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이용성

Search Result 104,820, Processing Time 0.093 seconds

A Study on Usability Evaluation Factors for e-Book User Interface (전자책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Jang, Seon-Hwa;Han, Sang-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1 no.3
    • /
    • pp.269-28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 methodology to extend the scop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y incorporating the usability evaluation of e-book, which has considerably increased in proportion in the digital library. By sirveying e-book users an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building a set of usabllity evaluation factors for e-books is necessary to activate e-books in the digital libraries. This study inclusively presents a conceptual model of e-book usability evaluation and suggests guidelines for usability principles.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이용에 관한연구

  • Lee, Dong-Hyeon;Hwang, Gyu-Seung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179-19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뱅킹의 보안성, 유용성, 용이성과 이용에 대한 태도, 이용에 대한 행동의도 및 실제 이용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동일한 분석 방법으로 인터넷 뱅킹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넷 뱅킹의 이용은 기술수용모형에 의해 설명하고, 기술수용모형과 보안성을 통합한 연구모형을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뱅킹과 인터넷 뱅킹의 용이성은 모두 이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의 유용성은 모두 이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뱅킹의 보안성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터넷 뱅킹의 경우에는 보안성이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뱅킹의 보안성은 이용에 대한 태도와 부(-)의 관계를 갖지만, 유용성과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뱅킹과 모바일 뱅킹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모바일 뱅킹과 인터넷 뱅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인터넷 뱅킹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for Improving the Usability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대학 강의지원시스템 이용성 향상을 위한 이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원칙 개발)

  • Chae, Hyun-Soo;Lee, Jee-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9 no.3
    • /
    • pp.123-144
    • /
    • 2012
  • The study goal is to develop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s. To achieve the goal, a usability study was conducted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and usability test. Eleven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for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were developed based on the usability stud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student opinions were incorporated directly into the user interface design principles of university cours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a tool to determine the storage of a rainwater harvesting system using cost-benefit analysis (비용-편익 분석을 이용한 빗물이용시설의 저류 용량 결정 도구 및 사용자 편의 환경 개발)

  • Jin, Youngkyu;Seo, Hyowon;Kang, Taeuk;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86-386
    • /
    • 2022
  • 우리나라에서는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등 다양한 법률에 따라 특정 규모 이상의 시설에 빗물이용시설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지자체에서는 빗물이용시설의 이용을 장려하고자 설치비 및 시설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현업에서 빗물이용시설의 설계는 간편식을 이용하여 목표 우수이용률 또는 공급보장률을 만족하는 용량으로 결정하고 있다. 또한, 산정된 빗물이용시설의 용량에 대해서만 경제성 분석을 하고 있으며, 경제성 분석에 포함된 수식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빗물이용시설 설계 프로그램인 CARAH(capacity design aid for rainwater harvesting)의 추가 기능으로 경제성 분석을 통한 빗물이용시설의 적정 용량 결정 도구 및 사용자 편의 환경 개발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CARAH의 경제성 분석 도구는 빗물이용시설의 용량, 설치비, 유지보수비용, 지자체의 설치비 지원 및 빗물 이용에 따른 요금 감면액 등을 고려하여 빗물이용시설의 비용편익 비율(benefit cost ratio; BCR) 산정 결과를 제시하는 기능이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CARAH의 경제성 분석 도구를 이용하여 기 설치된 광교 신도시의 빗물저류조 5호를 대상으로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경제성을 고려한 적정 저류 용량을 제시하였다. 경제성 분석 기간은 빗물이용시설의 내용 연수인 30년으로 하였으며, 여러 목표 공급보장률에 따른 최소 저류 용량별 BCR 결과를 비교하여 광교 신도시의 빗물저류조 5호의 적정 저류 용량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 공급보장률이 60%에 해당하는 저류 용량 341 m3의 BCR이 7.28로 가장 경제적인 빗물이용시설의 저류 용량으로 산정되었다.

  • PDF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Reading the Online Papers (인터넷 신문 이용의 영향 요인 연구)

  • Lee, Eun-Mee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21
    • /
    • pp.177-201
    • /
    • 2003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behaviors of readers of online papers. First, the factor analysis of the online paper motive statements yielded three interpretable factors : informativeness, convenience, economicalness. For online paper use habits, a similar factor analysis procedure resulted in three factors : active utilization, news seeking,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veness motive and active utilization habit were strongly related, convenience motive and news seeking habit related. Online papers and newspapers were found to be in complementary relationship. Internet access and newspaper reading, active utilization and news seeking habi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online paper us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online paper readers perceived interactive services online papers offered. and want to utilize those effec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papers need to develop various interactive services to attract readers.

  • PDF

pseudo feature point removal using direction connectivity tracing (방향 연결성 추적을 이용한 의사 특징점 제거)

  • Kim, Kang;Lee, Keon-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69-7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방향 연결성 추적을 이용한 의사 특징점 제거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교차수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그러나 교차수를 이용한 방법에서는 의사 특징점이 많이 추출된다. 교차수를 이용한 방법에서 잘못 추출된 특징점들을 방향 연결성 추적을 이용한 의사 특징점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의사 특징점을 제거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하여 교차수를 이용한 방법과 방향 연결성 추적을 이용하여 추출된 실제 특징점을 비교하였으며, 실험결과 방향 연결성 추적을 이용하여 많은 의사 특징점이 제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Influence of Game Motivation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Social Behavior in MMORPG (게임 이용 동기가 게임 내 사회적 이용 행동을 매개로 현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MMORPG를 배경으로)

  • Yang, Seo-Yun;Choi, Su-Mi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0 no.1
    • /
    • pp.67-82
    • /
    • 2020
  • This study looked at the influence of MMORPG's motivation on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MMORPG's social usage. For this, 496 surveys were retrieved. As a result, the social usage of MMORPG wa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social usage of MMORPG has a positive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relationships motivation and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Immersion/Escapism motivation, the social usage of MMORPG has reduced the nega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Review on cost-benefit analysis of the rainwater harvesting system: method and sensitivity analysis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 분석 방법에 대한 검토: 방법 및 민감도 분석)

  • Donggyu Hwang;Sangho Lee;Namjoo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46-446
    • /
    • 2023
  • 우리나라는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및 운영을 법·제도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으며, 위 법에 근거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장려하기 위한 재정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 투자사업의 일환인 빗물이용시설 설치 사업은 장기간에 대한 경제성 분석이 요구되며, 분석에 이용된 경제성 분석 방법 및 사회적 할인율에 따라 분석 결과가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순현재가치와 편익-비용 비율을 비교·검토하여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 분석에 적합한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경제성 분석에서 불확실한 요소인 사회적 할인율과 물가상승률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두 요소의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대상 시설은 인천 청라지구 1공구에 계획된 빗물이용시설이며, 경제성 분석 기간은 지방공기업법 시행규칙에 제시된 건축물의 내용 연수인 30년으로 하였다. 편익-비용 비율을 이용하여 빗물이용시설의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저류용량이 285 m3에서 최대 수익률이 나타났으며, 순현재가치는 저류용량이 1105 m3일 때 최대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대상 지역의 경우에 285 m3에 대한 양적 신뢰도는 7.3%로 빗물이용시설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결과이며, 이와 같은 결과는 편익-비용 비율이 사업의 경제성을 수익률로 평가함에 따라 투자 규모를 반영하지 않는 한계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할인율과물가상승률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사회적 할인율이 낮아지고 물가상승률이 높아짐에 따라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용량과 그에 상응하는 최대 순현재가치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미래가치를 높게 평가할수록 빗물이용시설의 저류용량이 크게 설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PDF

Spatio-Temporal Analysis of Urban Land Use Change by Accessibility Changes (접근성 변동에 따른 도시토지이용 변화의 시.공간적 분석)

  • Won, Seok-Hwan;Hwang, Chul-S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32-39
    • /
    • 2010
  • 수도권의 도시화 과정은 서울로의 교통 접근성의 변화에 따라 급속하게 확산되었고, 현재도 진행 중이다. 도시화 과정 속에 인구 교외화, 주택 수의 증가, 도심용지 토지이용 증대, 토지가격의 증가 등의 다양한 공간적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급속한 도시화의 과정 속에 국토의 난개발이 이루어졌고 자연생태 파괴, 주택부족 및 교통 문제, 토지 투기 등의 사회적 문제를 야기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고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관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MAS)을 이용하여 교통접근성과 토지이용 에이전트 간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시뮬레이션 하였다. 그래서 교통접근성의 변화로 인한 주변 토지 이용 변화를 공간적으로 예측하려고 한다. 도시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미시적인 경관 분석을 실시한 후 교통접근성의 변화에 따른 주변 토지이용 변화의 상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자료와 토지이용 자료를 GIS분석 및 통계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관성 분석 결과를 멀티 에이전트 시스템 전용 플랫폼에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다.

  • PDF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 Jang, Cheol-Kyu;Jung, Sung-Gwan;Lee, Woo-S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5
    • /
    • pp.68-80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hysical environment on user satisfaction and park use when people use the park to improve their health. The study is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Statistical analyses were employed to data collected from 143 visitors on site. First of all, in the perception evalu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park, accessibility and pedestrian environment are the highest at 4.04, while water space and attractions in the park as the lowest parts are at 2.32 and 2.66. After conduct factor analysis to type 22 physical environmental awareness components, five main factors--Comfort, Availability, Amenity, Facilities convenience and Visuality--were classified. Then, satisfaction and influence on park use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factors affecting user satisfaction were comfort, availability, amenity and facility convenience. Among them, the category of amenit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t 0.315.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k use were availability and amenity. Availability factor had a higher influence at 0.396 than amenity at 0.293.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satisfaction and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green areas and create a pleasant environment.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walkability from homes to parks, trail improvement and other improv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