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휴대폰 문자메시지 기능의 인터페이스 이용성에 관한 연구

Exploring Usability of Mobile Text Messaging Interfaces

  • Lee, Jee-Yeon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Yonsei Univ.)
  • 발행 : 2004.12.31

초록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휴대폰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이용할 때 경험하는 인터페이스 상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향상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폰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휴대폰 문자메시지 시스템의 문제점으로는, 1) 전달받은 메시지의 내용이나 의도를 파악하기 어려움, 2) 문자메시지의 저장, 정렬, 탐색 등의 어려움, 3) 문자메시지의 길이 제한, 4) 문자입력의 어려움, 그리고 5) 비슷한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종종 다른 수신자에게 잘못 전달되는 오류와 이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 등이다. 본 연구의 초기 가정은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이용할 때 발생하는 대다수의 문제점이 이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이용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75명의 대학생 이용자를 대상으로 일주일 동안 모든 문자메시지를 저장하고 각각의 메시지에 대한 간단한 일지를 기록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들은 제한된 메시지 길이, 부자연스러운 문자입력방식, 감정 표현의 불충분함, 수신확인 기능의 결여, 보낸 메시지의 자동저장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이러한 문제점들은 문자메시지 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outline the user interface problems that the text messaging users face to provide empirical basis for developing better improved mobile text messaging system. Our initial hypothesis was that the majority of the problems that the text messaging users face, namely, 1) difficulty in correctly understanding the intent of the incoming messages and 2) problem with frequently mis-addressing the recipient of the outgoing messages, can be accounted for by the poor usability of the text messaging user interface.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text message-based communication diaries, which were recorded for one week by each and every one of 75 college students, and survey taken from the same subjects. The data was collected in 2004. The students listed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the limited message length, obscure input method, lack of mean to express emotional content, lack of receipt confirmation, lack of auto save feature when preparing messages to send, and lack of means to permanently save messages. Some of these problem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e were able to gather additional problems that the users face and also elicit potential solutions to remedy the problems. From these findings and analysis, we attempted to provide ways to improve the text messaging user interfac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문조. 2001.“ 정보화 시대의 청소년.”사회연구: 특집 사이버 세대의 정체성과 문화, 2: 11-34.
  2. 명동선. 2003. "대인관계 및 충동성과 휴대폰문자메세지 과다사용의 관계: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교육전공.
  3. 이수영. 2003.“ 이동전화 이용에 관한 연구: 음성통화서비스와 문자서비스간의 관계를 중심으로.”한국언론학보, 47(5): 87-114.
  4. 정광태, 채이식, 권오성, 이동하, 김재환. 2002. “휴대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자들의 기초 사용특성 분석: 20대와 30대 사용자들을 중심으로.”산업공학, 15(1): 73-81.
  5. Brown, B., N. Green and R. Harper (eds). 2001. Wireless World: Social and Interactional Aspects of Wireless Technology. London: Springer- Verlag.
  6. Case, D. 2002. Looking for Information: A Survey of Research on Information Seeking, Needs, and Behavior. Academic Press. San Diego, California.
  7. Ellender, David. 2003. “Usability Testing Is Not a Panacea. So When Is the Right Time to Spend Your Usability Budget?”[cited 2004. 11. 10]. .
  8. Grinter, R. E. and M. Eldridge. 2001. “y do tngrs luv 2 txt msg?”in W. Prinz, M. Jarke, Y. Rogers, K. Schmidt and V. Wulf (eds.). Proceedings of the Seventh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Work ECSCW‘ 01, Bonn, Germany.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19-238.
  9. Hedbring, Suzanna. 2002. “Mobile Messaging Usability - Social and Pragmatic Aspects.”TRITA-NAE02088, CID-192, KTH, Stockhom, Sweden.
  10. Johnson, J. 2000. GUI Bloopers: Don’ts and Do’s for Software Developers and Web Designers. Morgan Kaufmann, New York.
  11. Rautiainen, P. and Kasesniemi, E.L. 2000. “Mobile Communication of Children and Teenagers: Case Finland 1997-2000.”in R. Ling and K. Thrane (eds). Proceedings of the Workshop on The Social Consequences of Mobile Telephony.
  12. Scaling Up Messaging Revenues. n.d. [cited 2004. 11. 10]. .
  13. Short Message Service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2004. [cited 2004. 11. 6]. .
  14. Sun, Huaton. 2003.“ Cultural Usability: A Localization Study of Mobile Text Messaging Use.”Proceedings of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Ft. Lauderdale, Florida, USA: 670-6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