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matic Perturbation and Plant Livestock of a Secondary Forest in Kantou Area, Japan

일본 관동지역 2차림지대의 기상환경과 식물군락에 관한 연구

  • 이성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 안영희 (중앙대학교 생물자원과학계열) ;
  • 이갑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종자연구소)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The climate of Minamiakikawa forest in Japan is similar to that of Mt. Jiri in South Korea. There is a large development plan for Minamiakikawa forest, and a change in the species composition is expected. This study was initiated to compare forest transition caused by artificial perturbations in Korea and Japan. Long-term field observations on species composition are reported. We found 98 families, 231 genera, 315 species, 29 varieties, and 8 races, making a total of 352 classification groups of higher plants in the Minamiakikawa forest area. Among them, 11 families, 12 species and 2 varieties are rare or endangered. The study area is dominated by Cryptomerica japonica and Chamaecyparis obtusa. The time and restoration effects on secondary and latent forestation consider the development of the Quercus mongolica community,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and deciduous-broadleaved tree ascension. This indicates that the forest has been restored to Abies firma, Pinus densiflora or Cryptomeria japonica and Fagus japonica, which is considered latent natural forestation of the area in a natural transfer.

산지 개발로 인한 일본의 미나미아키가와 유역의 훼(Table Omitted)손 예정지에서 실시한 식물상의 조사 결과, 98과, 231속, 315종, 29변종, 8품종, 총 352분류군의 고등식물이 조사되었다. 이 가운데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11과, 12종, 2변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의 대부분은 삼나무와 편백나무의 조림지로 장기간의 시간적인 경과에 의해 일부 인공 조림지를 비롯하여 주변부에서 물참나무 군락, 졸참나무 군락, 온대성 낙엽 활엽수 맹아림 등의 전형적인 2차림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은 전형적인 2차림의 산림 군락들은 금후 빠른 속도로 본 조사지역의 잠재자연식생이라 할 수 있는 일본젓나무-솔송나무림 혹은 삼나무림 및 너도밤나무림으로 자연스럽게 정상천이로 복원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 검토된 자료는 우리나라 남부의 지리산부근과 유사한 기상조건을 지니는 것으로 추후 한국과 일본간의 식생변이 비교에 기여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성기, 안영희, 이갑연, 김종한, 허성두, 2003: 일본 동경도 산림지대의 기상과 식생. 한국농림기상학회 가을학술발표논문집, 69-72.
  2. 안영희, 이성기, 김재헌, 윤용한, 2003: 미나미아키가와 산림유역의 식물군락에 관한 고찰. 한국환경과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2(1), 348-350.
  3. 武田義明, 植村 ? , 中西哲, 1983: 北海道노미즈나라林, 神戶大學敎育學部硏究集錄, 71, 105-122.
  4. 林一六, 1988: 冷溫帶落葉樹林構成種노開葉토落葉, 日本노生物,2, 48-52.
  5. 星野義延, 1984: 草木演習林노미즈나라林노植物社會學的硏究, 東京農工大學農學部硏習林報告, 32, 23-30.
  6. 牧野富太郞, 1989:新日本植物圖鑑, 北隆館. 1000pp
  7. 丸山幸平, 1978: 부나天然林 "特니低木層오요비木床오構成스루主要木本植物노伸長파탄토生物季節티쯔이테" 부나林노生態學的硏究(32), 新渴大學農學部硏習林報告, 11, 1-30.
  8. 生態學實習懇談會, 1967: 生態學實習書. 朝倉書店, 東京. 336pp.
  9. 沼田眞, 1962: 植物生態野外觀察노方法. 築地書館, 東京. 396pp.
  10.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11. Mayr, E., 1942: Systematics and Origin of Species. Columbia Univ. Press. New York. 334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