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heartwood. This similar distribution in MC was lasted until about 20% average MC. The MC was around uniform throughout the sapwood of Ginkgo when green and during oven-drying, although it was somewhat fluctuated. For Japanese cedar, the heartwood with so low moistures around FSP would begin to shrink from the beginning stage of drying, but the sapwood above hygroscopic MC prevents the heartwood from shrinking, and consequently, the heartwood or the transition wood goes into tension stress. The results for Japanese cypress showed that the green MCs of the sapwoods were much lower than those for heartwoods, and then this trend was continued until about 20% in average MC. For Chinese thuja, the green MCs of sapwoods were about 2 times as high as those of heartwood, but this along the radial gradient in MC rapidly became gentle during oven-drying.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