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종합소매업의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Changes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발행 : 2004.09.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유통시장 개방 시기를 전후하여 일어난 소매환경 변화에 따른 대전광역시(이하, 대전시)의 소매업 변화와 그 결과 달라진 종합소매점들의 공간구조를 고찰하였다. 유통시장 완전개방이후 본격화된 국내 대형할인점 성장으로 소매업 구조와 소매공간구조가 달라졌으며, 1996년과 2001년을 비교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할인점의 성장에 따라 소매업 내 종합소매점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째, 종합소매업 각 업태들은 차별적인 성장 패턴을 보이고 있다. 셋째, 종합소매업의 업체수는 뚜렷한 집중지역은 나타나지 않지만 대부분 지역에서 감소하였고. 매출액은 원도심에서 신도심으로 그 중심이 바뀌었을 뿐 아니라 그 규모도 증가하였다. 차후소매공간구조 연구에서는 지역성에 따른 상품구색과 같은 보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the changes of retail environment and general merchandise retail structur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since e distribution market open. At the interval of five years (1996~2001) the rapid increase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have had a profound impacts on the retail structure and the spatial retail stru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has increased in the retail structure. Second, each business typ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has taken different growth pattern, which has been distributed differently. Third,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is on the decrease, the annual sale of general merchandise retail is one increase. Moreover the hightest sale region is changed from old-town to new-town. Many more variables like assortment of goods according to the locality should be reflected in the following spatial retail structure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임호, 2001, 디지털 경제의 경기변동파 경제성장,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 고영득, 2003, 대전시 핵심업무지구의 변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대한상공회의소, 각년도, 유통통계자료집
  4. 류주현, 2004, 종합소매업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대전시를 사례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박명호, 2003, ‘유통업의 성공요건 - 유통업체브랜드(PB)의 창조-,’ 마케팅, 37(3), 65-69
  6. 변명식, 2003, ‘디지털시대의 마케팅과 고객만족 성공‘ 마케팅, 37(8), 57-62
  7. 오세조. 세키네 타카시, 2002, 한. 일 소매유통전쟁, 중앙경제평론사
  8. 유상혁, 2000, 도시공간구조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두희, 2002, ‘새로운 비즈니스환경과 뉴마케팅패러 다임 전략전술‘ 마케팅, 36(10), 20-27
  10. 이희연, 2000, ‘대형할인점의 성장과 공간적 확산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16(2), 47-66
  11. 정연학, 2002, ‘유통시장개방 하에서의 정부 역할과 산업 정책에 따른 유통산업 전망‘ Digital CS Journal 22, 한국능률협회컨설팅
  12. 제일기획, 2003, ‘대한민국 변화의 태풍- ‘젊은 그들’ 을 말한다" 마케팅해부학 보고서
  13. 최영준, 2001, 대전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한동철, 2003, '불경 기에는 매스마케팅보다 20배 이상 효과적인 VIP마케팅을 하자' 마케팅, 37(8), 35-38
  15. 한주성, 2003, 유통지리학, 한울
  16. 통계청, 도소매업 총조사(1996년, 2001년)
  17. 통계청, 도소매업 통계조사(각 연도)
  18. 통계청, 인구주택 총조사(2000년)
  19. Berry, B.J.L., 1963, Commercial structure and commercial bright, Research Paper, 85, Department of Geography,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20. Berry, B.J.L., 1967, Geography of Market Centers and Retail Distribution,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21. Brown, S., 1987, Institutional change in retailing,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1(7), 8-36
  22. Christaller, W., 1966, Central Places in Southern Germany, Prentice-Hall, New Jersey
  23. Guiltman, J., 1974, Planned and evolutionary change in distribution channels, Journal of Retailing, Summer, 80-81
  24. Proudfoot, M. J., 1937, City retail structure, Economic Geography, 13, 425-428
  25. Tapscott, D., 1998, Growing Up Digital: the Rise of the Net Generation, McGraw-Hill,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