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aptive Deringing filter's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n Edge Region Classification

윤곽 영역 분류에 기반한 적응형 디링잉 필터의 설계 및 성능 분석

  • 조영 (삼성전자 DM총괄 VD사업부) ;
  • 박장한 (광운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공학과) ;
  • 남궁재찬 (광운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Published : 2004.10.01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method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degradation that show when reconstructing compressed images at low bit rate by using wavelet transform. The image quality distortion is blocking artifacts and noise in DCT's compression but blocking artifacts of wavelet transform does not appear and ringing artifacts was appeared near the edge. This proposed technique is classified to part which is ringing artifacts of the edge vicinity appears which is not, apply adaptive filter to each region improved image. A edge region which is harsh to the eye is applied by Canny mask and finding strong edge region, search the neighborhood classify the flat region and the texture region, and apply to each region suitable filter, As experiment result, PSNR value of method that is proposed in that low bit rate compression image that ringing artifact appears became low about 0.05db, but 0.023db degree rose strong edge region and nat region's image. Also, showed picture quality improved more than ringing artifacts in nat region when see from subjective viewpoint of human.

본 논문에서는 웨이블릿 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하여 저 비트율로 압축된 영상을 복원했을 때 나타나는 화질열화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DCT의 압축에서 화질열화는 블록화 현상(blocking artiiacts)과 잡음(noise) 등이 있었으나 웨이블릿 변환은 블록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윤곽선(edge) 부근에 링잉현상(ringing artifacts)이 나타나게 되었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윤곽선 부근의 링잉현상이 나타나는 부분과 나타나지 않는 부분을 분류하고 각 영역에 적응적 필터를 적용하여 영상을 개선시켰다. 인간 시각에 거슬리는 윤곽선 영역은 캐니 마스크(Canny mask)를 적용하여 강한 윤곽선 영역을 찾아내고, 또한 주변 영역을 탐색하여 평탄한 영역(fiat region)과 텍스쳐 영역(texture region)으로 분류하고, 각 영역에 맞는 필터 를 적용하게 된다. 실험결과, 링잉현상이 나타나는 저 비트율 압축 영상에서 제안된 방법의 PSNR 값은 0.05db정도 낮아졌지만, 강한 경계 영역과 평탄한 영역의 영상에서는 0.023db정도 높아겼다. 또한 인간 시각의 주관적 관점에서 볼 때 평탄한 영역에서의 링잉현상이 보다 개선된 화질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