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변동에 따른 건설공사비 조정 제도의 개선 방안 - 델파이(Delphi) 설문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licies to improve the Escalating Regulations of Construction Price - With a Focus on Results of a Delphi Survey -

  • 발행 : 2004.12.01

초록

본 연구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Delphi) 설문조사를 통하여 물가 변동에 따른 건설공사 계약 금액 조정(escalation) 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이다. 조사 결과, 에스컬레이션의 요건이 되는 건설공사비의 등락률은 소비자 물가 변동률 혹은 건설 공사비 지수에 근거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문가의 의견을 보면, 총 공사금액의 $3\%$ 수준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환율 및 국제 원자재 가격 등 단기적 충격 요인에 기인하는 자재 가격의 급등은 건설업체가 사전적으로 예측하여 대응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단품슬라이드 제를 도입하여 특정 자재의 가격 급등에 대하여 에스컬레이션을 허용할 필요성이 있다. 등락률의 산정 방식으로는 지수조정률보다는 개별 공사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있는 품목조정률이 더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지수조정률이 합리적으로 기능하기 위하여는 품목별 공종별로 노임지수와 자재지수, 기계경비지수 등이 산출되어 발표될 필요성이 있다. 에스컬레이션의 기산일로서는 현행 법령에서는 계약 체결일로 규정되어 있으나, 계약 체결 이전부터 물가 변동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입찰일로 규정하는것이 바람직하다.

This study is the results to survey on the problems and improvable Policies for current escalation system in construction contracts, through a Delphi survey to experts. From the survey results, it is desirable to decide the fluctuation rate of construction cost, which is the requirement of escalation clause, on the basis of inflation rate or construction cost index. The desirable price fluctuation rate is proposed as a $3\%$ level. However, it is difficult for construction companies to cope with the sudden increase of material price in advance, arising from short-term shock factors such as exchange rate and international raw material's price. Accordingly escalation system for specified materials, as an exceptional mode, should be introduced. As a method to calculate the fluctuation rate, ARCA(adjustment rate for the categories of articles) is more desirable than ARI(adjustment rate for an index), because the ARCA can be more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nstruction work.To rationalize the ARI method, it is needed to announce the wage index, material index and machinery expense index via detailed classification by construction types. Also, it is desirable to prescribe the bidding date as a starting date of the price change, rather than contact signing date. considering the price change can happen since the biddiilg stage.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준기, 건설클레임론, 일간건설사, 1999 . 7
  2. 박준기. 건설계약론, 동화기술, 2001. 2
  3. 원형연,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 조정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제연구 제 13권 제 1호, 1992. 5, pp.227-266
  4. 이재섭, 물가 변동 제도의 개선 방안,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998. 11
  5. 建設業法硏究會, 公共工事標準請負契杓約款の解說, 大成出版社, 1996. 10
  6. 建設關係契約杓款集, 大成出版社, 1996
  7. FIDIC, Conditions of Contract for construction(1st Edition, 1999)
  8. Vincent Powell-Smith, Douglas Stephenson, Blackwell Science, Civil Engineering Claims, 1994
  9. Michael C. Loulakis, Jon M. Wickwire, Mark R.Berry, Thomas J. Driscoll, Construction Management Law and Practice, Wiley Law Publications,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