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문자메시지

Search Result 23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dolescents' Txt Message Use, its Immersion and its Relation with Mental Process (청소년의 문자메시지 사용실태 및 몰입정도와 심리 간의 관계)

  • Lee, Ky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b
    • /
    • pp.773-77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사용 실태 및 몰입 정도가 자신의 심리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분석결과,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부적응/일탈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메시지 사용수준이 중간인 집단과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강박/집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메시지 사용수준이 중간인 집단과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금단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자 메시지를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은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에 비해 부적응/일탈정도가 높고, 강박/집착정도도 높고, 또한 금단정도가 높아 문자 메시지가 청소년의 정신 병리적 장애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이나 중간인 집단에 비해 혼미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문자 메시지를 많이 사용하는 청소년은 적게 사용하는 청소년에 비해 혼미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몰입정도의 세 가지 구성개념인 부적응/일탈, 강박/집착, 금단요인이 자기 통제 능력의 구성개념인 착각성 및 혼미성과의 상관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휴대전화 문자메시지과다사용으로 청소년들이 건강한 성장을 하는데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Exploring Usability of Mobile Text Messaging Interfaces (휴대폰 문자메시지 기능의 인터페이스 이용성에 관한 연구)

  • Lee, Jee-Yeo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4
    • /
    • pp.1-16
    • /
    • 2004
  • In this paper, we outline the user interface problems that the text messaging users face to provide empirical basis for developing better improved mobile text messaging system. Our initial hypothesis was that the majority of the problems that the text messaging users face, namely, 1) difficulty in correctly understanding the intent of the incoming messages and 2) problem with frequently mis-addressing the recipient of the outgoing messages, can be accounted for by the poor usability of the text messaging user interface.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text message-based communication diaries, which were recorded for one week by each and every one of 75 college students, and survey taken from the same subjects. The data was collected in 2004. The students listed various difficulties including the limited message length, obscure input method, lack of mean to express emotional content, lack of receipt confirmation, lack of auto save feature when preparing messages to send, and lack of means to permanently save messages. Some of these problem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e were able to gather additional problems that the users face and also elicit potential solutions to remedy the problems. From these findings and analysis, we attempted to provide ways to improve the text messaging user interface.

Text Message Classifica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과 언어처리에 기반한 문자메시지 분류)

  • Sun, Juoh;Ji, Myeonggeun;Choi, Beomhwi;Lee, Hyunah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492-495
    • /
    • 2019
  • 휴대전화 메시지로는 결제, 인증번호, 택배, 광고 등의 다양한 문자들이 수신된다. 이 문자들은 서로 섞여 있어 이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자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과 단어 임베딩을 통해 메시지들을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한 안드로이드 앱을 소개한다. 앱에서는 택배, 카드, 인증, 공공기관, 통신사, 대화, 기타의 7개의 분류로 메시지를 분류하며, 자동 분류에서는 수동 태깅한 5802건의 문자메시지를 사용한다. 앱에서는 저장된 문자메시지간 유사도에 기반한 오프라인에 서의 자동 분류를 지원하여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다.

  • PDF

Spam Text Filtering by Using Sen2Vec and Feedforward Neural Network (문장 벡터와 전방향 신경망을 이용한 스팸 문자 필터링)

  • Lee, Hyun-Young;Kang, Seung-Shi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255-259
    • /
    • 2017
  • 스팸 문자 메시지를 표현하는 한국어의 단어 구성이나 패턴은 점점 더 지능화되고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문자 메시지에 대해 단어 임베딩 기법으로 문장 벡터를 구성하여 인공신경망의 일종인 전방향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전방향 신경망을 이용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VM light를 이용한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학습 및 성능 평가를 위하여 약 10만 개의 SMS 문자 데이터로 학습을 진행하였고, 약 1만 개의 실험 데이터에 대하여 스팸 문자 필터링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

Spam Text Filtering by Using Sen2Vec and Feedforward Neural Network (문장 벡터와 전방향 신경망을 이용한 스팸 문자 필터링)

  • Lee, Hyun-Young;Kang, Seung-Shi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255-259
    • /
    • 2017
  • 스팸 문자 메시지를 표현하는 한국어의 단어 구성이나 패턴은 점점 더 지능화되고 다양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국어 문자 메시지에 대해 단어 임베딩 기법으로 문장 벡터를 구성하여 인공신경망의 일종인 전방향 신경망(Feedforward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 방법을 제안한다. 전방향 신경망을 이용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에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VM light를 이용한 스팸 문자 메시지 필터링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학습 및 성능 평가를 위하여 약 10만 개의 SMS 문자 데이터로 학습을 진행하였고, 약 1만 개의 실험 데이터에 대하여 스팸 문자 필터링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 PDF

An App Method for Image-Display in Korean Public Alert System (재난문자서비스를 위한 이미지 표출 앱 기법)

  • Byun, Yoon-Kwan;Chang, Sekch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
    • /
    • 2021
  • 재난문자서비스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셀 안의 모든 가입자에게 재난경보 메시지를 신속하게 전달한다. 국내 재난문자서비스는 2G 와 4G 이동통신망에서 재난경보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5G SA 망에서 고도화된 재난문자 서비스를 계획 중에 있다. 그러나 현 재난문자서비스는 제한된 글자 수의 국내문자 메시지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외국인 등 취약 계층에게 실용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일본의 재난문자서비스는 번역 앱을 이용하여 외국인에게 번역된 재난문자 메시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번역 서비스는 오역 등의 위험을 내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인 등이 직관적으로 이해 가능한 이미지 등을 표출하는 앱 방식을 소개한다. 재난문자서비스와 이미지 표출 앱의 연계를 통하여 외국인 등 취약 계층에게 효율적인 재난경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 PDF

Korean Mobile Spam Filtering System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ext Messages (문자메시지의 특성을 고려한 한국어 모바일 스팸필터링 시스템)

  • Sohn, Dae-Neung;Lee, Jung-Tae;Lee, Seung-Wook;Shin, Joong-Hwi;Rim, Hae-Ch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7
    • /
    • pp.2595-2602
    • /
    • 2010
  • This paper introduces a mobile spam filtering system that considers the style of short text messages sent to mobile phones for detecting spam. The proposed system not only relies on the occurrence of content words as previously suggested but additionally leverages the style information to reduce critical cases in which legitimate messages containing spam words are mis-classified as spam. Moreover, the accuracy of spam classification is improved by normalizing the messages through the correction of word spacing and spelling errors. Experiment results using real world Korean text message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is effective for Korean mobile spam filtering.

Linear Property of SMS Network Clusters (문자메시지네트워크의 선형적 특성)

  • Han, Young-S.;Oh, Chang-K.;Park, Ji-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165-169
    • /
    • 2006
  • 문자메시지 네트워크는 웹페이지 검색네트워크와는 위상적으로 많이 다르기 때문에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네트워크가 성장함에 따라 강력한 허브를 구성하는 네트워크는 소수의 노드에 연결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문자메시지 네트워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네트워크의 밀도가 높아지는 속도가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개의 크기가 다른 문자메시지 네트워크에 대한 실험을 통하여 적어도 작은 집단 내의 메시지네트워크는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허브의 집중도가 power law분포가 아닌 선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보였다.

  • PDF

SMS Text Messages Filtering using Word Embedding and Deep Learning Techniques (워드 임베딩과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SMS 문자 메시지 필터링)

  • Lee, Hyun Young;Kang, Seung Shik
    • Smart Media Journal
    • /
    • v.7 no.4
    • /
    • pp.24-29
    • /
    • 2018
  • Text analysis technique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deep learning represents words in vector form through word embedd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constructing a document vector and classifying it into spam and normal text message, using word embedding and deep learning method. Automatic spacing applied in the preprocessing process ensures that words with similar context are adjacently represented in vector space. Additionally, the intentional word formation errors with non-alphabetic or extraordinary characters are designed to avoid being blocked by spam message filter. Two embedding algorithms, CBOW and skip grams, are used to produce the sentence vector and the performance and the accuracy of deep learning based spam filter model are measured by comparing to those of SVM Light.

A Normalization Method of Distorted Korean SMS Sentences for Spam Message Filtering (스팸 문자 필터링을 위한 변형된 한글 SMS 문장의 정규화 기법)

  • Kang, Seung-Shik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3 no.7
    • /
    • pp.271-276
    • /
    • 2014
  • Short message service(SMS) in a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a very convenient method. However, it caused a serious side effect of generating spam messages for advertisement. Those who send spam messages distort or deform SMS sentences to avoid the messages being filtered by automatic filtering system.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spam filtering system, we need to recover the distorted sentences into normal sentence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normalizing the various types of distorted sentence and extracting keywords through automatic word spacing and compound noun decom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