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Clinical Trial of Morning Light Therapy in Sleep Disturbance of Alcohol Dependent Patients

알코올의존 환자에서의 수면장애에 대한 아침 광치료의 임상시도

  • Published : 2003.12.15

Abstract

Objectives: It is known that sedative hypnotics would make cross tolerance with alcohol and deteriorate quality of sleep in alcoholics. Light therapy is effectiv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sleep disturbance in circadian phase disorders, jet-lag, shift-work and age-related sleep disorders. Authors would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ning light therapy on sleep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during recovery state without withdrawal symptoms. Methods: 13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who have not any alcohol withdrawal symptom were recruited. Light therapy during 1 hour in the morning had been administered by 2500 Lux light box through serial 3 days. Sleep state of subjects were assessed by sleep log and the subjective satisfaction at sleep was by 100 mm visual analogue scale. Sleepiness, depressive mood, anxiety were evaluated by 100mm visual analogue scale at 8 AM, 2 PM and 8 PM. For assessment of performance ability that would be associated with sleepiness and vigilance, trail making test A, B and 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 were performed by two times on base line and 4th day. Univariate repeated-measures ANOVAs were performed for each measures except performance tests which were analysed by paired t-test. Results: Sleep latency and sleep efficienc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with light therapy and satisfaction at sleep w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leepiness at 2 PM with light therapy but sleepiness at 8 AM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t 8 PM increased. The time to complete Trail making test and 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 were significantly shortened at 4th day compared with baseline. Fatigue at 8 AM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with light therapy but at 2 PM and 8 PM significantly decreased. Depressive mood and anxiety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with light therapy.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it showed that light therapy would be effective modality on sleep disturbance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who have recovered from alcohol withdrawal symptoms. It is proposed that short term light therapy could be used clinically for alcoholics with insomnia. In the future, long term controlled studies using more objective tools for sleep are required to further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therapy in alcoholics.

연구목적: 알코올의존 환자의 수면 장애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 기존의 진정수면제 등의 약물은 교차 내성을 일으키고, 수면의 질을 악화시키기도 한다. 광치료는 일주기리듬장애, jet-lag, 순환제교대근무에서 나타나는 수면장애와 노화와 관련된 수면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인 비약물적 치료중재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이미 여러 질환의 수면장애에 시도되고 있던 광치료의 회복기 알코올의존환자의 수면장애에 대한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알코올 금단 증상을 보이지 않는 13명의 알코올의존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2500Lux의 광상자로 하루에 오전 1시간 씩 3일에 걸쳐 광치료를 시행하였다. 총수면시간, 실제수면시간, 수면잠복기, 수면효율, 각성빈도 등을 수면기록지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visual-analogue scale을 통해 주관적인 수면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오전 8시, 오후 2시, 오후 8시 3차례에 걸쳐 연구대상자의 졸림 정도를 스탠포드졸림척도를 통해 평가하였으며, visual-analogue scale을 통해 불안, 우울 기분 및 피로감을 평가하였다. 수면상태를 반영하는 수행 능력의 평가를 위하여 기초단계와 연구 4일째에 기호잇기검사(trail making test)A, B 및 기호바꿔쓰기검사(digit symbol substitution test)를 시행하였다. 각 측정값은 반복측정분산분석법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수행능력의 평가는 사전사후차이검증을 이용하였다. 결 과: 수면기록지로 평가된 수면잠복기, 수면효율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초 단계에 비해 연구 1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면에 대한 만족도도 광치료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1일째부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오후 2시에 평가된 졸림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오전 8시에는 광치료에 따라 졸림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오후 8시에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기호잇기검사와 기호바꿔쓰기검사에서 환자들은 광치료 전후 수행 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Visual analogue scale에 의한 피로감의 평가에서 오후 2시와 오후 8시에 광치료에 따라 유의하게 피로감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우울기분과 불안은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금단 증상에서 회복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알코올의존 환자들에 있어 비록 제한적이지만 광치료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임상 실제에서 알코올중독 환자들의 수면장애에 단기간의 광치료가 효과적인 치료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추후 보다 객관적인 수면 평가 도구를 이용한 장기간의 대조군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